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전국

서울시, <2025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 하반기 참여자 모집

약자동행 공공일자리 ‘서울 동행일자리’, 올 하반기 5개 분야 시·구 762개 6,976명 활동
7.1~12.19까지 약 6개월간 참여자인 약자가 다른 약자를 돕는 ‘자조’ 기반 사업으로 운영
실업자, 일용근로자 등 취업 취약계층 참여 가능…5.16(금)까지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시,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 통해 취업 취약계층의 생계 안정 도모와 고용 안전망 구축 기대”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민생경제 회복과 취약계층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2025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 하반기 참여자를 5월 1일 목요일부터 5월 16일 금요일까지 모집한다고 전했다.

 

‘서울 동행일자리’는 시정철학인 ‘약자와의 동행’에 부합한 주요 시책 보조 일자리 사업을 적극 발굴해, 실업자 등 취업 취약계층이 다른 사회적 약자를 도울 수 있는 형태의 일자리 사업이다. 시는 단순 사무보조 업무 등이 아닌 공공성 높은 사업으로 통・폐합해 현장 수요가 많은 대민활동을 중심으로 ‘서울 동행일자리’를 운영하고 있다.

 

하반기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은 오는 7월 1일(화)부터 12월 19일(금)까지 약 6개월 동안 운영되며, ▴돌봄・건강 ▴경제 ▴사회안전 ▴디지털 ▴기후환경 등 5개 분야 762개(시・구 합산) 사업, 총 6,976명이 다양한 유형의 약자를 돕는 현장에서 활동할 예정이다.

 

올 상반기에는 ▴‘사회 안전 약자 지원’ 216개 사업 2,034명 ▴‘돌봄·건강 약자 지원’ 155개 사업 952명 ▴‘디지털 약자 지원’ 67개 사업 656명 ▴‘기후 약자 지원’ 194개 사업 2,267명 ▴‘경제 약자 지원’ 83개 사업 581명 등 총 6,490명이 활동 중이다.

 

특히, 이번 하반기에는 디지털 약자를 위한 지원, 취약계층 건강 증진 등 주요 사업에 필요한 인원을 늘려, 상반기보다 486명의 인원이 더 참여할 수 있게 됐다.

 

하반기 선발인원은 ▴‘돌봄・건강 약자 지원’ 165개 사업에 1,012명 ▴‘경제 약자 지원’ 91개 사업에 655명 ▴‘사회 안전 약자 지원’ 226개 사업에 2,193명 ▴‘디지털 약자 지원’ 75개 사업에 724명 ▴‘기후 약자 지원’ 205개 사업에 2,392명 등이다.

 

‘돌봄·건강 약자 지원’ 사업은 ① 만성질환예방, 대사증후군 관리, 치매 등 취약계층 건강 격차 감소를 위한 건강 증진 동행 사업(12명), ②실내 놀이공간에서 아동이 안전하게 놀이를 만끽하도록 ‘아동 놀이시설 안전 관리 전문가 양성(20명)’ 등이다.

 

‘경제 약자 지원’ 사업에는 ① 농축수산물 등 82개 품목 가격 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기회를 제공하는 ‘물가안정 점검지원(12명)’ ②식품 등을 기부받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하는 푸드뱅크마켓 운영지원(15명) 등이 있다.

 

‘사회안전 약자 지원’의 주요 사업으로 ① 어린이의 안전한 통학 환경을 돕는 ‘스쿨존 교통안전 지킴이’(172명) ②‘거리 노숙인 돌봄단 등 감염병, 기후재난에 취약한 거리 노숙인 보호 지원(26명)’ 등을 추진한다.

 

‘디지털 약자 지원’은 ①어르신이 많은 지역을 순회하며 디지털 기기 이용을 돕는 ‘디지털안내사(125명)’, ②디지털 책 코디네이터, 도서관 정보화 사업 등 소외되는 정보 취약계층이 없도록 도서관 전자 서비스 이용에 도움을 제공하는 사업(65명) 등 디지털 약자를 위한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한다.

