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저소득층 현실 반영하지 않는 국민연금공단 무분별 가입

  

[환경포커스=국회] 최근 국민연금 고갈 시점에 대한 논란으로 가입 및 탈퇴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은 가운데, 국민연금공단이 소득이나 근로환경에 대한 고려없이 무분별하게 국민연금 미가입자에 대한 직권가입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정숙 의원(비례대표)이 국민연금공단(이하 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단은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약 252,716명의 미가입자를 직권가입시켰다.  [1] 참조.

 

특히, 2013(1,371)과 비교하면 2017(112,717) 직권가입자는 무려 82배나 급증하였다.

 

[1] 연도별 사유별 직권가입 현황

(단위 : )

구 분

가입자 수

252,716

20131~ 12

1,371

20141~ 12

1,744

20151~ 12

32,397

20161~ 12

67,426

20171~ 12

112,717

20181~ 8

37,012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취득일 기준


문제는 직권가입 대상의 대부분이 소득이 낮거나 근로환경이 안정되지 못해 가입을 계속 유지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실제로 직권자입자의 절반 이상(전체 대비 60%, 143,005)은 가입 후 2개월 내 탈퇴 또는 자격을 상실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2] 참조  특히, 20%(48,426)은 가입 1개월 내 탈퇴하였고, 5년 이상 가입을 유지한 직권 가입자는 단 9명에 불과했다.

 

[2] 가입기간구간별 직권가입자 탈퇴 및 자격상실 현황

(단위 : )

구 분

상실자 수

1개월내

1개월~

2개월내

2개월~

3개월내

3개월~

6개월내

6개월~

1년내

1~

2년내

2~

3년내

3~

5년내

5

이상

236,458

48,426

94,579

15,512

34,933

25,645

13,789

3,293

292

9

2013

364

53

65

50

130

66

-

-

-

-

2014

451

92

82

49

155

93

-

-

-

-

2015

11,685

4,180

5,189

870

888

356

202

-

-

-

2016

60,767

14,440

26,923

4,952

7,943

5,201

1,209

99

-

-

2017

83,666

22,590

29,532

4,810

12,129

7,376

6,479

590

160

-

2018.8

79,525

7,071

32,788

4,781

13,688

12,553

5,899

2,604

132

9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상실일 기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탈퇴사유는 퇴직(사용관계 종료)이 전체의 98%(232,096)에 달했다. [3] 참조.

 

[3] 탈퇴사유별 직권가입자 탈퇴 및 자격상실 현황

(단위 : )

구 분

상실자 수

사용관계

종료

근로자제외(60시간 미만, 무보수대표 등)

60세도달 상실

다른 공적 연금 가입

사망상실

노령연금

수급자취득

국적상실, 국외이주

236,458

232,096

2,862

1,317

71

61

35

16

2013

364

339

4

17

2

-

2

-

2014

451

419

9

18

 

1

4

-

2015

11,685

11,445

170

57

2

5

6

-

2016

60,767

59,796

629

299

18

12

10

3

2017

83,666

82,171

914

514

21

29

12

5

2018

79,525

77,926

1,136

412

28

14

1

8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상실일 기준

 

소득수준의 경우, 월 소득 100만원 미만이 96,923명으로 가장 많았고, 200만원 미만이 96,747명 순으로 나타났다. [4] 참조.

 

[4] 소득분위별 직권가입 현황

(단위 : )

구 분

가입자 수

100만원 미만

100만원 ~ 200만원 미만

200만원 ~ 300만원 미만

300만원 ~ 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252,667

96,923

96,747

37,906

12,931

8,160

2013

1,371

480

600

177

114

-

2014

1,744

817

642

151

102

32

2015

32,397

11,268

14,495

4,818

1,115

701

2016

67,426

26,748

25,891

9,854

3,201

1,732

2017

112,717

41,445

41,871

18,107

6,719

4,575

2018

37,012

16,165

13,248

4,799

1,680

1,120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취득일 기준

 

이에 대해 공단은 미가입자를 최대한 연금 제도권 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입유지기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일단 직권으로 가입시키고 있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특히, 최근에는 일용직 근로자의 직권가입 기준을 기존 한달 내 20일 이상 근무에서 8일로 단축시키면서도, 가입자격 판별기준에 최저 소득기준은 마련하지 않았다.

