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전국

야생멧돼지 10월 최다 출몰 주의보

 

[환경포커스=서울] 소방재난본부는 최근 3년간(’15.1.~’18.9.까지) 멧돼지 출몰 신고로 출동한 현장대응활동 통계 분석을 19() 발표 했다.

 

최근 3년간 멧돼지는 ’15364, ’16623(전년 대비 259(71.15%)증가 했으나, ’17472건으로 감소했다가, ’189월 말 현재까지 238건을 기록했다. 통계 수치상으로 멧돼지는 도심에서 끊이지 않고 사람의 눈에 띄고 있는 셈이다.

  ▲ 도봉소방서 멧돼지 제공

멧돼지는 어미를 중심으로 가족단위로 활동하기 때문에 집단으로 출현하는 경우가 많고, 흥분하면 돌진하는 습성으로 이동방향을 종잡을 수 없고, 도심에서는 음식물 냄새를 따라 먹이를 찾아 헤집고 다니기 때문에 한번 출몰한 장소를 아수라장으로 만드는 특징이 있다.

 

또한 멧돼지 떼가 지나간 자리에는 땅을 헤집고 닥치는 대로 먹어 치워 주변 농경지가 초토화된다는데 피해의 심각성이 있다.

 

’11년부터 멧돼지 통계를 시작한 이후 최근 6년간 통계 수치상 ’16년이 가장 많았고, 이후부터 그 수치는 감소하고 있으며 1년 중에서 10월부터 11월 사이에 사람의 눈에 가장 많이 띄었다. 그중에서도 10월이 238(16.3%)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3년간 도심 멧돼지 월별 출현현황

(기간 : ’15~’17)

구분

출동건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459

75

65

92

135

107

72

116

72

172

238

189

126

2017

472

33

42

49

61

69

25

23

19

41

51

45

14

2016

623

40

15

28

45

19

14

44

31

87

136

92

72

2015

364

2

8

15

29

19

33

49

22

44

51

52

40

출처 : 서울소방재난본부

 

멧돼지가 출몰하는 지역은 산과 인접한 곳에서 주로 많았다. 북한산과 인접한 종로, 은평, 성북, 서대문 그리고 도봉산과 인접한 도봉, 강북소방서, 수락산, 불암산과 인접한 노원소방서 등이다.

’11년부터 본격적인 멧돼지 통계작성 이후 한 건도 없다가 올해 처음으로 멧돼지가 출몰한 지역은 관악과 성동소방서 관내이다.

최근3년간 도심 멧돼지 월별 출현현황

(기간 : ’15.~’18.9.)

구분

합계

은평

종로

도봉

강북

성북

노원

송파

강동

중랑

광진

마포

강남

강서

구로

서초

합계

1,697

371

330

250

217

153

147

104

53

46

5

5

4

4

1

1

1

1

1

1

1

1

2018

238

39

15

48

42

17

20

43

3

7

 

1

 

 

 

1

 

 

 

 

1

1

2017

472

78

71

90

63

41

45

40

18

17

2

3

1

2

0

0

0

0

1

0

 

 

2016

623

172

135

85

84

70

35

6

30

1

0

1

3

1

0

0

0

0

0

0

 

 

2015

364

82

109

27

28

25

47

15

2

21

3

 

 

1

1

 

1

1

 

1

 

 

출처 : 서울소방재난본부

 

멧돼지 출몰 장소별로는 산이 908건으로 가장 많고, 아파트 156, 도로 132, 주택 93, 공원 58건 등의 순이었다.

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멧돼지 서식지와 사람의 활동영역이 겹쳐진 결과로 풀이된다. 사람이 산을 가장 많이 찾는 10월에 멧돼지 출몰 건수도 가장 높았다.

야생동물과 사람이 충돌 없이 어떻게 공존 해 나갈 것인지 고민이 필요한 대목이다.

장소별 멧돼지 출몰 현황

기간 : ’15.~’18.9.30.