 

‘기후환경 약자 지원’의 주요 사업에는 ①도로 위 무단 방치된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 관리 지원(29명)’, ②에너지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노후주택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 유리 단열재 시공을 지원하는 ‘에너지 서울동행단(40명)’ 등이 있다.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시민은 5월 16일(금)까지 주소지 동주민센터에 방문 상담 후 신청하면 된다. 모집대상은 18세 이상 근로 능력이 있는 서울시민이다. 단, 세대원 합산 기준 중위소득이 80% 이하면서, 합산재산이 4억 9,9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만 신청 가능하다.

 

선발된 참여자는 1일 6시간 이내, 주 5일 근무하며 임금은 1일 6시간 근무 시 일 6만 1,000원, 월평균 약 177만 원이다.

 

기타 사업별 자격요건, 업무내용, 근로조건 등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누리집(www.seoul.go.kr)과 서울 일자리포털(job.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치구 사업별 마감 일자가 다를 수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시는 하반기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이 현장에서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사업 현장점검과 모니터링을 면밀하게 진행하고, 우수사업은 적극적으로 발굴해서 서울 전역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고물가․고환율 등 경제 상황 악화와 장기적인 민간 일자리 위축 상황에서 실업자, 일용근로자 등 취업 취약계층의 생계 지원을 위한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이 취업 취약계층의 생계 안정과 고용 안전망을 구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더 많은 사회적 약자들이 동행일자리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지하철 이용 중 불편한 점 24시간 내내 AI 챗봇 <또타24> 이용해 접수하세요
[환경포커스=서울]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8호선 이용 중 불편한 점이 발생했을 때 별도로 고객센터에 연락하지 않고도 24시간 내내 간편하게 민원을 접수할 수 있는 창구인 AI 챗봇 ‘또타24’를 소개했다. 공사는 지하철 이용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24시간 AI 기반 챗봇 민원 상담 서비스 ‘또타24’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작년 한 해만 43만 건이 넘는 민원을 챗봇으로 처리했다. 특히 냉‧난방 민원과 같은 간단한 민원의 경우, ‘또타24’를 활용하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접수할 수 있어 많은 시민이 이용하고 있다. 챗봇 채팅창에 “더워요” 또는 “추워요”를 입력하면, 민원 접수 화면으로 이동한다. 이후 호선과 탑승 중인 열차의 칸 번호를 입력하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민원이 자동 접수된다. 실제로 작년 한 해 공사에 접수된 전체 냉난방 민원의 38%에 달하는 36만 건의 냉‧난방 민원이 챗봇을 통해 접수됐다. 챗봇을 통해 민원이 처리되는 만큼 고객센터 직원들은 응급환자 발생‧소란자 발생 등 긴급한 민원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올해도 1월에서 5월까지 ‘또타24’는 126,747건의 민원을 처리했다. 이 중 냉‧난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접근성 놉이기 위한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하반기 활동 돌입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이 함께 시민추진단을 구성해 저상버스에 직접 탑승하는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상반기 활동을 마무리하고 하반기 활동에 돌입한다고 전했다. 시는 지난 3월 20일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뇌병변복지관과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시민추진단을 통해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시민추진단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총 65회에 걸쳐 부산 시내를 운행하는 저상버스를 타고 탑승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를 했으며, 하반기에는 100회 이상 저상버스 탑승 체험을 할 계획이다. 시민추진단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 26명으로 구성되고, 4인이 한 조로 저상버스를 체험하며 운전기사와 승객들에게 교통약자의 이동권에 관한 관심을 유도한다. 조사 내용으로 ▲버스정류장 내 운행 시간표상 저상버스 운행 표시 여부 ▲버스정류장 앞 보도 연석 높이와 보도 폭 ▲휠체어 탑승 후 저상버스 출발 시간까지 걸리는 시간 ▲운전기사와 승객 태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