 

문제는 연금 수령이 가능한 최소가입기준이 10년에 달하는 점을 고려했을 때, 근로환경이 안정되지 않은 저소득층의 생활여건을 감안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강제 가입시켜 보험료 납부를 강요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장정숙 의원은 가입자의 여건에 대한 심도있는 고민없이 단순 근무일수만으로 대상을 선정해 직권가입시키는 것은 탁상행정의 전형이라고 지적하며, “직권가입 대상의 판별기준에 최저 소득기준과 가입유지 가능성 등이 고려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밝힘. 아울러 가입실적을 성과에 반영하여 무분별한 가입을 유도하는 공단의 잘못된 관행에 대해서도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저출생 대응 캠페인 당신처럼 애지중지 <제2회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 개최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4일과 25일 양일간 영화의전당 하늘연극장 및 야외광장에서 저출생 대응 캠페인 당신처럼 애지중지 '제2회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은 부산시와 언론사, 부산 지역의 영유아, 부모, 단체 등 시민이 함께하는 ‘함께육아’ 인식개선과 저출생·육아 문제 소통을 위한 저출생 대응 캠페인 및 공감 프로젝트이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 개최된 행사로 시와 조선일보사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국마사회, 국립해양박물관, 대한적십자사 등 여러 유관기관과 시민 5천여 명이 함께했다. 이번 행사는 '온 부산이 당신처럼 애지중지',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부산'의 메시지를 담아 ▲개막식 ▲전문가 초청강연 및 공연 ▲실내외 체험 프로그램 ▲'정책 공감존'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됐다. 개막식은 10월 24일 오후 1시 30분 하늘연극장에서 ‘국공립어린이집 영유아&교사 합창대회’ 우승팀의 여는(오프닝) 공연을 시작으로, 개회선언·환영사·축사, 시상식 순으로 개최됐다.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시민, 다자녀가정 및 출산친화기업 등 3백여 명이 참석해 개막을 축하했다. 강연 프로그램으로는 ▲대한민국 최고의

정책

더보기
박홍배 의원 기후부 생활환경과 폐지 논란… “일상환경 행정 사라졌다”
[환경포커스=국회] 국정감사=박홍배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9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부 종합국정감사에서 “생활환경과 폐지는 국민의 일상환경을 보호하던 핵심 기능을 제거한 것”이라며 기후부의 조직개편 방향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헌법 제35조는 국민의 쾌적한 환경권을 명확히 보장하고 있다”며 “소음·진동, 빛공해, 실내공기질, 라돈 등 생활밀착형 환경문제가 여러 부서로 분산되면서 신속한 대응 창구가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은 추상적 정책보다 아침에 창문을 열었을 때 맡는 공기의 냄새로 환경행정을 평가한다”며, 생활환경 행정의 현장성이 약화될 우려를 강조했다. 또한 박 의원은 과거 도시침수방지법 제정 이전 반복된 침수 피해 사례를 언급하며 “주관 부처가 없어 행정 공백 속에 피해만 커졌던 전례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의 ‘생활환경국’, EU의 ‘환경건강국’ 등 해외 사례를 제시하며 “각국은 오히려 생활환경 전담 조직을 강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생활환경 관리의 중요성에는 공감한다”며 “조직 개편 과정에서 누락된 부분이 있는지 검토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다만 생활환경과 복원 또는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생태관광 콘텐츠 낙동강 생태탐방선 화명 노선에 <노을투어> 신규 노선 도입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와 부산관광공사는 부산의 대표 생태관광 콘텐츠인 낙동강 생태탐방선 화명 노선에 '노을투어' 신규 노선을 도입하고 오는 11월 5일부터 16일까지 약 2주간 무료로 시범 운항한다고 전했다. ‘노을투어’는 화명 선착장을 중심으로 운항하는 석양 주제(테마) 코스다. 이번 무료 시범 운항은 시민과 관광객이 낙동강의 황금빛 일몰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는 이벤트로 마련됐다. '노을투어' 생태탐방선은 마지막 회차인 오후 5시에 화명 선착장을 출발해, ▲대동화명대교 ▲구포대교 등 주요 조망 명소를 연결하는 낙동강 일몰 감상코스 약 8킬로미터(km) 구간을 40분 동안 운항한다. 낙동강 생태탐방선 투어는 인근 주요 관광지인 ▲화명생태공원 ▲부산어촌민속관 ▲기후변화체험교육관 ▲금빛노을 브릿지 ▲구포시장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탐방센터 ▲삼락생태공원 등과 연계해 낙동강 일대를 하루 일정으로 즐길 수 있는 생태·감성형 관광 코스다. '노을투어'는 시민 누구나 사전 예약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낙동강생태탐방선 을숙도사무소(☎051-294-2131, 2135)로 전화하여 참여하면 된다. 이번 무료 시범 운항 기간에 탑승객이 탐방선 인증사진 또는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