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전국

노후 수도관으로 인한 단수 사고만 5년간 6만 6천 건!


지자체 68%, 노후 수도관 교체 국비지원사업 거부한 이유는 수도 민영화 우려?
- 지구 한바퀴 넘는 노후상수관이 정부의 일방적 <수도사업 통합 위탁>시책 때문에 방치
- 47개 지자체 중 32개 지자체가 사업 포기, 환경부와 기재부간 무리한 MOU 때문
- 지자체에 수도사업 위탁 강요하지 말고, 누수율과 노후도 높은 지자체부터 조건 없는 국비지원해야


장하나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상수도 교체 국비 지원사업(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사업) 대상 지자체인 47개 지자체 중 32개 지자체가 국비 지원을 포기하였다.


전국 도로 곳곳의 싱크홀의 원인이 노후 상하수도관 파열 때문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 가운데 노후 상수도 교체를 위한 국비를 68% 지자체가 지원을 거부해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21년 이상된 노후 상수관은 전국 지방상수관 174,157km의 23.4%에 이르는 41,947km에 이른다. 지구 한바퀴(4만km)를 넘는 길이이다. 이로 인해 누수율은 2011년 기준으로 10.4%로 연간 생산된 수돗물 중 6억 2,600만톤이 누수되고 있다. 불량수도관에 의하여 단수사고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로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2007~2011)간 불량, 노후 수도관에 의한 단수사고는 총 66,020건으로 연간 13,204건에 달한다.


불량 노후 수도관에 의한 단수사고(환경부 제출자료)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건수

16,032

9,967

10,841

14,087

15,093


환경부가 장하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 5년간(2007~2011) 수도관에서 발생한 누수량은 34억㎥, 이로 인한 손실액은 약 2조3천억원(년간 약 4,500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수도사업이 지자체 고유사무라는 이유로 상수도관 교체사업에 대한 책임을 지자체에게만 떠넘기다보니 도시와 농촌간 상수도 서비스 격차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상수도 지표 현황 : 특·광역시 vs. 군지역 (환경부 제출자료)

구 분

특·광역시

군(郡)

구분

특·광역시

군(郡)

누수율(%)

6

24

수도요금(원/㎥)

561

768

30년 이상 노후관(%)

9.9

14

생산원가(원/㎥)

664

1,482

재정자립도(%)

66.8

16.1

요금현실화율(%)

84

52


누수율은 대도시 지역인 특광역시보다 농어촌 지역인 군지역이 4배에 달하고 30년 이상 노후관도 특광역시가 9.9%인데 반해 군지역은 14%에 이른다. 생산원가 역시 군지역이 특광역시보다 2배 이상 높다. 반면 수도관 교체와 개량사업을 할 여건이 되는 지자체 재정자립도는 군 지역이 특광역시의 1/4 수준에 불과하다.


수도서비스 도시와 농촌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취지로 환경부는 2010년부터 5년간 국비 지원 노후상수도 교체사업을 착수하였다. 사업명은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이다. 하지만 국가재정이 지원되는 이 사업에 대하여 기획재정부는 조건을 부여하였다. 환경부와 기획재정부간의 MOU 체결을 통해서 국비지원은 지자체별로 50%에서 10%로 차등지원 하기로 하였으며 평균 지원율을 30%로 한정하였다.


또한 “지방상수도 통합운영계획을 수립?제출하여 환경부와 MOU를 체결하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수자원공사나 환경공단 등에 수도사업을 위탁하는 지자체에 한정해서 국비를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지자체끼리 권역별로 통합하여 수자원공사나 환경공단에 수도사업을 위탁하지 않는 지자체는 국비 지원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것이 협약의 조건이었다.


문제는 32개 지자체은 국비 지원율이 너무 낮은 데다가(국고 지원율 20~35%)  수자원공사와 환경공단에게 수도사업을 위탁하는 사업을 <수도사업 민영화>의 시작단계로 인식하면서 민간단체와 의회의 반대에 의하여 수도교체 국비 지원 사업을 거부하였다. (수자원공사 등에 위탁하는 것은 민간위탁이 아니라 공공기관 위탁이지만 향후 민간위탁의 여건 형성이라고 인식)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사업 포기 지자체 현황(환경부 제출자료)


총 47개 지자체 중 32개 지자체가 지방비 확보 곤란(23개), 민간단체 반대(4개), 단독 통합 불가(3개), 지방의회 부결(2개)의 사유로 동 사업을 포기함


결국 2009년 기획재정부와 환경부간 맺은 MOU의 무리한 협약조건 때문에 노후 상수관 교체 지원대상 지자체 68%가 거부하게 된 것이다.


