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물/토양

우원식 의원 100억 들인 환경부 홍수위험지도, 공개 후 접속자 수 5만 8천명 뿐

2021년 ~ 2022년 9월까지 접속자 58,849명에 그쳐 … 공공기관사용자 접속은 295건뿐
접속자 수, 22년 8월 이전까지 16,789명뿐 … 전체 접속자 중 72.6%가 8월 10일 폭우 이후 접속
정보호출건수는 22년 8월에만 13,929,646으로 이전보다 10배 급증, 전 달은 100만 내외

[환경포커스=국회]  “지난 8월 홍수에서의 반지하 비극으로 재난 불평등 증명돼 … 홍수위험지도 등 재해지도를 활성화하고 일반에 더 많이 노출 시킬 방안 찾아야 한다.” 의견이 나왔다.

 

우원식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인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노원을)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홍수위험지도가 일반에 공개된 이후 현재까지 총접속자 수는 58,849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홍수위험지도는 환경부에서 지난 2001년 기본조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00억여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만들고 있다. 지난 2021년부터는 홍수위험지역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피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홍수위험지도를 인터넷과 모바일의 홍수정보시스템 사이트를 통해 일반에 공개했다.

 

<2021년 홍수위험지도 공개 이후 접속자 수 현황>

구분

2021

2022

합계

9

10

11

12

소계

1

2

3

4

5

6

7

8

9

소계

홈페이지

23

111

604

612

1,350

1,516

1,492

1,778

1,533

1,750

2,434

1,898

13,462

15,184

41,047

42,397

모바일

 

 

103

62

165

228

112

205

166

177

265

205

8,197

6,732

16,287

16,452

합계

23

111

707

674

1,515

1,744

1,604

1,983

1,699

1,927

2,699

2,103

21,659

21,916

57,334

58,849

 

 

 

하지만 올해 기록적인 대홍수 전까지 홍수위험지도를 이용한 사람은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스템상 접속자 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 2021년 9월 이후부터 현재(2022년 9월)까지 총 접속자 58,849명 중 72.6%에 해당하는 42,725명이 2022년 8월 10일 폭우 이후 접속하였으며 8월 10일 전까지의 접속자 수는 전체의 27.4%인 16,983명에 불과했다.

 

<2022년 여름 홍수위험지도 월별 기능호출건수 [별첨참조]>

 

6

7

8

9

기능호출건수

1,401,312

993,716

13,929,646

1,071,361

 

 

폭우 이후 기능호출건수도 평소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호출건수는 접속자가 시스템 안의 기능을 클릭하거나 이용할 때 집계된다. 기능호출건수는 22년 8월에만 13,929,646건으로 월별 기준으로 이전보다 10배 가량 급증했다. 일 평균 또한 6월과 7월에는 각각 4만 6천여 건과 3만 2천여 건에 불과했지만 8월에만 449,343건으로 10배 이상 폭증했다.

한편, 행정안전부가 재난, 치안, 교통, 보건 등 사고 이력, 안전시설 등을 지도형태로 제공하는 ‘생활안전지도’의 경우 홍수위험지도와 비교해 동기간 709,574명이 접속해 10배 이상 많은 접속자 수를 보였다. 환경부에 따르면 홍수위험지도는 2022년 9월 3일이 되어서야 생활안전지도 시스템상에서도 볼 수 있도록 연계 서비스를 시작했다.

 

<생활안전지도 월별 접속자 통계 (2014.9월 ~ 2022.9월)>

연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2014

-

-

-

-

-

-

-

-

4,666

15,395

8,848

3,138

32,047

2015

6,300

5,859

7,181

6,191

6,511

4,577

10,401

7,594

5,804

7,008

20,750

6,893

95,069

2016

15,076

15,216

17,760

12,207

25,896

24,091

20,770

19,767

19,816

63,018

25,172

72,337

331,126

2017

18,572

82,565

20,000

17,294

15,620

20,878

18,032

16,846

18,348

31,032

72,080

74,119

405,386

2018

31,458

268,979

31,123

16,238

39,665

42,449

46,759

40,951

38,349

38,985

23,587

32,504

651,047

2019

32,502

23,033

20,974

20,424

22,611

18,925

27,681

21,674

17,300

17,262

16,820

16,977

256,183

2020

22,975

23,110

21,831

26,661

24,239

32,773

33,230

99,444

72,147

71,695

70,857

82,756

581,718

2021

73,509

55,757

45,968

27,590

30,897

31,233

32,677

41,057

30,874

28,084

33,334

34,374

465,354

2022

27,775

25,951

169,298

102,605

28,632

30,280

35,834

70,622

91,911

-

-

-

582,908

 

 

우원식 의원은 “올해 8월의 기록적인 강우와 힌남노 등 홍수피해는 미리 대처하지 못해 생긴 사고가 많아 재난 불평등으로 평가받는다”라며“접속자 수가 많은 생활안전지도와 연계하여 홍수위험지도의 노출량을 늘릴 방법이 이미 있었음에도 수해 이후에야 가능하게 된 것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라고 꼬집었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금한승 환경부 차관 취임… “국민 안전·탄소중립·현장 소통으로 새 길 열겠다”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 제1차관에 금한승 전 환경부 기획조정실장이 공식 취임했다. 금한승 차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이재명 정부 첫 환경부 차관으로서 새정부 국정철학을 반영한 환경정책의 기틀을 마련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며 “민생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새 길을 걷겠다”고 밝혔다. 금 차관은 30여 년간 환경부에서 재직하며 정책 기획과 기후·대기 등 주요 분야를 두루 경험한 환경행정 전문가다. 특히 이번 인사는 이재명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취임사에서 금 차관은 ▲국민 안전 최우선 대응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구조 전환 ▲현장 중심 소통 강화 등 3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기후위기가 일상화돼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며 “홍수로 인한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 대응 태세를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싱크홀 등 국민 일상을 위협하는 재난에 대해 소관을 따지지 않고 관계부처와 협력해 신속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 방향도 밝혔다. 금 차관은 “탄소중립과 산업 경쟁력은 함께 가야 한다”며 “시장 메커니즘과 에너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12월 말까지 청계천 북측 청계2가 교차로~광교 교차로 구간 차 없는 거리 운영 일시정지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오는 7월 12일 토요일부터 12월 말까지 청계천 북측 청계2가 교차로~광교 교차로 구간(450m) 차 없는 거리 운영을 일시정지 한다고 전했다. 지금까지 차 없는 거리 운영시간 동안에는 긴급차량의 통행만이 가능했지만, 이번 조치를 통해 승용차,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들도 해당 구간을 드나들 수 있게 된다. 단, 시내버스(173번)는 주말 및 공휴일 청계천로 차 없는 거리 운영 일시정지 기간에도 청계천로 남측과 동일하게 우회 운영한다. ’05년부터 운영해온 청계천로 차 없는 거리는 시민들에게 도심 속 보행공간을 제공해 왔으며,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및 보행문화에 대한 시민의식 제고에 크게 기여한 서울시의 대표적인 보행정책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차 없는 거리는 자동차 통행을 물리적·시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보행의 쾌적성과 안전성을 향상시켜 보행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으로「서울특별시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조례」제10조에 근거한다. 청계천로 차 없는 거리 운영구간은 청계천로 남·북측 청계광장~삼일교(880m)이며, 운영시간은 토요일 14:00~일요일 22:00, 공휴일 10:00~22:00까지이다. 다만, 매출 감소 및 납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