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환경일반

‘명불허전’국립공원, 계곡 수생태계 상태 ‘매우좋음’

국립공원이 국가를 대표하는 자연경관 지역이자 자연생태계의 보고로서 그 이름값을 확실히 증명했다.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정광수, 이하 공단’)은 전국 16개 국립공원 내 주요 계곡 106개 지점의 수질을 측정한 결과, 계곡수 수질등급 평균이 대부분 매우좋음”(Ia) 등급으로 확인됐다고 9일 밝혔다.

 

이 조사는 국립공원 내 계곡, 하천수의 수질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해 수질환경을 적정하게 관리하고, 효율적인 공원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009년부터 주기적으로 실시 중이다.

 

2009년 총 100개 지점으로 시작해 2011년 공원구역 조정 완료에 따른 측정지점 조정으로 2012년부터 106개로 확대됐으며, 이번 조사는 415일부터 한 달간 BOD, SS(부유물질),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 음이온계면활성제에 대해 실시됐다.

 

측정 결과, 하천수질의 대표적인 지표인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이하 ‘BOD’)은 총 측정지점 106곳 모두 1mg/L이하로 Ia 등급에 해당하는 '매우좋음' 등급으로 확인됐다.

 

특히, BOD 연평균 값은 2009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모든 조사지점이 수질환경기준 매우좋음등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분변성오염을 나타내는 지표미생물군인 총대장균군은 106개 지점 중 55개 지점이 100mL50군수 이하인 매우좋음등급, 43개 지점이 500군수 이하인 좋음’(Ib) 등급으로, 1등급 이상을 의미하는 좋음등급 이상 달성 비율이 93%였다.

 

이는 2011년 평균 좋음등급 이상 달성 비율인 87개 지점 87%에 비해 11개 지점, 6%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분원성대장균군의 경우에는 106개 지점 중 104개 지점이 100mL10군수 이하인 매우좋음등급, 2개 지점이 100군수 이하인 좋음등급으로 좋음’(Ib) 등급 이상 달성 비율 100%를 기록했다.

 

부유물질(SS)106개 측정지점 모두 L25이하인 매우좋음등급, 음이온계면활성제(ABS)는 하천수질기준(0.5/L이하) 이상으로 2009년 조사 이래 줄곧 매우 우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등급별 수생태계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로 수질 및 수생태계 생물학적 기준에서도 최상위 등급인 상태 이상으로 1등급 지표 생물들이 살 수 있는 환경임을 의미한다.

 

실제 2011년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및 자원모니터링의 어류저서성무척추동물 분야 조사결과, 국립공원의 주요 계곡에는 매우좋음좋음등급 지표종인 금강모치, 버들치, 열목어와 옆새우, 민하루살이, 광택날도래 등이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공단은 국립공원의 계곡수질 및 수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국립공원 내 사유지에서의 주민생활과 농경활동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계곡수 유입과 계곡 주변에서의 탐방객 여가활동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을 주요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하천계곡의 최상류 지역에 위치한 국립공원의 지역적인 특성상 계곡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동물들의 배설물, 자연서식미생물에 의한 영향 등 자연적인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분석했다.

 

이에 따라 공단 자원보전부 오장근 부장은 여름 피서철을 맞아 탐방객이 증가하며 계곡 내 오물투기, 취사야영, 목욕수영행위 등 계곡 수질을 오염시키는 행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국립공원의 깨끗한 생태 환경을 지키기 위해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지역주민들은 오수처리시설을 철저히 점검하고 농경활동에 가축분뇨나 비료의 사용을 자제하는 등 협조해달라고 부탁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인천시, 시민 불편 최소화를 목표로 겨울철 자연재난 대응 종합대책 본격 시행
[환경포커스=인천] 인천광역시는 오는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현장 중심 사전대비 체계 구축을 통한 시민 불편 최소화를 목표로 겨울철 자연재난 대응 종합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전했다. 인천시는 대설과 한파 등 겨울철 자연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명 피해 예방을 최우선으로 두고, 재해 취약지역 체계적 관리와 선제적 대응을 위한 소통·협업체계 구축 및 시민 참여를 위한 홍보 강화를 기본 방향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겨울철 대설에 대비해 ▲제설 취약 지역 104개소 ▲결빙 취약 구간 106개소 ▲적설 취약 시설물 79개소를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 대설 및 도로 결빙으로 인한 시민 교통 불편을 줄이기 위해 사전 제설제 살포, 교통 통제 등 철저한 안전 관리와 맞춤형 제설 대책을 추진한다. 또한, 재난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재난문자 등 기상특보를 신속히 전파하고, 농촌·산간지역의 제설 작업에 지역자율방재단 등 민간 봉사인력을 적극 투입해 현장 대응력을 높일 계획이다. 한파로 인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독거노인, 노숙인, 쪽방 주민, 저소득 한부모 가족 등 고위험군 대상자를 중심으로 안전 확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색색깔의 종이비행기를 푸르른 가을 하늘로 날리는 <2025 한강 종이비행기 축제> 개최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2025 한강 종이비행기 축제」를 10월 18일 토요일 10시부터 18시까지 한국 최초의 비행장 역사를 간직한 여의도한강공원에서 개최한다고 전했다. 여의도는 1916년 한국 최초의 비행장이 만들어졌던 장소로 1922년에는 비행사 안창남이 ‘고국 방문 비행’을 계기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한국의 상공을 비행한 역사적인 순간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서울시는 지난 9월 26일(금) 축제 참가자를 모집한 결과, 접수 개시 1분여 만에 모든 종목이 마감됐을 정도로 이번 축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뜨거웠다고 설명했다. 올해로 15회째를 맞는 이번 「2025 한강 종이비행기 축제」는 ▴사전 접수자가 참여하는 ‘한강 종이비행기 대회’ ▴사전 접수 없이 누구나 현장에서 참여할 수 있는 ‘세계대회 우승자 강연과 시연’,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롭게 구성됐다. 한강 종이비행기 대회 : 참가자가 직접 종이비행기를 만들어 맨손으로 날리는 대회다. 12시 30분부터 총 1,000명이 참가하는 개인 대항의 종이비행기 ‘멀리 날리기’와 ‘오래 날리기’ 대회가 진행된다. ‘멀리 날리기’는 ①유치부 ②초등 저학년부 ③초등 고학년부 ④중․고등․일반부의 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