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물/토양

우원식 의원 100억 들인 환경부 홍수위험지도, 공개 후 접속자 수 5만 8천명 뿐

2021년 ~ 2022년 9월까지 접속자 58,849명에 그쳐 … 공공기관사용자 접속은 295건뿐
접속자 수, 22년 8월 이전까지 16,789명뿐 … 전체 접속자 중 72.6%가 8월 10일 폭우 이후 접속
정보호출건수는 22년 8월에만 13,929,646으로 이전보다 10배 급증, 전 달은 100만 내외

[환경포커스=국회]  “지난 8월 홍수에서의 반지하 비극으로 재난 불평등 증명돼 … 홍수위험지도 등 재해지도를 활성화하고 일반에 더 많이 노출 시킬 방안 찾아야 한다.” 의견이 나왔다.

 

우원식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인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노원을)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홍수위험지도가 일반에 공개된 이후 현재까지 총접속자 수는 58,849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홍수위험지도는 환경부에서 지난 2001년 기본조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00억여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만들고 있다. 지난 2021년부터는 홍수위험지역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피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홍수위험지도를 인터넷과 모바일의 홍수정보시스템 사이트를 통해 일반에 공개했다.

 

<2021년 홍수위험지도 공개 이후 접속자 수 현황>

구분

2021

2022

합계

9

10

11

12

소계

1

2

3

4

5

6

7

8

9

소계

홈페이지

23

111

604

612

1,350

1,516

1,492

1,778

1,533

1,750

2,434

1,898

13,462

15,184

41,047

42,397

모바일

 

 

103

62

165

228

112

205

166

177

265

205

8,197

6,732

16,287

16,452

합계

23

111

707

674

1,515

1,744

1,604

1,983

1,699

1,927

2,699

2,103

21,659

21,916

57,334

58,849

 

 

 

하지만 올해 기록적인 대홍수 전까지 홍수위험지도를 이용한 사람은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스템상 접속자 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 2021년 9월 이후부터 현재(2022년 9월)까지 총 접속자 58,849명 중 72.6%에 해당하는 42,725명이 2022년 8월 10일 폭우 이후 접속하였으며 8월 10일 전까지의 접속자 수는 전체의 27.4%인 16,983명에 불과했다.

 

<2022년 여름 홍수위험지도 월별 기능호출건수 [별첨참조]>

 

6

7

8

9

기능호출건수

1,401,312

993,716

13,929,646

1,071,361

 

 

폭우 이후 기능호출건수도 평소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호출건수는 접속자가 시스템 안의 기능을 클릭하거나 이용할 때 집계된다. 기능호출건수는 22년 8월에만 13,929,646건으로 월별 기준으로 이전보다 10배 가량 급증했다. 일 평균 또한 6월과 7월에는 각각 4만 6천여 건과 3만 2천여 건에 불과했지만 8월에만 449,343건으로 10배 이상 폭증했다.

한편, 행정안전부가 재난, 치안, 교통, 보건 등 사고 이력, 안전시설 등을 지도형태로 제공하는 ‘생활안전지도’의 경우 홍수위험지도와 비교해 동기간 709,574명이 접속해 10배 이상 많은 접속자 수를 보였다. 환경부에 따르면 홍수위험지도는 2022년 9월 3일이 되어서야 생활안전지도 시스템상에서도 볼 수 있도록 연계 서비스를 시작했다.

 

<생활안전지도 월별 접속자 통계 (2014.9월 ~ 2022.9월)>

연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2014

-

-

-

-

-

-

-

-

4,666

15,395

8,848

3,138

32,047

2015

6,300

5,859

7,181

6,191

6,511

4,577

10,401

7,594

5,804

7,008

20,750

6,893

95,069

2016

15,076

15,216

17,760

12,207

25,896

24,091

20,770

19,767

19,816

63,018

25,172

72,337

331,126

2017

18,572

82,565

20,000

17,294

15,620

20,878

18,032

16,846

18,348

31,032

72,080

74,119

405,386

2018

31,458

268,979

31,123

16,238

39,665

42,449

46,759

40,951

38,349

38,985

23,587

32,504

651,047

2019

32,502

23,033

20,974

20,424

22,611

18,925

27,681

21,674

17,300

17,262

16,820

16,977

256,183

2020

22,975

23,110

21,831

26,661

24,239

32,773

33,230

99,444

72,147

71,695

70,857

82,756

581,718

2021

73,509

55,757

45,968

27,590

30,897

31,233

32,677

41,057

30,874

28,084

33,334

34,374

465,354

2022

27,775

25,951

169,298

102,605

28,632

30,280

35,834

70,622

91,911

-

-

-

582,908

 

