[환경포커스=세종] 상습침수지역 16곳에 총 8,300억 원이 투입되는 등 맞춤형 하수도 정비를 통해 2032년까지 침수 원인을 근본적으로 개선해 기습폭우에 대비한다.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하수도 용량 부족으로 인한 도시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부산시 연산동, 파주시 야당동 등 상습침수지역 16곳을 ‘2024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신규 지정하고 10월 30일 이를 공고한다.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 제도는 ‘하수도법(제4조의3)’에 따라 2013년부터 도입된 제도다. 집중강우 시 하수 범람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상습적으로 발생하거나 발생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지자체가 침수원인 해소를 위한 하수도 확충 사업을 하루빨리 추진할 수 있도록 국비 보조율은 광역지자체 30%, 기초지자체 60%로 최대 60%의 국비를 지원한다. 환경부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침수가 발생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매년 10~38곳, 총 194곳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했으며, 지금까지 1조 7,800억 원의 국고를 지원하여 하수관경 확대, 하수저류시설 및 빗물펌프장 설치 등 하수도 확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내년도 하
[환경포커스=수도권] 2008년부터 도입된 수질원격감시체계(TMS, Tele-Monitoring-System) 측정 정보가 수질 감시 역할을 뛰어넘어 공정 개선, 운영비 절감 등 하·폐수처리 운영 개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질원격감시체계는 △폐수처리용량이 700톤/일 이상인 공공하·폐수처리장, △폐수배출량이 200톤/일 이상인 사업장 등 폐수를 다량으로 배출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폐수 최종 방류구에 ‘수질자동측정기기’를 부착하여 원격으로 방류수 수질을 관리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안병옥)은 수질원격감시체계를 통해 측정하고 공개되는 수질오염물질 정보를 활용한 우수사례(계획 포함)를 공모하고, 4건의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대상 1건(환경부 장관상), 최우수상 1건(환경부 장관상), 우수상 2건(한국환경공단 이사장상) 등 시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질원격감시체계는 수질오염 감시를 비롯해 합리적인 폐수 배출부과금의 산정 및 부과 기능을 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수질오염물질 측정값과 배출량 정보 등을 관련 누리집(www.soosiro.or.kr/open)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이번 공모는 올해부터 수질원격감시체
[환경포커스=서울]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10월 29일부터 이틀간 웨스틴조선(서울 중구 소재)에서 ‘제31차 유네스코 정부간수문프로그램 아·태지역운영위원회 회의(IHP RSC-AP)’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유네스코 정부간수문프로그램(IHP)은 전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 1975년에 설립되어 170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유엔 체제 내의 유일한 물 분야 정부간 기구다. 이 기구에 속한 아·태지역운영위원회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회원국 및 유네스코 기관 간 협력회의다. 우리나라는 현재 27개 아태지역 유네스코 정부간수문프로그램 국가위원회를 대표하는 의장국이며, 1998년 제6차(대구), 2013년 제21차 회의(경주)를 개최한 바 있다. 이번 회의는 ‘기후변화 발(發) 아태지역 물재해 대응을 위한 유네스코 정부간수문프로그램 9단계 사업 이행 및 아·태지역운영위원회 협력전략 수립’이라는 주제 아래, 각 국가가 이행하고 있는 유네스코 정부간수문프로그램 사업을 공유하고 물재해 대응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아·태지역 20여개 국가의 정부·민간·기관·학계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유네스코 정부간수문프로그램 9단계 사업‘이란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 1975
