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부산시, 4월부터 12월까지 <2023년 찾아가는 자원순환 정책설명회> 운영

자원재활용 인식개선을 위한 『찾아가는 자원순환 정책설명회』 운영
일반시민, 단체, 기관, 학교 등 대상으로 총 60여 회 개최 예정
교육 희망일 2주 전까지 이메일·전화·팩스 등으로 신청 접수
일상생활 속 자원순환 정책에 대한 시민 이해도 제고 및 공감대 확산 도모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자원순환 정책에 대한 시민 이해도를 높이고,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해 4월부터 12월까지 「2023년 찾아가는 자원순환 정책설명회」를 운영한다고 전했다.

 

자원순환 설명회는 환경 관련 전문강사가 직접 시민들에게 찾아가 맞춤형 눈높이 설명으로 부산시의 자원순환 정책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행동이 재활용과 분리배출인 만큼 재활용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 시민들의 자원순환 참여도를 높일 계획이다.

 

올해는 재활용품 활용 체험활동을 확대 시행해 시민들에게 일상생활과 밀접한 자원순환 정책을 직접 체감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친환경에 대한 미래세대의 관심과 흥미를 높이기 위해 부산시청 『들락날락 어린이도서관』과 연계해 환경문화체험도 즐겨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시민들에게 자원의 소중함과 재활용의 중요성을 알려줌과 동시에 시민들의 문의 사항이나 불편 사항 등을 적극적으로 듣고, 이를 시책에 반영해 ‘쓰레기 없는 부산’을 만들기 위해서도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올해는 총 60여 회 진행될 예정이며, 신청은 일반시민과 단체, 기관, 학교 등 부산시민이면 누구나 교육 희망일 2주 전까지 이메일(sonmj@korea.kr) 또는 전화(☎051-888-3681), 팩스(☎051-888-3689), 우편(부산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부산시청 22층 자원순환과)으로 접수하면 된다.

 

이근희 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은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환경교육”이라며, “자원순환정책 설명회가 자원순환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와 관심도를 높이고, 재활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 저탄소 그린도시를 앞당기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 다해 노력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지난 10월 17일부터 시 전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자원봉사자들은 지난 9월 23일 개최된 전국(장애인)체전 사전경기를 시작으로 대회 운영지원에 참여하고 있으며, 오는 11월 5일에 마치는 전국장애인체전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는 총 4,247명의 자원봉사자가 참여하며, 부산 전역 110개 경기장에서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주요 활동 분야는 ▲경기 운영지원(경기장 안내, 질서유지, 주차동선 안내, 의료·방역 지원, 도핑검사 지원,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의전지원, 입장 안내 및 기념품 배부, 출연진 안내 및 연출시설 통제,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내부 질서유지, 경기장 동선 안내, 선수단 입퇴장 지원) ▲환영행사 지원(해외동포선수단 환영만찬 지원, 선수단 환영행사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대회 종합상황 유지·관리 및 안내소 운영) ▲홍보지원(언론보도 지원, 홍보관 운영지원) 등이다. 자원봉사자들은 투철한 봉사 정신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경기장을 찾은 관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