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토양지하수 오염원 정화기술 등 중국 관심

‘서울시 중국투자협력주간’에서 국내 스타트업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베이징 현지에서 연 ‘서울시 중국투자협력주간’에서 국내 스타트업이 내놓은 ▴무호흡증‧이갈이‧코골이 등 치료를 위한 보철 및 구강 센서(큐라움, 대표 정일도)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로봇(로보러스, 대표 김대훈) ▴토양지하수 오염원 정화기술(지우이앤이, 대표 이재원) 기술들이 중국 현지 투자가들의 관심을 모았다.

 

서울시는 28일(수) 중국 현지에서 개최된 ‘서울시 중국투자협력주간’ 현장에서 서울 소재 유망 중소기업과 중국 투자가 100명 간 1대 1 투자 상담회를 통해 현재까지 이와 같이 총 3곳의 서울 중소기업과 현지 중국 투자자 간 중국 진출 및 투자를 협력하는 내용의 MOU를 총 4건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중국 투자자의 선호도와 기업의 기술사업화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엄선한 20개 국내 유망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을 동행해 중국 현지 100명의 투자자들과 만남의 자리를 주선했다.

참가 기업 20개사는 IoT, 바이오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서울 소재 중소기업들이다. 중국 투자자의 선호도와 기업의 기술사업화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전문가 선정위원회를 통해 최종 선정됐다. ▴사물인터넷(IoT) 6개사 ▴바이오 헬스케어 5개사 ▴에너지 2개사 ▴소재 및 첨단산업 7개사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업 당 평균 5건 이상의 상담을 진행, 총 109건의 상담이 이뤄졌다. 단순 투자뿐 아니라 합작회사에 설립에 대한 논의도 20건 이상 진행됐다는 후문이다. 바이오의약품 개발업체인 지아이이노베이션(대표 권재현)은 4개의 중국기업으로부터 합작회사 설립 제의를 받았고, 플럭시티, 아이디브, 힉스컴퍼니 등도 중국 투자가들의 러브콜을 받았다.

 

중국 베이징을 순방 중이던 박원순 시장도 현장을 방문, 국내 기업 대표들을 만나 힘을 실어주었다. 서울시는 이번 행사를 위해 사전에 기업 선정 후 4주간의 투자유치 컨설팅을 지원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부스별 통역사를 배치해 상담을 지원하는 등 기업 진출 및 투자유치를 위해 전방위 지원에 나섰다.

 

시는 기업 선정 후 4주간 전문컨설팅을 통해 기업별 사업현황파악, 핵심경쟁력 분석, 시장현황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투자상담회를 진행하기 위한 교육과 기업 IR자료 작성 등을 지원했다.

 

중국 측에서는 중국은행, 중국투자협회 해외투자연합회, QF캐피탈, Co-Founder 창업투자, 베이징 중해 투자관리 유한회사, 북광그룹 등 30여 개사 100여 명의 중국 투자자가 참여, 1:1 집중상담이 이뤄졌다.

 

코골이, 이갈이 등 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구강 센서 및 보철장치전문 업체인 ‘큐라움(대표 정일도)’은 2시간이 넘는 상담을 진행해 중국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그중 중국 치과 의료기기 회사인 베이징 화이성야 유한회사(北京华益圣亚), 베이징 궈위마오(北京国裕茂)와 각각 현지사업화 및 투자관련 협력 MOU를 체결했다.

 

