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정책

환경부 2020년도 환경예산, 환경권 보장에 집중 투자

- 내년도 환경부 예산 및 기금안 9조 4천억 원 규모 확대 편성
- 미세먼지 저감, 수돗물 안전 정책 이행예산 최우선 반영한다
- 폐기물, 화학물질 등 시급현안은 속도감 있게 조기해결 총력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는 27일 2020년도 환경부 소관 예산 및 기금안의 총지출을 9조 3,561억 원으로 편성하여 8월 30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내년도 환경부 예산은 맑은 공기, 깨끗한 물과 같이 가장 기본적인 환경권 보장을 위해 재정 역량을 집중했다.

 

먼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핵심 배출원 감축을 가속화하고 내년에 본격 시행되는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등 미세먼지 8법에 대한 국민들과 기업들의 법령 이행 지원을 강화(’19년 1조 825억 원 ⇒ ’20년 2조 2,904억 원)할 계획이다.

 

그리고 상수원부터 수도꼭지까지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투자를 확대(’19년 3,010억 원 ⇒ ’20년 9,443억 원)하고, 수량‧수질이 균형 잡힌 하천관리에도 재정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폐기물 처리 전과정의 공공관리와 지원을 강화(’19년 3,555억 원 ⇒ ’20년 4,213억 원)하고, 화학물질 법령 이행을 지원(’19년 673억 원 ⇒ ’20년 985억 원)하는 등 시급한 환경현안 대응 예산도 현장요구를 충실히 반영했다.

 

< 깨끗한 물 상수원부터 수도꼭지까지 먹는물 공급 전과정 혁신>

 

전국 지방상수도에 정보통신기술(ICT)‧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하여 수질‧수량을 실시간 자동 측정‧감시하고 신속히 초동 대처하는 스마트 시스템 구축을 하는 스마트 지방상수도 지원을 위해 ’20~’22까지 총사업비 1.4조 원중 ’20년에 3,811억 원을 투입한다고 했다.

 

또 수돗물 불신의 주요요인인 노후 상수도관 정비 확대릉 위해서 지방상수도는 기존 군에서 시 지역까지 개량 지원하고 전국 노후관로 2만 8천km 대상(‘19~’22년)으로 정밀조사을 실시하며 노후 상수도 정비을 위해서는 ’19년 2,359억 원 → ’20년 4,680억 원이며 노후 상수관로 정밀조사는 ’20년 66억 원으로 늘어났다. 광역상수도는 정밀안전진단 결과 개량이 시급한 노후관을 신규로 개량에 착수하고 기존 계속사업들도 차질 없이 추진하며 수도권(Ⅰ) 광역상수도 노후관 개량으로 ’20년 신규로 2억 원이 투입된다고 한다.

 

현재 낙동강 수계 4개 지역의 지방상수도에 설치 중인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내년부터는 광역상수도에도 신규 4개소 도입하는데 광역상수도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신규사업)로 ’20년 45억 원이 새로 생겼다고 한다.

 

그리고 상수원 보호를 위해 오염이 심각한 상류 지역에 비점오염 저감 시범사업 실시, 녹조 다발지역에는 사물인터넷 기반 감시시스템 신규 구축으로 상수원상류 유역거점형 오염저감 시범사업(신규사업)으로 ’20년 36억 원과 녹조 우심지역 오염원 관리체계 구축(신규사업)으로 ’20년 24억 원이 책정됐다.

 

①댐 안정성‧치수능력 강화, ②산업단지완충저류시설 설치, ③광역상수도 복선화 등 재해‧재난 및 사고예방 투자 확대

 

① 댐 안정성‧치수능력 강화 : (’19년) 421억 원 → (’20년) 708억 원

 

② 산업단지 완충저류 시설 설치 : (’19년) 326억 원 → (’20년) 526억 원

 

③ 광역상수도 복선화 : (’19년) 2개소 17억 원 → (’20년) 4개소 18억 원

 

그러면서 수질오염 등에 대응하기 위한 노후 하‧폐수 관로 정비 투자를 확대하여 노후 하수관로정비로 ’19년 1,754억 원 → (’20년 계획) 3,138억 원 증액되며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로 ’20년 계획 159억 원이며 산업단지 노후 폐수관로 정비로 ’20년 계획으로 21억 원이라고 한다.

