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개‧고양이 로드킬 취약 지역 서울 ‘강남’ 가장 많아


[국정감사=국회] 최근 3년간(2016~2018.6) 서울시에서 로드킬 당한 동물은 총 20,283마리로 이 중 76%에 달하는 15,423마리는 고양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의원이 서울특별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다고 밝혔다.[참고 1]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동구(2,393마리), 송파구(1,313마리), 강남구(1,290마리) 순으로 강남 4구 중 3개구에서 동물 로드킬 수가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로드킬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로드킬 동물 숫자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2015년에는 총 6,065마리였으나 2017년에는 총 8,788마리로 45%가량 증가했다. [참고 2]

송옥주 의원은 수도 서울에서 올해 상반기에만 벌써 4천마리 넘는 동물이 로드킬을 당했다. 특히 내장형 인식 칩 부착이 의무인 개와 달리 고양이는 권고사항에 그쳐 고양이 로드킬 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하며 반려동물의 내장형 인식 칩 부착을 정부가 지원하는 등 반려동물에 대한 근본적인 로드킬 저감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송옥주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야생동물의 로드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가 처리한 동물 사체에서 고라니가 2,140마리로 가장 많았다. 노루(142마리)와 너구리(98마리)가 뒤를 이었다. [참고 3]

[참고 1] 최근 3년간(2016~2018.6)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동물 로드킬 현황

구 분

총 개체수

(마리)

개 개체수

(마리)

고양이 개체수

(마리)

야생동물, 조류 등

기타 동물 개체 수 (마리)

소 계

20,283

1,638

15,423

3,222

종 로 구

753

160

462

131

중 구

92

3

79

10

용 산 구

512

36

411

65

성 동 구

833

417

369

47

광 진 구

977

18

823

136

동대문구

657

24

575

58

중 랑 구

832

34

678

120

성 북 구

1,172

58

933

181

강 북 구

617

27

503

87

도 봉 구

282

24

206

52

노 원 구

843

22

662

159

은 평 구

569

91

467

11

서대문구

473

7

395

71

마 포 구

948

18

714

216

양 천 구

470

32

386

52

강 서 구

949

59

697

193

구 로 구

429

31

383

15

금 천 구

585

28

510

47

영등포구

737

73

554

110

동 작 구

863

2

777

84

관 악 구

1,044

105

773

166

서 초 구

650

39

534

77

강 남 구

1,290

17

974

299

송 파 구

1,313

38

1,130

145

강 동 구

2,393

275

1,428

690

[참고 2] 최근 4년간 연도별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동물 로드킬 현황

연도

합계

고양이

기타 야생동물

2015

6,065

461

4,883

721

2016

7,438

650

5,766

1,022

2017

8,788

688

6,612

1,488

2018.1~2018.6

4,057

300

3,045

712

동물명

개체 수 (마리)

고라니

2,140

노루

142

너구리

98

수리부엉이

79

집비둘기

37

황조롱이

34

수달

28

까치

26

, , 족제비

24

말똥가리

22

큰부리까마귀

18

솔부엉이

16

멧비둘기

15

왜가리

12

소쩍새, 새매

11

오소리, 흰뺨검둥오리

10

참매, 큰소쩍새

9

청설모, 참새

8

담비, 멧돼지

7

올빼미

6

검은댕기해오라기, 독수리, 직박구리, 중대백로, 황로

5

물총새, 물닭, 박새, 쏙독새, 오색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 원앙, 중백로

4

괭이갈매기, 꾀꼬리, 딱새, 멧토끼, 새호리기, 큰덤불해오라기

3

까마귀, 꺅도요, 떼까마귀, 동박새, 멧도요, 물까치, 쇠물닭, 제비, 집오리, 큰고니, 칡부엉이, 호랑지빠귀, 해오라기

2

갈까매귀, 갈매기, 개개비, 검은머리물떼새, 귀제비, 깝작도요, 노랑턱멧새, 능구렁이, 누룩뱀, 다람쥐, 대백로, 두더지, 비둘기조롱이, 붉은부리갈매기, 붉은귀거북, 방울새, 산양, 살모사, 쇠오리, 쇠부엉이, 어치, 알락할미새, 유혈목이, 중대백로, 재갈매기, 청둥오리, 집토끼, 파랑새, 흰날개해오라기, 혹부리오리, 호사도요