47개 지자체중 노후 상수관 교체 국비 지원 거부한 32개 지자체 현황(환경부 제출자료)

권 역

연번

지방자치단체

국고

보조율(%)

총사업비

총국고

통합포기 시기

포기 사유

강원 동부

1

강릉시

20

665

450

'11.07.25

지방비 확보 곤란

2

양양군

40

3,539

8,896

'11.10.5

지방비 확보 곤란

3

속초시

35

14,835

8,094

'12.4.20

지방비 확보 곤란

4

삼척시

25

26,865

7,715

‘11.9.23

지방비 확보 곤란

5

동해시

30

29,534

10,060

‘11.9.16

지방비 확보 곤란

충남

서부

6

보령시

35

25,400

8,890

‘13.4.5

지방비 확보 곤란

7

청양군

30

5,998

1,111

‘13.5.6

지방비 확보 곤란

8

예산군

35

19,293

6,753

‘13.4.19

민간단체 반대

9

태안군

25

6,029

1,335

‘12.7.6

지방비 확보 곤란

10

홍성군

25

14,932

3,734

‘13.5.6

단독 통합 불가

충남

남부

11

계룡시

30

46

14

‘12.7.6

지방비 확보 곤란

12

공주시

25

242

64

‘13.5.6

민간단체 반대

13

서천군

30

16,543

4,963

‘13.5.6

민간단체 반대

14

부여군

30

22,229

6,669

‘13.5.6

지방비 확보 곤란

15

논산시

30

922

277

‘13.5.6

단독 통합 불가

16

금산군

10

529

53

‘13.5.6

지방비 확보 곤란

전북 동부

17

진안군

20

3,524

1,600

'12.4.13

지방비 확보 곤란

18

장수군

30

17,898

5,202

‘12.11.3

단독 통합 불가

19

무주군

30

18,990

5,203

‘12.9.28

지방비 확보 곤란

전남

남서부

20

영암군

35

3,013

3,699

'10.11.30

지방비 확보 곤란

21

해남군

30

4,638

1,635

'11.04.12

지방비 확보 곤란

22

목포시

20

26.681

5,336

‘12.6.11

지방비 확보 곤란

23

강진군

30

9,134

2,186

‘13.4.18

지방비 확보 곤란

24

무안군

20

488

98

‘12.6.11

지방비 확보 곤란

25

신안군

30

1667

5,000

‘13.5.6

지방비 확보 곤란

경북 동부

26

경주시

25

15,625

3,495

'10.11.10

지방비 확보 곤란

27

영천시

35

8,895

2,880

'10.11.10

지방비 확보 곤란

28

울진군

25

4,820

1,193

'11.04.15

지방비 확보 곤란

29

영덕군

35

10,567

3,419

'11.04.05

지방비 확보 곤란

경북 북부

30

문경시

30

25.075

7,523

‘13.3.12

지방의회 부결

31

영주시

25

25.515

6,151

‘13.3.12

지방의회 부결

32

상주시

30

26.837

8,050

‘13.3.12

민간단체 반대


현재 상수관망 교체 국비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는 강원도 고성, 평창, 정선, 영월, 태백, 전라남도 완도, 장흥, 진도, 경상북도 예천, 봉화, 경상남도 사천, 통영, 고성과 세종시와 제주도 등 15개 지자체이다. (전체 사업 대상중 31.9%)