주택

도로

공원

학교

종교

시설

임야

빌라

상가

하천

논밭

빌딩

숙박

공사

기타

1,697

908

156

93

132

58

30

36

4

32

17

4

17

1

0

1

208

출처 : 소방재난본부

 

최근 멧돼지 출몰 사례로 지난 10110922분경 강북구 평화로15번길 서울인강학교 인근에 멧돼지 3마리가 출몰했고, 1061025분경 같은 장소에서 멧돼지 6마리가 출몰 해 동네를 헤집고 다니는 소동이 발생했다. 또한 9291025분경에는 도봉산길 89 도봉사 입구에서 멧돼지 10마리가 떼로 출몰해 주변 농경지를 파헤치고 민가로 돌진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한편 지난 717일에는 서대문구 북한산 입구에서 유인 포획 틀에 멧돼지 한 마리가 포획되기도 했다.

 

▲ 홍은동에서 포획한 멧돼지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사람을 위협하는 야생동물을 발견하면 119로 신고하고, 위협하지 않고 단순히 눈에 띤 야생동물은 발견한 사람이 조용히 자리를 피하면 된다.”고 밝혔다.

 

 

 

<멧돼지와 마주쳤을 때 행동요령>

 

 

 

 

 

 

눈이 마주쳤을 때는 뛰거나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침착하게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멧돼지의 눈을 똑바로 쳐다본다.

뛰거나 소리치면 멧돼지가 놀라 공격성을 띤다.

(뒷면)을 보이는 등 겁먹은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된다.

이 경우 야생동물은 직감적으로 겁먹은 것으로 알고 공격하는 경우가 많다.

멧돼지에게 해를 입히기 위한 행동을 절대해서는 안 된다.

멧돼지는 적에게 공격을 받거나 놀란 상태에서는 흥분하여 움직이는 물체나 사람 에게 돌진한다. 이럴 때는 주위의 큰 나무, 바위 등 은폐물로 피한다.

후각에 비해 시력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다.

번식기(12~1)에는 성질이 난폭해 진다. 5월경에 출산한다.

(출처 : 서울소방재난본부)

 

정문호 소방재난본부장은 “10월은 멧돼지가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로 일반 주거지까지도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고 말하고, “야외 활동 시 멧돼지 대처요령을 숙지해 피해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및 기부금 전달식 개최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8일 오전 11시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및 기부금 전달식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박형준 시장, 김경환 한국주택금융공사장, 이헌승 국회의원 등이 참석해 세대이음 친환경 노인일자리를 창출하는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를 조성하고, 부산 어르신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날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기부금 2억 2천만 원을 전달했다. 기부금은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부산형 해비타트 챌린지 ▲저소득 조손가정 생활지원금 지원사업 ▲노인 인식개선 프로젝트 등 4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쓰일 예정이다. 기부금 중 1억 8천만 원은 부산진구에 문을 열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10호점 조성에 사용될 예정이다. 시는 지난 6월, 올해(2025년)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사업 대상지로 5곳을 선정했다. ▲6호점 강서구 ▲7호점 동구 ▲8호점 북구 ▲9호점 기장군 ▲10호점 부산진구로, 연말까지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대상지 선정은 폐원 노인요양센터·어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여름방학 맞아 도시생활지도 내 <도심 속 피서지> 테마 지도 운영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7월 26일 토요일부터 ‘도시생활지도’ 내 ‘도심 속 피서지’ 테마 지도를 운영한다고 전했다. 이 지도에는 7.26.(토) 현재 기준으로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운영하는 총 239개소의 물놀이 시설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 이 중 ▲수영장 26개소 ▲물놀이장 106개소 ▲바닥분수 62개소 ▲수경시설 45개소로, 시설별 특성과 위치, 운영시간, 편의시설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정보를 제공하며, 8월 말까지 운영된다. 향후 추가 운영되는 물놀이 시설이 있을 경우 지속 반영할 예정이다. 그간 물놀이 시설 정보는 구청 누리집이나 블로그 등으로 흩어져 있어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 이에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스마트서울맵을 통해 통합 정보 제공을 시작,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정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 구청 사업 담당자가 직접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해 시민에게 더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심 속 피서지 지도는 단순한 위치 안내에 그치지 않는다. 운영시간, 요금, 휴장일, 매점 유무 등 실제 방문객이 궁금해할 실용 정보를 상세히 제공한다. 또한 ‘한강공원 즐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