 

 

< 미세먼지 핵심 배출원 감축사업 확대 및 저감 가속화 >

 

①감축효과가 검증된 사업, ②법령이행 지원 사업 및 ③영세 사업자 지원 사업의 물량을 대폭 확대하고 자부담을 완화하면서 감축 가속화로 국내 배출량 저감 목표 조기 달성(’22년→’21년)을 추진하여 ‘22년까지 ‘14년 미세먼지 배출량 기준 32.4만톤의 35.8%(11.6만톤)를 저감한다고 한다.

 

사업명

‘19년 예산

‘20년 계획

비 고

금액

물량

금액

물량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1,206

15만대

2,896

30만대

(국고보조율) 5060%

DPF

222

1.5만대

1,383

8만대

(지원단가) 296346만원

건설

기계

엔진교체

113

1,500

990

10,000

(자부담) 150만원면제

DPF

95

1,895

330

5,000

(자부담) 100만원면제

소규모사업장 방지시설

80

182개소

2,200

4,000개소

(자부담) 2010%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24

3만대

510

35만대

(저소득층 지원단가)

2050만원

LPG 화물차 신차구

19

950

200

10,000

(지원단가) 변동 없음

 

또 전기차‧수소차 및 충전 기반시설(인프라) 보급을 대폭 확대하여 미세먼지 대응 및 혁신성장 가속화 지원(’19년 0.7조→’20년 1.1조 원) 하는데 전기차(’19년→’20년)는 승용 4.2→6.5만대, 화물 1→6천대, 급속충전은 1.2→1.5천기로 늘어나며 수소차(’19년→’20년)는 승용 4→10.1천대, 버스 35→180대, 충전 30→40개소로 늘어난다.

 

아울러 신규로 한‧중 미세먼지 기술 엑스포 및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중국의 대기오염방지센터 협력연구를 추진하는 등 한‧중 협력 내실화를 위해 기술 엑스포 5억 원, 심포지엄 3억 원, 대기오염방지센터 협력연구 4억 원을 책정했다.

 

전국 지하역사(566개)에 자동측정망 설치를 완료하고, 지하역사‧터널‧열차 등에 대한 공기정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데 자동측정망은 ’20년까지 전국 모든 지하역사(566개)에 설치 완료하며 지하역사의 환기설비 92개 역사(335대), 공기정화설비 237개 역사(3,968대) 등이며 터널 집진시스템을 61개 역사(187대)와 차량 공기정화설비 1,577량(5,032대)등 이다.

 

 

< 폐기물 처리 전 과정의 공공관리와 지원 강화 >

 

화학 물질‧제품 안전관리 제도가 단순 규제가 아닌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를 견인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물질들을 대상으로 시급성에 따라 정부가 직접 유해성 정보를 생산‧지원하고 등록‧승인 전 과정을 지원한다.

 

 

구 분

유해성 시험자료 생산지원

(‘19‘20)

등록 및 승인 전과정 지원

(‘19‘20)

화학물질

59500

(47억원250억원)

60570

(36억원176억원)

살생물물질

1424

(35억원60억원)

1056

(8억원24억원)

 

중소기업에 대해 안전관리 자문(컨설팅) 제공확대(820→1,343개소) 및 장외영향평가서‧위해관리계획서 작성 지원확대(200→500개소)를 중소규모사업장 안전진단 지원을 (’19년) 40억 원 → (’20년) 65억 원 늘어났다.

 

 

< 폐기물 처리 전 과정의 공공관리와 지원 강화 >

 

전국의 방치‧불법투기‧불법수출 폐기물을 조속히 처리하기 위한 예산을 확대 편성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개선도 병행 추진하는데 유해폐기물 처리 및 대집행을 ’19년 109억 원 → (’20년) 288억 원으로 증가한다.

 

①유해 폐기물(라돈‧수은 등), ②불법 폐기물, ③재해‧재난 폐기물 등의 안전하고 신속한 처리를 위한 국가광역 공공폐기물처리시설 구축(실태조사 및 기본구상)을 ’20년 신규로 20억 원을 들여 국가광역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추진한다.

 

재활용 활성화 및 자원순환사회 조기 구축을 위해 ①공공처리역량 강화, ②시장 활성화, ③감시‧예방 체계 구축 및 ④연구개발(R&D) 확대 등 추진한다.