 

우원식 의원은 “올해 8월의 기록적인 강우와 힌남노 등 홍수피해는 미리 대처하지 못해 생긴 사고가 많아 재난 불평등으로 평가받는다”라며“접속자 수가 많은 생활안전지도와 연계하여 홍수위험지도의 노출량을 늘릴 방법이 이미 있었음에도 수해 이후에야 가능하게 된 것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라고 꼬집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에게 다시 일할 기회 제공하는 <2025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 참여자 신청 시작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2025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 3차 참여자 신청을 8월 19일 화요일부터 9월 4일 목요일까지 받는다고 전했다.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은 경력단절 및 미취업여성의 경제활동 재진입을 지원하는 ‘서울우먼업 프로젝트’의 하나로, 오랜 경력단절로 떨어진 자신감을 회복하고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구직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 첫 시행 이후 지금까지 총 6,501명이 구직지원금을 받았으며, 이 중 2,213명(34%)이 취‧창업에 성공해 경제활동에 복귀했다. ‘서울우먼업 프로젝트’는 서울시 저출생 대책인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서울시의 대표 여성 일자리 지원사업이다. ▴경력단절 3040여성이 구직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구직지원금’(30만 원×3개월) ▴3개월간 기업에서 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인턴십’(생활임금×3개월) ▴인턴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기업에 지원하는 ‘고용장려금’(100만 원×3개월)으로 구성되어 있다. 3차 신청은 올해 마지막 신청으로, 550명을 모집한다. 앞서 1‧2차 신청에서는 2,489명이 선정되었다. 신청은 ‘서울우먼업프로젝트’ 누리집(swup.seo

정책

더보기
김성환 환경부 장관, “세종보 상시개방은 개인 의견…철거 여부는 공론화 필요”
[환경포커스=세종]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8월 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비공식 티타임 형식으로 간담회를 갖고, 4대강 재자연화, 국립공원 케이블카,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탈탄소 산업정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세종보 상시개방 논란에 대해 “환경부 장관으로서 상시개방이 바람직하다는 개인 의견을 밝힌 것”이라며, “철거 여부는 공론화를 거쳐 결정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동시에 “세종보 농성 중인 시민과 약속한 것도 ‘상시개방’이며, 철거 결정은 내가 단독으로 할 수 없다고 충분히 설명했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대해 “이는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고, 문재인 정부에서 약속했던 내용을 이행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금강과 영산강의 5개 보 현장을 모두 둘러본 상태”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당시 세종보·공주보 철거, 백제보 상시개방 방침에 대해 “환경부 장관이 개방 여부도 말 못하면 뭘 말하라는 것이냐”며 직설적인 언급도 덧붙였다. 다만 철거 등 추가 조치는 “절차와 공론화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국무회의 중 산불 대응을 위한 임도(산불진화도로) 설치 발언과 관련해 “해당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높아지는 수시 모집 비중에 맞춰 입시박람회 및 설명회 <수시:로 물어봐> 개최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8월 9일 토요일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에서 입시박람회 및 설명회 <수시:로 물어봐>를 개최한다고 전했다. 사전 신청을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일부 프로그램은 행사 당일 현장에서 접수하고 참여할 수 있다. 시는 수시 모집 비중이 높아지고 전형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수험생들이 입시 전략을 짜는 데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반영해 공공 입시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보 격차 해소’라는 취지에 맞춰 서울런 이용자에게는 우선 참여 기회를 부여한다. 박람회에는 연세대․경희대․인하대․경인교대 등 수도권, 비수도권 4년제 대학 총 27곳이 참여하며, 수험생은 최대 2개 대학을 선택해 상담받을 수 있다. 대학별 입학사정관이 20분간 1:1 맞춤형 상담을 통해 개인별 전형 전략을 제시해 준다. 상담은 오전(10~13시)과 오후(15~18시) 두 회차로 나눠 진행되며 각 대학별 2026년 수시 입학 전형과 최근 입시 동향, 평가 기준, 합격 사례 등 수시 전략 수립에 도움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사전 신청한 수험생을 중심으로 총 600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13시부터는 입시 전문가 윤여정(유니브 클래스 컨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