[환경포커스=대전] 금년해 8회째를 맞는 <금강에서 꿈꾸는 우리의 미래>를 대회 주제로 공모전에 발표하고 어린이들이 금강에 대해 창의적으로 생각하며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된다. K-water 금강보관리단(단장 나유진)과 케이워터운영관리 금강문화관(지사장 김민상)은 어린이에게 금강의 소중함을 알리고 우리강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해 「제8회 금강 그리기 대회 공모전」을 개최한다. 금강 그리기 대회 공모전은 10월 2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우편으로 접수된 작품을 대상으로 수상자를 선정하고 대상을 포함하여 총 86점의 작품을 수상한다. 자세한 사항은 케이워터운영관리 금강문화관(041-835-1529)으로 문의가능하며, 금강문화관 대표카페(https://cafe.naver.com/geumriverculture) 에서도 다양한 소식을 만날 수 있다. K-water 금강보관리단(단장 나유진)과 케이워터운영관리 금강문화관(지사장 김민상)은 “올해로 8년째 맞이하는 금강 그리기 대회 공모전에 금강을 사랑하는 어린이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금강을 널리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행사로 국민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겠다”고 밝혔다.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계절을 맞이해 ‘함께 마시는 깨끗한 물’ 아리수 음수대 사용 에티켓을 제안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당부한다고 전했다. 아리수는 철, 칼슘, 마그네슘 등 우리 몸에 필수적인 미네랄이 함유된 건강한 물로 인정받고 있으며 아리수 먹으면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지난해 12월 수돗물홍보협의회가 발표한 ‘물먹는 형태별 탄소발생량 연구’ 결과에 따르면, 2리터 기준 수돗물의 탄소 배출량은 0.496 gCO2로, 정수기보다 378배(187.4 gCO2), 먹는샘물보다 615배(305.0 gCO2) 적다고 밝혀진 바 있다. 아리수 음수대 사용 에티켓은 첫째, 수도꼭지에 직접 입이 닿지 않게 마시고 둘째, 먹는 물로만 이용하며 마지막으로, 누구나 함께 마시는 물이므로 깨끗하게 사용하고 아껴주는 것이다. 서울시는 아리수 음수대 사용 에티켓 홍보를 위해 키즈크리에이터 차노을 군과 협업해 챌린지 곡 ‘HAPPY’를 개사한 영상을 아리수와 ‘노을이의 작업실’ 유튜브 채널 및 인스타그램에 공개해 조회수가 합산 151만 회를 넘겼다고 밝혔다. 또한, 서울시는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아리수 음수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환경포커스=국회] 연구기관의 자의적 판단에 혈세 51억원을 들인 연구과제가 폐기되었지만, 관리 기관은 제재조치도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파주시을)은 17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 환경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국민 혈세 낭비에 대한 책임임을 묻고, 관련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하천 및 호수 광역지역에 대한 신속 대응가능한 조류제거선 개발을 위해 2018년 7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수상이동형 조류제거선 개발’ 과제를 시행했다. 국비 51.3억원, 민간 17.1억원 등 총 68.4억원이 투입된 해당 연구는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연구기관)이 총괄해 진행되었고, 조류제거선 2대와 저장선 1대 시작품을 도출했다. 그러나 해당 성과물은 활용도 되지 못하고 해체되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법률자문 요청서에 따르면, 조류제거선은 보관장소 임대료 문제로 2022년 2월에 연구기관에 의해 해체되었다. 그런데 환경부를 비롯한 기술원은 해체사실을 처분 이후에야 인지했고, 뒤늦게 처분 불가 공문을 발송하는 등 늑장 대응을 이어갔다. 문제는 해당 성과물을 철거하기 전 기술원과 협의하지 않고 처분한 것에
[환경포커스=국회] 기후에너지 전문가로 국회에 입성한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김소희 의원(비례대표)이 10월 17일 한국수자원공사(이하 수공) 국정감사를 통해, <국제테마파크 용지 헐값 매각 특혜> 문제를 제기하며 수사를 촉구했다. 김소희 의원은 2022년 10월부터 두달 간 진행된 감사원 감사를 기반으로, 수자원공사 담당직원 3명이 수공이 소유하고 있던 국제테마파크 용지를 최소 6,000억원 이상에 팔 수 있었던 것을 3,256억원에 팔았으며, 그 과정에서 담당직원이 사업자 공모지침을 임의로 변경하고 수공 본부위원회에 보고도 누락시켰음에도, 담당 직원 3인이 정직 1개월, 견책, 감봉 등의 징계 처분에 그친 것에 대해 지적했다. 김 의원은 “국제테마파크 부지 매각 당시에는 1m²당 11만3000원으로 계산해 총 3256억원에 매각했는데, 그 직전인 2019년 관광레저용지에 접한 철도용지 2필지를 매각할 때는 1m²당 18만1000원, 23만2000원에 매각했다”며 “철도용지 가격의 48%, 68% 수준으로 주요 부지를 헐값에 판 것”이며, “감정평가에 참여한 감정평가사 진술에 따르면 자연녹지지역이었던 국제테마파크 부지를 관공레저용지로 지정받아서 개발
