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서울시, 개발도상국 보건의료 전문가 15명 대상 서울의 감염병 대응 시스템 및 경험 공유

8.12.(월) 우간다‧가나‧몽골 등 7개국 15명 대상 ‘서울형 감염병 대응체계’ 공유
감염병 감시 전략 및 보안카메라 동선 추적‧공기역학 분석 등 역학조사 방법 소개
에볼라‧마버그 등 현지 토착 감염병 사례 설명 및 국내 유입 시 대응 방안 공유도
시 “최근 감염병 단시간 폭넓게 전파… 지속적인 국제교류로 감염병 철저히 대비”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8월 12일 월요일 10시 서울시청에서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FIH, 하일수 이사장) 이종욱 펠로우십 감염병전문가과정(연세의대 용태순 교수책임)에 참가한 개발도상국 보건의료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서울의 감염병 대응 시스템 및 경험을 공유했다고 전했다.

 

시는 국내 주요 감염병 현안과 선도적인 감염병 감시 전략, 체계적인 역학조사 경험 등을 공유하고 서울시와 중앙정부, 자치구 역학조사 협력 등 기관 및 권역별로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서울형 감염병 대응체계’를 소개했다.

 

시는 이날 ▴보안카메라를 이용한 동선 추적 방법 ▴공기 흐름에 따른 병원체(세균․바이러스) 확산을 관찰하는 공기역학적 분석(환기 평가) 등 역학조사 기법을 적용한 사례를 공유했다.

 

이어 가나 오티 지역보건청장 오세이 쿠포 아프레 박사(Dr. Osei Kuffour Afreh)와 우간다 감염병 역학조사관 힐다 텐도 난시콤비(Hildah Tendo Nansikombi)가 현지 토착 감염병 대응 사례를 설명했다.

 

이들은 ▴에볼라 ▴마버그 ▴라싸열바이러스 ▴리프트밸리 ▴탄저 등 한국에서는 볼 수 없지만 해외로부터 유입 가능한 감염병 대응 사례와 국내 유입 시 대비 방안 등을 제시했다.

 

서울시는 최근 지역 간 경계 없이 빠르게 확산되는 감염병을 조기 차단하기 위해서는 각 국가․도시의 보건의료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고 보고 이종욱 펠로우십 감염병전문가과정을 운영하는 연세대학교 열대의학교실과 협력해 연수생 방문 등 국제교류를 지원하고 있다.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이번에 공유한 서울형 감염병 대응체계가 아프리카․아시아 지역 감염병 대응 역량을 높이는 데 도움되기를 기대한다”며 “최근 감염병 확산은 국경이 없고, 짧은 시간 동안 폭넓게 전파될 수 있는 만큼 지속적인 국제교류와 협력을 통해 신종 감염병 유입에 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환경기술, 금융과 손잡고 사업화 앞당긴다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4월 29일 코엑스(서울 강남구 소재)에서 ‘환경 연구개발(R&D) 기술이전-금융지원 연계 기술사업화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환경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우수 기술을 기술 수요 기업에 이전하고, 이어지는 금융지원까지 일괄(원스톱)로 연계하여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기술력은 우수하지만 담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새싹기업(스타트업)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기술보증기금에서 관련 지원사업을 협업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대학 및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9개 기술보유 기관이 참여하여 총 8건*의 핵심 기술을 소개한다. 이외에도 57건의 출품 기술에 대한 상담창구를 운영하여 약 100여 명의 중소‧중견기업 및 관련 기관 관계자들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이전 절차에 관심 있는 기업은 현장에서 연구자 및 기술거래기관과 상담을 통해 기술평가, 협상, 계약 등 실질적인 기술이전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기술보증기금은 금융지원 절차를 소개하고 현장 상담을 통해 사업화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금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 강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