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최상위 소득자 0.1%가 한 해 벌어들인 소득도 28조원

[환경포커스=국회] 우리나라 최상위 소득자 500명의 소득총액은 연간 5조원으로 강원도의 1년 예산에 달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상위 소득자 0.1%가 한 해 벌어들인 소득도 28조원에 달하며 이는 우리나라 한 해 예산(2016년 기준 386.4조원)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심기준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의 ‘2013~2016 귀속년도 통합소득(연말정산 근로소득 +종합소득) 백분위 및 인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6 귀속년도 통합소득자 2,1764,051명이 벌어들인 소득 7213,616억원 중 최상위 500명의 소득은 51,334억원(0.7%)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상위 0.1%(21,764)의 소득은 281,015억원(3.9%)인 것으로 분석됐다.

 

최상위 500명의 1인당 평균 소득은 1026,694만원, 최상위 0.1%1인당 평균 소득은 129,119만원에 달했다. 반면 전체 통합소득자 1인당 평균은 3,314만원에 불과했다.

 

상위 10%의 통합소득은 20162664,871억원으로 같은 해 예산의 70%에 달하는 금액으로 나타났다.

< 최근 4개년 통합소득 최상위 인별 분석자료 >

 

2013

2014

2015

2016

근소+종합소득 총액

6023,735억원

6328,180억원

6778,370억원

7213,616억원

상위 500

소득 총액

46,217억원

45,793억원

54,542억원

51,334억원

상위 1,000

소득 총액

63,382억원

63,835억원

73,781억원

71,025억원

상위 1만 명

소득 총액

173,431억원

179,468억원

196,879억원

199,884억원

* 자료 : 국세청 자료 분석

 

 

< 최근 4개년 통합소득 분위별 분석자료 >

 

2013

2014

2015

2016

최상위 0.1%

소득 총액

231,614억원

244,628억원

269,596억원

281,015억원

(총액 대비 비율)

3.85%

3.87%

3.98%

3.90%

상위 1%

소득 총액

643,746억원

684,737억원

743,301억원

787,796억원

(총액 대비 비율)

10.69%

10.82%

10.97%

10.92%

상위 10%

소득 총액

223

8,502억원

2345,015억원

2518,097억원

2664,871억원

(총액 대비 비율)

37.16%

37.06%

37.15%

36.94%

하위 10%

소득 총액

3

2,552억원

3

2,927억원

3

5,020억원

3

8,831억원

(총액 대비 비율)

0.54%

0.52%

0.52%

0.54%

* 자료 : 국세청 자료 분석

 

 

< 최근 4개년 통합소득 분석자료 >

 

2013

2014

2015

2016

최상위 500

1인당 평균 소득

924,340만원

915,870만원

109

840만원

1026,694만원

최상위 0.1%

1인당 평균 소득

117,756억원

12

39만원

128,208억원

129,119억원

전체 통합소득자

1인당 평균 소득

3,063만원

3,105만원

3,223만원

3,314만원

10분위 배율

68.8

71.2

71.9

68.6

5분위 배율

25.6

26.0

26.1

25.1

* 자료 : 국세청 자료 분석

 

양극화를 나타내는 지표인 10분위 배율(상위 10% 소득을 하위 10% 소득으로 나눈 값)201368.8, 201668.6배로 고착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5분위 배율(상위 20% 소득을 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값) 또한 201325.6배에서 201625.1배로 25배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기준 의원은 매년 높은 소득을 지속적으로 벌어들이면 쌓아두는 재산도 늘어나는 만큼, 소득불평등이 지속되면 재산불평등도 심해지기 마련이라 지적했다.

 

심 의원은 통합소득은 2013602조에서 2016721조로 100조원 넘게 늘었지만 최상위 0.1%, 상위 1%, 상위 10%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변함이 없다경제성장의 성과를 최상위 부자가 가져가는 경향이 지속되면서 고착화되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 밝혔다.

 

이번 통합소득 자료는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자의 소득과 종합소득세 신고자의 소득을 더한 것에서 중복 부분을 제거한 것이다. 서로 다른 성격의 두 자료를 통합한 만큼 한계가 있으며, 가구 단위가 아니라 개별 납세자 단위로 산정되어 소득분배 상태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자료로 제약이 있다.

 

 

심 의원은 미국 국세청(IRS)의 경우 1992년부터 2016년까지 납부세금 최상위 400명의 명단을 공개해왔고, 최상위 0.001%의 소득 분석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국세청도 국세통계를 정비해 국민들께 소득 구조를 소상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양극화를 엄밀하게 진단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뉴스

더보기
인천시, 5월부터 올해 출산한 취약계층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용품 지원
[환경포커스=인천] 인천광역시는 5월부터 올해 출산한 취약계층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용품을 지원한다고 전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2월, 하나금융그룹이 저출생 극복과 지역사회 상생을 위해 인천시에 기부금을 전달한 데 따른 것으로, 인천시와 인천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세이브더칠드런 경인지역본부가 협력해 추진한다. 지원 대상은 인천시에 거주하면서 올해 자녀를 출산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해산급여를 지급받은 가정이다. 지원 물품은 영유아 양육에 필요한 다양한 용품으로 구성된 ‘출산 축하 꾸러미’이며, 해당 물품은 대상자 주소지로 배송될 예정이다. 신청은 거주지 관할 읍·면사무소,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출생신고 및 해산급여 신청 시 함께 접수하면 된다. 용품은 해산급여를 받은 달의 다음 달에 지원되며, 올해 1월부터 4월 사이에 출산해 해산급여를 이미 지급받은 경우에도 소급 지원이 가능하다. 해당 가정은 지금 신청하면 5월 중 물품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사업은 2025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연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나 사업비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시현정 시 여성가족국장은 “상대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시민들의 출산과 육아에 작으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

정책

더보기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및 업무보고 실시
[환경포커스=국회]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위원장 한정애)는 4월 30일(수)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열어 법률안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할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에 대한 업무보고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후위기 특별위원회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대응기금 등을 효율적으로 심사하기 위하여 2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심사하는 탄소중립기본법 심사 소위원회는 10인으로 구성하고,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하는 배출권거래법 및 기후예산 심사 소위원회는 11인으로 구성하고, 국민의힘 임이자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업무보고에서는 ▲ 정의로운 전환과 지역·노동자 보호, ▲ 배출권 거래제의 실효성 제고, ▲ 2030 NDC 이행전략과 국제감축의 한계, ▲ 에너지 전환 전략과 재생에너지 목표 이행, ▲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기후적응 정책 마련, ▲ 적극적인 기후재정의 역할, ▲ 탄소중립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