[환경포커스=국회] 녹조제거 효과 없는 에코로봇으로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필터 성능 시연을 했다.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은 “환경부와 수자원공사가 녹조제거 효과가 없는 에코로봇이 마치 녹조제거 효과가 있는 것처럼 대국민 사기극을 벌였다”고 지적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득구 의원은 17일 환경부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소양강댐과 안동댐 등에서 운영되고 있는 에코로봇은 녹조제거기계로 알려져 있다”며 “실제로 한 언론은 장비가 지나가기만 해도 녹조가 사라진다고 보도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강득구 의원의 확인 결과, 에코로봇의 녹조제거 성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코로봇에는 필터를 통해 걸러진 녹조 찌꺼기를 처리할 방법이 없고, 필터를 통해 걸러진 녹조 찌꺼기를 사람이 직접 제거해야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이러한 제거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실제 녹조제거 기능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강득구 의원은 국정감사장에서 에코로봇에 사용되는 필터를 가져와 실제로 녹조를 걸러내는지 직접 시연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지난해 에코로봇 관련 예산설명서를 보면 ‘녹조제거 기능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는 등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는 에코로봇이 녹조제거 효과가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10월 16일 발표된 국민권익위원회의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 집행 실태 조사’ 결과를 적극 수용하여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 2년간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의 집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목적 외 사용, △절차 위반 등의 부실 집행 사례를 확인하고 환경부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의 재원은 환경부 산하기관으로 댐 운영을 맡고 있는 한국수자원공사가 댐 용수판매수입금의 22%, 발전판매수입금의 6%를 출연하여 조성하며, 댐 주변지역 주민들의 소득증대와 복지 증진을 위해 쓰인다. 이 사업은 한국수자원공사와 지자체가 각기 집행하고 있다. ※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 댐건설이 완료된 후 댐 주변지역의 주민소득 증대과 복지 증진 등을 도모하기 위해 매년 시행하는 사업 ※ (댐 주변지역 정비사업) 댐건설기간에 댐 주변지역의 경제를 진흥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도로·상하수도 등 인프라 건설사업 등) 환경부는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 예산이 적정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댐 주변지역 관할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관련 교
[환경포커스=수도권] 한국환경공단 광주전남제주환경본부(이하 공단, 본부장: 박종호)는 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의 중대재해 발생 방지와 자기규율 예방체계 구축을위해 제주해양경찰 구조대와 함께 해상안전 합동훈련을 10월 15일 실시하였다. 이번 합동훈련은 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의 신설 해양 방류관로(1.5km)를 해저에 매설하는 시공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잠수부의 안전사고 발생 시 위험상황, 돌발 사고 등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이다. 또한, 잠수작업 사고발생 상황을 가정하여 산소부족상황, 장애물걸림, 기타 돌발상황 시 해양경찰 신고부터 사고자 구출, 응급 조치 및 응급 병원 이동까지 즉각적 대처와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 공단과 해양경찰이 시공사인 금호건설(주)과 함께하는 훈련이다. 박종호 본부장은 “합동훈련은 해양 공사 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위험상황, 돌발 사고 등 안전사고 시 효율적인 구조 방법을 점검하는 소중한 시간이였으며, 앞으로도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및 시공사와 협업하여 성공적인 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을 달성토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