1

[참고 3] 2015~2017 환경부 야생동물 로드킬 현황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시민 생활과 밀접한 카페·제과점 업종 대상 <착한 가격업소> 집중적으로 발굴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오는 9월부터 10월까지 두 달간 시민 생활과 밀접한 카페․제과점 업종을 대상으로 '착한 가격업소'를 집중적으로 발굴한다고 전했다. 현재 부산에는 789곳의 '착한 가격업소'가 지정돼 있으며 ▲외식업(식당 등)이 80퍼센트(%) ▲기타 개인서비스업이 20퍼센트(%)를 차지한다. 카페·제과점 업종의 비중은 외식업의 6.3퍼센트(%), 전체 '착한 가격업소'의 5퍼센트(%)에 불과해, 시는 이번 집중 발굴을 통해 '착한 가격업소'의 업종을 다양하고 균형 있게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8월 부산 소비자물가 통계에 따르면, 개인서비스업*의 물가 기여도는 1.24로 농축수산물(0.14)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시는 카페·제과점 업종을 우선적으로 발굴해 ‘착한 가격업소’ 확대와 업종 다변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착한 가격업소’ 지정을 희망하는 업소 또는 시민은 관할 구․군에 신청할 수 있으며, 구․군 지정 기준에 따라 민․관 공동 현지 실사단의 심사 절차 등을 거쳐 지정된다. 시는 이번 집중 발굴을 통해 '커피도시 부산'의 이미지를 제고해 ▲관광 경쟁력 강화와 ▲개인 서비스 요금 안정에도 기여할

정책

더보기
위성곤 의원,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 등 탄소중립 거버넌스 전면 개편 추진!
[환경포커스=국회]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위성곤 의원(제주 서귀포시, 더불어민주당)은 29일, 탄소중립의 강력한 이행 체계 확보를 위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과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 등 탄소중립 거버넌스 패키지 법을 대표 발의했다. 위 의원의 개정안은 부처 간 정책 분산과 권한 부족으로 실행력이 떨어졌던 기존 체계를 개편하여, 국가 차원의 정책 집행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번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대통령 자문기구였던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를 중앙행정기관인 국가기후위원회로 격상해 탄소중립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기는 내용이 담겼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지하자원 기능을 환경부로 이관해 기후환경에너지부로 개편하고, 장관은 부총리를 겸임하여 범정부 탄소중립 과제를 총괄하도록 했다. 아울러, 위 의원의 탄소중립기본법 개정안은 탄소예산 제도를 도입하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30년 35% 이상 ▲2035년 60% 이상 ▲2040년 80% 이상 ▲2045년 95% 이상으로, 단계별로 명문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한, 국가기후위원회 산하에 국민 의견을 수렴하는 ‘기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초저가 판매 국내 브랜드 제품 점검 결과 4개 중 3개꼴로 위조 상품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초저가로 판매 중인 국내 브랜드 제품을 점검한 결과, 4개 중 3개꼴로 위조 상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C-커머스에서 국내 브랜드 위조 상품이 지속 유통되는 가운데, 시는 안전성 검사와 함께 위조 상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소비자 피해 예방에 나선다고 29일 금요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알리익스프레스 등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7개 국내 브랜드의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점검 품목은 ▲의류 6개 ▲수영복 3개 ▲잡화 3개 ▲어린이 완구 8개 등, C-커머스 위조 상품 비중이 높은 품목과 여름철 수요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선정했으며, 해당 제품들은 정상가 대비 45%에서 최대 97%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었다. 먼저 ‘의류’와 ‘수영복’의 경우 4개 브랜드사 9개 제품 모두 로고와 라벨 등이 정품과 차이를 보이며 위조 판정을 받았다. 특히 라벨은 중국어로 표기되어 있었으며 검사필 표시가 없거나 제조자명, 취급상 주의사항 등 표시 사항이 기재되어 있지 않았다. 그 밖의 의류는 민소매 제품을 반소매로 파는 등 제품 디자인을 변형해서 판매하거나 원단 품질이 매우 떨어졌다. 수영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