중국에서도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토양세척, 토양 오염확산 방지 같은 토양 지하수오염 정화 기술을 보유한 ‘지우이앤이(주)’는 유징텐국제수환경(佑景天国际水环境)과 현지사업화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능형 접객, 고객 맞춤형 정보‧서비스 제공 등이 가능한 인공지능 로봇을 개발한 ‘로보러스’는 홍싱과기유한회사(宏兴科技有限公司)와 중국 현지 사업화에 대한 협력과 투자 유치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조인동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기업 선발부터 투자자 선정까지 철저한 준비 과정을 거쳤다”며 “향후 현지진출 및 투자유치 등 실질적인 성과가 나도록 사후관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현수막 없는 청정 거리> 운영해 연중 쾌적한 도시경관 유지하고 아름다운 도시 이미지 조성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주요 관광지, 교차로, 관문 지역을 대상으로 '현수막 없는 청정 거리'를 운영해 연중 쾌적한 도시경관을 유지하고, 아름다운 도시 이미지를 조성한다고 전했다. 시는 광안리 해수욕장 해변도로 1.5킬로미터(km) 구간을 시범 구역으로 지정해 9월 1일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오는 9월 말까지 16개 구·군에도 자율적으로 청정 거리를 지정·운영하도록 요청했다. 지정 대상은 ▲해운대·송도·다대포 등 해수욕장 ▲부산역, 구서나들목(IC), 김해공항 입구 등 관문 지역 ▲서면·연산·수영·덕천·문현·미남 등 주요 교차로다. 청정거리로 지정된 구간에는 정당과 관련 기관의 협조를 얻어 공공기관 현수막을 포함해 모든 현수막의 설치를 금지하고, 하루 두 차례 이상 정기 순찰을 통해 상시 단속·정비·철거가 이뤄진다. 한편, 운영이 우수한 지방자치단체에는 ▲전자 현수막 게시대 우선 설치 ▲업무평가 가점 ▲포상 ▲시 지원사업 우선 선정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시는 이번 조치를 통해 연중 깨끗한 도시경관을 유지하고, 공공기관 현수막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공정한 원칙 확립과 건전한 옥외광고 문화 조성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고미진 시 미래디자인본

정책

더보기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제4차 국가 기후위기 대응대책 '
[환경포커스=국회] 환경부가 8일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보고한 '제4차 국가 기후위기 대응대책(2026~2030)'은 홍수·가뭄 등 기후재난에 ‘신속 대응·선제 대비’하는 물관리 체계 혁신에 방점을 찍었다. 기후위기가 일상화되면서 국민 안전과 물안보를 지키기 위한 국가 인프라 전환이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홍수 대응에서는 AI 기반 홍수 예보지점을 2030년까지 270개소로 확대하고, 지능형 CCTV·실시간 강우 예측을 활용해 돌발 홍수에 선제 대응한다. 아울러 댐 유역별 가능최대강수량(PMP) 재산정과 하천·하수도 설계기준 강화를 통해, “200년 빈도 이상 재해에도 견딜 수 있는” 방재 수준을 마련한다. 가뭄에는 지하수저류댐을 섬·내륙 8개소로 확대하고, 농업용 저수지·발전용 댐을 연계해 물부족 지역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한다. 특히 가뭄이 장기화될 경우 가장 먼저 위협받는 먹는물(수돗물) 확보를 위해, 정부는 다목적댐과 지방상수도 간 비상연계 체계를 강화하고 취수원 다변화·고도정수처리 시설 확충을 추진한다. 정부는 ‘국가 통합물관리 플랫폼(물모아)’을 통해 37개 다목적댐 수위 정보를 우선 공개하고, 향후 발전용댐·농업용저수지까지 확대해 국민과 지자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오송시험선 구간에서 위례선(트램) 초도 편성 <예비주행시험> 돌입
[환경포커스=서울] 58년 만에 서울을 다시 달리게 될 트램(노면전차) 위례선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낸다. 서울시는 내년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9월 초부터 약 한 달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오송시험선 구간에서 위례선(트램) 초도 편성에 대한 ‘예비주행시험’에 들어간다고 전했다. 위례선 트램은 전국 최초 무가선 노면전차로, 마천역(5호선)에서 출발해 복정역(8호선‧수인분당선)과 남위례역(8호선)을 연결한다. 총 연장 5.4㎞로 정거장 12개소, 차량기지 1개소를 만들고 전동차 10편성을 투입한다. 이번에 진행하는 ‘예비주행시험’은 위례신도시의 교통난 해소와 대중교통 편의성과 안전 확인을 위한 위례선 트램사업의 핵심 관문으로 시험기간 동안 총 5,000㎞ 이상을 주행하게 된다. 시험 중 ▴가속‧제동 ▴곡선 주행능력 ▴통신·신호시스템 연동 ▴승차감 ▴소음·진동 등을 종합 점검해 차량 성능과 안전성을 철저하게 검증, 시민들이 안심하고 트램을 이용하도록 한다는 목표다. 특히 노면전차는 도로를 공유해 운행하는 특성상, 위례선 전 구간에 13개 교차로와 35개소의 횡단보도가 설치되므로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한 정교한 시스템 점검이 필수적이다. 시는 예비주행시험 기간 동안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