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종합뉴스

3~5년차 직장인 이직 생각 많다

첫 이직 시기, 중기 1년차, 대기업 3년차

최근 직장인들 사이에서 이직문화가 보편화 되면서, 적절한 이직 타이밍에 대한 직장인들의 고민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1,9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63.1%가 지금이 장기적인 커리어를 위해 이직할 타이밍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 직장 경력 3년 이상~5년차 미만 정도의 직장인들 중에서는 무려 73.4%가 현재가 이직할 타이밍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력 10년차 이상이 70.8% 경력 5년 이상~7년 미만 68.7% 경력 2년 이상~3년 미만 64.1% 경력 7년 이상~10년 미만 61.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 별로는 대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의 경우 67.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외국계기업 66.7% 중견/중소기업 62.6% 공기업 59.6% 순이었다.

 

특히,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1회 이상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 1,523(77.6%)을 대상으로 첫 이직 시기에 대해 조사한 결과, 첫 직장 입사 후 1년차 정도라고 답한 직장인이 25.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첫 직장 입사 후 2년차 정도 23.4% 첫 직장 입사 후 3년차 정도 16.0% 첫 직장 입사 후 6개월 이전 14.0% 등의 순으로 많았다.

 

기업형태 별로는 중견/중소기업 근무 직장인의 경우 첫 이직 시기가 경력 1년차 정도라고 답한 비율이 26.8%로 타 기업 근무자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반면 대기업 근무 직장인의 경우는 경력 3년차 정도에 첫 이직을 했다는 응답이 23.3%로 가장 높았다. 외국계기업은 2년차 정도에 첫 이직을 했다는 직장인들의 비율이 31.5%로 가장 많았다.

 

잡코리아 김화수 사장은 신입사원 입사 후 1년 정도 되는 시점에서 많은 직장인들이 이직을 고려하게 된다면서 하지만 주위 상황들로 인한 성급한 이직 판단은 장기적인 커리어에 불안정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업무 능력이 최고조에 올랐다고 생각할 때가 적절한 이직 타이밍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 다해 노력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지난 10월 17일부터 시 전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각종 대회 운영에 자원봉사자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자원봉사자들은 지난 9월 23일 개최된 전국(장애인)체전 사전경기를 시작으로 대회 운영지원에 참여하고 있으며, 오는 11월 5일에 마치는 전국장애인체전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는 총 4,247명의 자원봉사자가 참여하며, 부산 전역 110개 경기장에서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주요 활동 분야는 ▲경기 운영지원(경기장 안내, 질서유지, 주차동선 안내, 의료·방역 지원, 도핑검사 지원, 경기 운영지원) ▲개폐회식 지원(의전지원, 입장 안내 및 기념품 배부, 출연진 안내 및 연출시설 통제,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내부 질서유지, 경기장 동선 안내, 선수단 입퇴장 지원) ▲환영행사 지원(해외동포선수단 환영만찬 지원, 선수단 환영행사 지원) ▲종합상황실 운영(대회 종합상황 유지·관리 및 안내소 운영) ▲홍보지원(언론보도 지원, 홍보관 운영지원) 등이다. 자원봉사자들은 투철한 봉사 정신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경기장을 찾은 관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