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자원/생태

[PRNewswire] RWI, 환경 위험으로부터 인권 보호 조치 나서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2021년 3월 17일 PRNewswire=연합뉴스) Raoul Wallenberg Institute of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Law(RWI)[http://www.rwi.or.id/]가 환경 파괴가 인권 문제로 취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대기 오염 및 기후 변화와 관련된 재난과 같은 문제가 사람들의 생계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스웨덴 기반 기관의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인류세의 번영과 친환경: 동남아시아의 건강한 환경에 대한 인권(Prosperous and Green in the Anthropocene: The human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in Southeast Asia)'[https://rwi.or.id/publications/post/prosperous-and-green-anthropocene-human-right-healthy-environment-southeast-asia]이라는 제목의 RWI의 최근 간행물 시리즈는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이 기후 변화와 천연자원 고갈의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 간행물에 따르면, 이 지역 인구의 39%가 장작, 숯, 농업 잔여물과 같은 고체 바이오매스에 의존해 가정에서 요리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고체 바이오매스 연소에 대한 과잉 의존으로 인해 실내 공기 오염으로 연간 380만 명이 사망하고, 여성의 폐암 발생률도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WI의 프로그램 책임자 Victor Bernard는 "자연재해 악화 및 오염 증가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확연히 두드러지는 현상"이라며 "우리는 전례 없는 사회 생태학적 문제, 인권 및 성평등의 중요성을 다루기 위해 이 간행물 시리즈를 시작했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ASEAN과 함께, 이 지역 국가는 개인을 비롯해 특히 취약 집단에 미치는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깨끗한 공기, 물 및 위생, 안전한 기후, 지속가능한 식량 시스템, 무독성 환경, 건강한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으로 구성된 새로운 정책 프레임워크를 적용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는 환경 위험에 직면해 인권과 성평등 보호를 위한 필수 사항을 조치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이들은 환경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된 여성, 아동, 원주민 및 장애인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 및 입법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할 수 있는 일이 많다.

 

이러한 정책 프레임워크 외에도, 11인의 변호사와 정책 연구원이 작성한 RWI의 보고서는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 온라인 지지 및 소셜 미디어를 통한 지역사회와의 직접적인 참여를 늘리는 등 더 다양하게 조치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일례로, RWI[https://www.instagram.com/rwi_jakarta/]는 현재 인도네시아 법무인권부(Indonesian Ministry of Law and Human Rights)와 공동으로 환경 인식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 캠페인에는 지역 인플루언서인 Martin Anugrah[https://www.youtube.com/watch?v=GC4pWzrhpAs], Hessel Steven[https://www.youtube.com/watch?v=0cH1H8mSGxk] 및 Wilda Octaviana가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매일의 실천을 통해 인권을 보호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에서 젊은 세대의 관심을 독려하고 있다.

 

간행물 시리즈는 여기[ https://rwi.or.id/publications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Raoul Wallenberg Institute

 

출처 : PRNewswire 보도자료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및 기부금 전달식 개최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8일 오전 11시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및 기부금 전달식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박형준 시장, 김경환 한국주택금융공사장, 이헌승 국회의원 등이 참석해 세대이음 친환경 노인일자리를 창출하는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를 조성하고, 부산 어르신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날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기부금 2억 2천만 원을 전달했다. 기부금은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부산형 해비타트 챌린지 ▲저소득 조손가정 생활지원금 지원사업 ▲노인 인식개선 프로젝트 등 4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쓰일 예정이다. 기부금 중 1억 8천만 원은 부산진구에 문을 열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10호점 조성에 사용될 예정이다. 시는 지난 6월, 올해(2025년)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사업 대상지로 5곳을 선정했다. ▲6호점 강서구 ▲7호점 동구 ▲8호점 북구 ▲9호점 기장군 ▲10호점 부산진구로, 연말까지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대상지 선정은 폐원 노인요양센터·어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여름방학 맞아 도시생활지도 내 <도심 속 피서지> 테마 지도 운영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7월 26일 토요일부터 ‘도시생활지도’ 내 ‘도심 속 피서지’ 테마 지도를 운영한다고 전했다. 이 지도에는 7.26.(토) 현재 기준으로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운영하는 총 239개소의 물놀이 시설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 이 중 ▲수영장 26개소 ▲물놀이장 106개소 ▲바닥분수 62개소 ▲수경시설 45개소로, 시설별 특성과 위치, 운영시간, 편의시설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정보를 제공하며, 8월 말까지 운영된다. 향후 추가 운영되는 물놀이 시설이 있을 경우 지속 반영할 예정이다. 그간 물놀이 시설 정보는 구청 누리집이나 블로그 등으로 흩어져 있어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 이에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스마트서울맵을 통해 통합 정보 제공을 시작,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정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 구청 사업 담당자가 직접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해 시민에게 더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심 속 피서지 지도는 단순한 위치 안내에 그치지 않는다. 운영시간, 요금, 휴장일, 매점 유무 등 실제 방문객이 궁금해할 실용 정보를 상세히 제공한다. 또한 ‘한강공원 즐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