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상하수도

서울시민 수돗물 사용도 코로나19로 3월 사용량 감소

- 총 996개소 원격검침 수전에 대한 수돗물 일일사용량 실시간 측정 분석
- 특히, 일반(영업)용 사용량 32.8% 감소, 공공용 사용량은 97.1%까지 줄어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지난 3월 2일부터 코로나19를 멈추기 위해 대대적으로 전개된 사회적 거리두기 시민운동 ‘잠시 멈춤’ 기간 동안 수돗물 사용량이 감소했다고 24일 밝혔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시민들의 캠페인 참여와 효과를 확인하는 차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3.2~3.13)의 수돗물 사용량을 조사·분석한 결과, 전년도 동기 대비 수돗물 사용량이 평균 7.1%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량 분석은 원격검침 계량기가 설치돼 실시간으로 수돗물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996개소를 대상으로 했으며, 이를 업종별로 구분했을 때 ▴가정용 수전 982개소 ▴일반용(영업용)수전 10개소 ▴공공용 수전 4개소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량 분석 기간은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중 3월 2일부터 3월 13일까지 12일간으로, 같은 기간 2019년과의 사용량을 비교하였다.

 

해당 기간의 수돗물 사용량을 업종별로 구분해 살펴봤을 때, 모든 업종의 평균 사용량이 감소했는데 이중 일반 가정집이 사용하는 ‘가정용’ 수돗물의 사용량은 평균 6.5% 감소하였다.  이는 외출 자제에 따라 외출과 귀가 시 필요한 세면, 샤워 횟수 감소, 친인척 및 이웃 등과의 가정 방문의 감소 등으로 사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 가정용 수전 982개소 일일사용량 현황(3.2.~3.13.)                                             

                                                                                                                                      (단위:㎥)

 

구 분

2

3

4

5

6

7

8

‘19.3

43,738

46,915

49,695

49,693

49,711

51,545

49,693

‘20.3

45,621

47,398

45,142

46,128

45,855

41,943

43,369

·

1,883

483

4,553

3,565

3,856

9,602

6,324

구 분

9

10

11

12

13

‘19.3

46,192

46,152

51,253

48,834

51,146

584,567

‘20.3

47,609

40,660

51,152

45,418

46,424

546,719

·

1,417

5,492

101

3,416

4,722

37,848

▸ 가정용 수전 982개소 일사용량 변동 추이(3.2.~3.13.)

 

 

한편 상업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영업)용’의 사용량은 평균 32.8% 감소했고, 학교나 병원 등 공공기관이 사용하는 ‘공공용’의 사용량은 평균 97.1%까지 매우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 대상인 일반(영업)용 수전 10개소는 상가빌딩, 아파트형 공장, 주상복합시설, 영업시설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조사 기간 동안 1개소의 평균 사용량이 292.5톤으로 전년 동기 435.3톤 대비 142.8톤(32.8%) 감소하였다.  일반(영업)용 수돗물 사용량 감소는 각종 모임 자제 및 연기, 크고 작은 사회적 행사의 취소 등으로 인한 유동인구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 일반(영업)용 10개소 일일사용량 현황(3.2.~3.13.)

                                                                                                                                                    (단위:㎥)

 

 

구 분

2

3

4

5

6

7

8

‘19.3

289

265

383

427

416

389

481

‘20.3

269

268

304

216

287

173

115

·

20

3

79

211

129

216

366

구 분

9

10

11

12

13

‘19.3

229

254

459

339

422

4,353

‘20.3

272

268

275

196

282

2,925

·

43

14

184

143

140

1,428

 

 

▸ 일반(영업)용 10개소 일일사용량 변동 추이(3.2.~3.13.)

 

조사 대상 중 공공용 수전 4개소는 초등학교, 체육센터 등의 공공시설을 포함하고 있는데 조사 기간 동안 1개소의 평균 사용량이 19톤으로 전년 동기 651톤 대비 632톤(97.1%)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사용량이 줄어들었다.

공공용 수돗물 사용량은 가장 뚜렷한 감소세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교육시설의 개학 연기, 공공체육시설 운영 중단, 종교행사의 잠정 중단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 공공용 4개소 일일사용량 현황(3.2.~3.13.)                                                                                     (단위:㎥)

 

 

구 분

2

3

4

5

6

7

8

‘19.3

119

48

228

279

299

230

305

‘20.3

10

4

9

7

5

3

3

·

109

44

219

272

294

227

302

구 분

9

10

11

12

13

‘19.3

138

79

318

282

279

2,604

‘20.3

7

7

7

6

8

76

·

131

72

311

276

271

2,528

 

▸ 공공용 수전 4개소 일일사용량 변동 추이(3.2.~3.13.)

