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서울시, 일상 속 시민들의 <탄소배출 저감 습관을 응원해!> 이벤트 시작

9.1.~10.6. 연구원 누리집에서 탄소배출저감 생활 습관 공유
창의적인 탄소배출저감 생활 습관사진, 개인 SNS 또는 연구원 누리집에 인증
연구원 심사 및 투표 통해 선정된 사진은 연구원 누리집과 뉴스레터에 게시
참여자 100명 대상, 우수자 7인과 참여자 93명에게 상품권과 커피 쿠폰 시상

 

[환경포커스=서울]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일상 속에서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시민들의 생활 습관을 공유하는 ‘탄소배출 저감 습관을 응원해!’ 이벤트를 시작하였다고 전했다.

 

9월 1일(금)부터 10월 6일(금)까지 연구원 누리집에서 참여할 수 있으며 이번 이벤트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불필요한 이메일 지우기, 분리배출 철저히 하기 등 생활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시민들의 노력을 응원하고자 한다.

 

참여 방법은 2가지로 ① 연구원 누리집(https://sihe.seoul.go.kr/)에 탄소배출 저감 습관 사진 또는 영상을 직접 등록하거나 ② 개인 SNS(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 필수 해시태그(#탄소배출저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와 함께 사진 또는 영상을 게시하고 게시 링크를 이벤트 신청 메뉴에 등록하는 것이다.

 

이벤트 관련 자세한 정보는 연구원 누리집과 유튜브(https://www.youtube.com/@seoulSIHE)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많은 시민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우수참여자에게 5만원·3만원·1만원 상당의 상품권과 커피 쿠폰을 시상한다. 독창성, 성실성, 공유성을 기준으로 우수 참여자 7인을 순위별로 선정하고 참가자 93명에게도 커피 쿠폰을 지급한다.

 

우수 참여자 선정은 보건환경 분야 전문가(연구원 직원)의 심사와 투표를 통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반영한 사진(독창성), 실천 행동이 정성스럽게 표현된 사진(성실성), SNS 게시글의 좋아요 및 공유 수가 높은 사진(공유성)을 기준으로 선정한다.

 

우수 참여자의 창작물은 연구원 누리집과 페이스북, 뉴스레터 게시를 통해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공유되고 시민 누구나 창의적인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신용승 원장은 “연구원은 온실가스 측정망을 확대하고 최신 장비를 도입하여 온실가스 배출량과 예측 데이터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탄소배출 저감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있다”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 모든 시민들의 작은 실천과 참여가 필요한 만큼 이번 이벤트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및 업무보고 실시
[환경포커스=국회]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위원장 한정애)는 4월 30일(수)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열어 법률안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할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에 대한 업무보고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후위기 특별위원회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대응기금 등을 효율적으로 심사하기 위하여 2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심사하는 탄소중립기본법 심사 소위원회는 10인으로 구성하고,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하는 배출권거래법 및 기후예산 심사 소위원회는 11인으로 구성하고, 국민의힘 임이자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업무보고에서는 ▲ 정의로운 전환과 지역·노동자 보호, ▲ 배출권 거래제의 실효성 제고, ▲ 2030 NDC 이행전략과 국제감축의 한계, ▲ 에너지 전환 전략과 재생에너지 목표 이행, ▲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기후적응 정책 마련, ▲ 적극적인 기후재정의 역할, ▲ 탄소중립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