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전국

금년 슬레이트 철거 국고보조금, 168만 원으로 UP

- 환경부, 슬레이트 지붕 철거 실비용 국고지원 비율 2014년도 60%에서 2015년도 70%로 늘어나
- 슬레이트 철거물량 2014년 2만동에서 2015년 2만 2,000동 확대
- 국정과제로 2017년까지 10만 4,000동 철거 목표, 달성 가능


 

환경부(장관 윤성규)가 올해 슬레이트 지붕 철거 지원사업 국고보조금을 가구당 철거비 168만 원으로 책정했다. 이 금액은 지난해 144만 원보다 약 17%인 24만원이 늘어났다. 슬레이트는 시멘트와 발암물질인 석면을 84:16의 중량비로 압축하여 제작한 얇은 판으로 1960~1970년대 농가 지붕에 많이 사용되었던 것이다.

  

올해 가구당 받을 수 있는 슬레이트 국고지원금은 환경부 국고보조금 168만 원과 지방자치단체별로 책정된 지원비를 포함할 경우 최대 336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슬레이트 지붕 철거 실비용은 전액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환경부는 사회취약계층의 슬레이트 철거 비용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2011년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한 슬레이트 지붕 철거 지원사업은 2012년 실제 철거비의 30%선에서 지원했으며, 해마다 지원금이 늘어 올해는 70% 수준에서 168만 원 정액으로 결정됐다.

<연차별 국고보조금 금액>

구 분

‘11(시범사업)

‘12

‘13

‘14

‘15

가구당 지원액

112만원 정액

(30% 수준)

실 철거비의 30%

(최대 국고 60만원)

96만원 정액

(40% 수준)

144만원 정액

(60% 수준)

168만원 정액

(70% 수준)

 

슬레이트 지붕 철거 지원사업은 지난해 목표대비 112%를 달성하며 전국 2만 2,320 가구의 슬레이트 지붕을 철거했다.

                                       < 슬레이트 지붕 철거 실적 >
                                                                                               (단위 : 억원, 동)

구 분

‘11(시범사업)

‘12

‘13

‘14

‘15

예산(국고)

568

28

60

192

288

369

사업물량

52,500

2,500

10,000

20,000

20,000

22,000

철거실적

50,924

2,372

8,290

17,942

22,320

-


또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5만 924동의 슬레이트 지붕이 철거됐으며, 2017년까지 10만 4,000동 철거라는 국정과제 목표도 무난하게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환경부가 17개 시?도와 22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4년 슬레이트 지붕 철거 지원사업 추진실적을 평가한 결과, 시?도별로는 경상남도, 시?군?구별로는 진주시가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됐다.

 

아울러 전라북도와 충청남도는 시?도에서 우수와 장려 지자체로, 포항시와 영주시는 시?군?구에서 우수와 장려 지자체로 각각 선정됐다. 

 

환경부는 지난 6일 대전광역시청에서 열렸던 ‘전국 슬레이트 처리 사업 담당공무원 워크숍’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된 경상남도 등 6개 지자체 소속 업무유공자에게 시상을 했다.

 

나정균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은 “올해 가구당 국고지원금 상향에 따라 올해 철거물량을 2만 2,000동으로 확대하여 국민들이 석면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힘쓸 계획”이라며 “슬레이트 주택 소유자들은 지붕 철거 지원사업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주길 부탁한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및 기부금 전달식 개최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8일 오전 11시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및 기부금 전달식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박형준 시장, 김경환 한국주택금융공사장, 이헌승 국회의원 등이 참석해 세대이음 친환경 노인일자리를 창출하는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를 조성하고, 부산 어르신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날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기부금 2억 2천만 원을 전달했다. 기부금은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부산형 해비타트 챌린지 ▲저소득 조손가정 생활지원금 지원사업 ▲노인 인식개선 프로젝트 등 4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쓰일 예정이다. 기부금 중 1억 8천만 원은 부산진구에 문을 열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10호점 조성에 사용될 예정이다. 시는 지난 6월, 올해(2025년)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사업 대상지로 5곳을 선정했다. ▲6호점 강서구 ▲7호점 동구 ▲8호점 북구 ▲9호점 기장군 ▲10호점 부산진구로, 연말까지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대상지 선정은 폐원 노인요양센터·어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여름방학 맞아 도시생활지도 내 <도심 속 피서지> 테마 지도 운영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7월 26일 토요일부터 ‘도시생활지도’ 내 ‘도심 속 피서지’ 테마 지도를 운영한다고 전했다. 이 지도에는 7.26.(토) 현재 기준으로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운영하는 총 239개소의 물놀이 시설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 이 중 ▲수영장 26개소 ▲물놀이장 106개소 ▲바닥분수 62개소 ▲수경시설 45개소로, 시설별 특성과 위치, 운영시간, 편의시설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정보를 제공하며, 8월 말까지 운영된다. 향후 추가 운영되는 물놀이 시설이 있을 경우 지속 반영할 예정이다. 그간 물놀이 시설 정보는 구청 누리집이나 블로그 등으로 흩어져 있어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 이에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스마트서울맵을 통해 통합 정보 제공을 시작,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정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 구청 사업 담당자가 직접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해 시민에게 더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심 속 피서지 지도는 단순한 위치 안내에 그치지 않는다. 운영시간, 요금, 휴장일, 매점 유무 등 실제 방문객이 궁금해할 실용 정보를 상세히 제공한다. 또한 ‘한강공원 즐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