 

수돗물은 계절, 기온, 날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그 사용량이 증감하는데, 이번 조사 결과처럼 조사기간 내 가정용, 일반용, 공공용 수돗물의 사용량 모두가 감소 추세를 보인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3월 2일부터 수많은 서울 시민들이 사회적 거리두기 ‘잠시 멈춤’ 시민실천 캠페인에 적극 동참하며 친목 모임 자제, 행사 취소, 재택근무 확대, 개학연기 등으로 사회적 활동 감소가 두드러졌고, 수돗물 사용량 감소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분석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여름철 수요 급증하는 모기기피제 52건 수거해 성분과 안전성 분석 실시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여름철 수요가 급증하는 모기기피제 52건을 수거해 성분과 안전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는 스프레이형, 롤온형, 패치형, 밴드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약국과 온라인 쇼핑몰 등 시중 유통 제품 전반을 포함하였다. 조사 결과, 패치형과 밴드형 제품은 모두 의약외품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방향제’나 ‘날벌레용 기피제’ 등으로 분류된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이었다. 조사 대상 중 28건은 의약외품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는 공산품,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화장품이었다. 특히 ‘썸머패치’, ‘썸머밴드’ 등 명칭을 사용하는 일부 제품은 소비자가 의약외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으며, 해당 제품의 주성분은 천연 정유 성분인 시트로넬라 오일이다. 분석 결과, 조사 대상 52건 중 39건에서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0.01% 이상 함유되어 있었으며, 일부 생활화학제품에서는 발암가능물질인 메틸유게놀도 미량 확인되었다. 제라니올, 시트로넬올, 리날룰 등 알레르기 유발 성분은 조사 대상 중 약 75%에서 확인되었으며, 주로 향을 포함한 대부분 제품에서 나타났다. 일부 생활화학제품에

정책

더보기
김성환 환경부 장관, “세종보 상시개방은 개인 의견…철거 여부는 공론화 필요”
[환경포커스=세종]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8월 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비공식 티타임 형식으로 간담회를 갖고, 4대강 재자연화, 국립공원 케이블카,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탈탄소 산업정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세종보 상시개방 논란에 대해 “환경부 장관으로서 상시개방이 바람직하다는 개인 의견을 밝힌 것”이라며, “철거 여부는 공론화를 거쳐 결정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동시에 “세종보 농성 중인 시민과 약속한 것도 ‘상시개방’이며, 철거 결정은 내가 단독으로 할 수 없다고 충분히 설명했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대해 “이는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고, 문재인 정부에서 약속했던 내용을 이행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금강과 영산강의 5개 보 현장을 모두 둘러본 상태”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당시 세종보·공주보 철거, 백제보 상시개방 방침에 대해 “환경부 장관이 개방 여부도 말 못하면 뭘 말하라는 것이냐”며 직설적인 언급도 덧붙였다. 다만 철거 등 추가 조치는 “절차와 공론화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국무회의 중 산불 대응을 위한 임도(산불진화도로) 설치 발언과 관련해 “해당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높아지는 수시 모집 비중에 맞춰 입시박람회 및 설명회 <수시:로 물어봐> 개최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8월 9일 토요일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에서 입시박람회 및 설명회 <수시:로 물어봐>를 개최한다고 전했다. 사전 신청을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일부 프로그램은 행사 당일 현장에서 접수하고 참여할 수 있다. 시는 수시 모집 비중이 높아지고 전형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수험생들이 입시 전략을 짜는 데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반영해 공공 입시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보 격차 해소’라는 취지에 맞춰 서울런 이용자에게는 우선 참여 기회를 부여한다. 박람회에는 연세대․경희대․인하대․경인교대 등 수도권, 비수도권 4년제 대학 총 27곳이 참여하며, 수험생은 최대 2개 대학을 선택해 상담받을 수 있다. 대학별 입학사정관이 20분간 1:1 맞춤형 상담을 통해 개인별 전형 전략을 제시해 준다. 상담은 오전(10~13시)과 오후(15~18시) 두 회차로 나눠 진행되며 각 대학별 2026년 수시 입학 전형과 최근 입시 동향, 평가 기준, 합격 사례 등 수시 전략 수립에 도움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사전 신청한 수험생을 중심으로 총 600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13시부터는 입시 전문가 윤여정(유니브 클래스 컨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