 

① 생활자원회수센터 : 124→197억 원, 재활용동네마당 : 13→15억 원

 

② 재활용산업융자 : 1,284→1,634억 원, 업사이클센터 설치 : 2→11억 원

 

③ 재활용품 비축사업(신규) : 104억 원

 

④ 생활폐기물 재활용 연구개발(R&D) : (’19년) 76억 원 → (’20년) 111억 원

 

<2020년 예산안 규모와 향후 계획>

 

위와 같이 환경권 실현에 가장 중점을 둔 2020년도 환경부 예산안은 전년도 6조 9,255억 원 대비 1조 4,747억 원(21.3%) 증액된 8조 4,002억 원, 기금안은 전년도 9,242억 원 대비 317억 원(3.4%) 증액된 9,559억 원이다. 이는 환경부 총지출 규모와 증가폭 모두 역대 최대치에 해당한다.

 

환경예산은 2018년도부터 증가폭이 커지는 추세에 있는데, 2018년도는 물관리 일원화에 따른 수자원 예산의 이체가 주요인이었다고 한다.

 

                                        < 환경부 총지출 규모 및 비중 추이 >

 

2020년도 환경부 예산 및 기금안은 향후 국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올해 12월 2일까지 최종 확정될 예정으로 박광석 환경부 기획조정실장은 “내년도 환경부 예산안의 가장 큰 의미는 ‘역대 최대 규모’라기보다는 환경안전망과 환경‧경제의 상생이라는 국민적 요구를 ‘역대 가장 충실히 반영’한 데 있다”라면서, “국회 심의를 거쳐 확정되면 집행 단계에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사업 준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지하철 이용 중 불편한 점 24시간 내내 AI 챗봇 <또타24> 이용해 접수하세요
[환경포커스=서울]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8호선 이용 중 불편한 점이 발생했을 때 별도로 고객센터에 연락하지 않고도 24시간 내내 간편하게 민원을 접수할 수 있는 창구인 AI 챗봇 ‘또타24’를 소개했다. 공사는 지하철 이용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24시간 AI 기반 챗봇 민원 상담 서비스 ‘또타24’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작년 한 해만 43만 건이 넘는 민원을 챗봇으로 처리했다. 특히 냉‧난방 민원과 같은 간단한 민원의 경우, ‘또타24’를 활용하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접수할 수 있어 많은 시민이 이용하고 있다. 챗봇 채팅창에 “더워요” 또는 “추워요”를 입력하면, 민원 접수 화면으로 이동한다. 이후 호선과 탑승 중인 열차의 칸 번호를 입력하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민원이 자동 접수된다. 실제로 작년 한 해 공사에 접수된 전체 냉난방 민원의 38%에 달하는 36만 건의 냉‧난방 민원이 챗봇을 통해 접수됐다. 챗봇을 통해 민원이 처리되는 만큼 고객센터 직원들은 응급환자 발생‧소란자 발생 등 긴급한 민원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올해도 1월에서 5월까지 ‘또타24’는 126,747건의 민원을 처리했다. 이 중 냉‧난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부산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접근성 놉이기 위한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하반기 활동 돌입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이 함께 시민추진단을 구성해 저상버스에 직접 탑승하는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 상반기 활동을 마무리하고 하반기 활동에 돌입한다고 전했다. 시는 지난 3월 20일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부산뇌병변복지관과 「2025년 저상버스 이용의 날(버스랑 배프 데이)」 운영사업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시민추진단을 통해 ‘저상버스 탑승 체험 및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시민추진단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총 65회에 걸쳐 부산 시내를 운행하는 저상버스를 타고 탑승 환경에 대한 실태 조사를 했으며, 하반기에는 100회 이상 저상버스 탑승 체험을 할 계획이다. 시민추진단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과 홍보단(서포터즈) 26명으로 구성되고, 4인이 한 조로 저상버스를 체험하며 운전기사와 승객들에게 교통약자의 이동권에 관한 관심을 유도한다. 조사 내용으로 ▲버스정류장 내 운행 시간표상 저상버스 운행 표시 여부 ▲버스정류장 앞 보도 연석 높이와 보도 폭 ▲휠체어 탑승 후 저상버스 출발 시간까지 걸리는 시간 ▲운전기사와 승객 태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