장하나 의원은 “상수관의 노후화로 인하여 싱크홀과 단수 등 국민생활의 안전에 커다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라고 지적하면서 “2015년부터 지자체 상수도 사업의 수자원공사 또는 환경공단 위탁을 강요하지 말고 노후율과 누수율을 위주로 조건 없는 국비 지원을 하여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저출생 대응 캠페인 당신처럼 애지중지 <제2회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 개최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4일과 25일 양일간 영화의전당 하늘연극장 및 야외광장에서 저출생 대응 캠페인 당신처럼 애지중지 '제2회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은 부산시와 언론사, 부산 지역의 영유아, 부모, 단체 등 시민이 함께하는 ‘함께육아’ 인식개선과 저출생·육아 문제 소통을 위한 저출생 대응 캠페인 및 공감 프로젝트이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 개최된 행사로 시와 조선일보사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국마사회, 국립해양박물관, 대한적십자사 등 여러 유관기관과 시민 5천여 명이 함께했다. 이번 행사는 '온 부산이 당신처럼 애지중지',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부산'의 메시지를 담아 ▲개막식 ▲전문가 초청강연 및 공연 ▲실내외 체험 프로그램 ▲'정책 공감존'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됐다. 개막식은 10월 24일 오후 1시 30분 하늘연극장에서 ‘국공립어린이집 영유아&교사 합창대회’ 우승팀의 여는(오프닝) 공연을 시작으로, 개회선언·환영사·축사, 시상식 순으로 개최됐다.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시민, 다자녀가정 및 출산친화기업 등 3백여 명이 참석해 개막을 축하했다. 강연 프로그램으로는 ▲대한민국 최고의

정책

더보기
박홍배 의원 기후부 생활환경과 폐지 논란… “일상환경 행정 사라졌다”
[환경포커스=국회] 국정감사=박홍배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9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부 종합국정감사에서 “생활환경과 폐지는 국민의 일상환경을 보호하던 핵심 기능을 제거한 것”이라며 기후부의 조직개편 방향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헌법 제35조는 국민의 쾌적한 환경권을 명확히 보장하고 있다”며 “소음·진동, 빛공해, 실내공기질, 라돈 등 생활밀착형 환경문제가 여러 부서로 분산되면서 신속한 대응 창구가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은 추상적 정책보다 아침에 창문을 열었을 때 맡는 공기의 냄새로 환경행정을 평가한다”며, 생활환경 행정의 현장성이 약화될 우려를 강조했다. 또한 박 의원은 과거 도시침수방지법 제정 이전 반복된 침수 피해 사례를 언급하며 “주관 부처가 없어 행정 공백 속에 피해만 커졌던 전례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의 ‘생활환경국’, EU의 ‘환경건강국’ 등 해외 사례를 제시하며 “각국은 오히려 생활환경 전담 조직을 강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생활환경 관리의 중요성에는 공감한다”며 “조직 개편 과정에서 누락된 부분이 있는지 검토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다만 생활환경과 복원 또는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생태관광 콘텐츠 낙동강 생태탐방선 화명 노선에 <노을투어> 신규 노선 도입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와 부산관광공사는 부산의 대표 생태관광 콘텐츠인 낙동강 생태탐방선 화명 노선에 '노을투어' 신규 노선을 도입하고 오는 11월 5일부터 16일까지 약 2주간 무료로 시범 운항한다고 전했다. ‘노을투어’는 화명 선착장을 중심으로 운항하는 석양 주제(테마) 코스다. 이번 무료 시범 운항은 시민과 관광객이 낙동강의 황금빛 일몰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는 이벤트로 마련됐다. '노을투어' 생태탐방선은 마지막 회차인 오후 5시에 화명 선착장을 출발해, ▲대동화명대교 ▲구포대교 등 주요 조망 명소를 연결하는 낙동강 일몰 감상코스 약 8킬로미터(km) 구간을 40분 동안 운항한다. 낙동강 생태탐방선 투어는 인근 주요 관광지인 ▲화명생태공원 ▲부산어촌민속관 ▲기후변화체험교육관 ▲금빛노을 브릿지 ▲구포시장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탐방센터 ▲삼락생태공원 등과 연계해 낙동강 일대를 하루 일정으로 즐길 수 있는 생태·감성형 관광 코스다. '노을투어'는 시민 누구나 사전 예약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낙동강생태탐방선 을숙도사무소(☎051-294-2131, 2135)로 전화하여 참여하면 된다. 이번 무료 시범 운항 기간에 탑승객이 탐방선 인증사진 또는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