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환경일반

심상정의원 설악산 케이블카 경제성분석 조작 확인

- 양양군, 케이블카 탑승률 2.03% 올려, 총수입 400억 원 부풀려
-  총수입 400억 원 조차 너무 높아진 총수입 감추기 위해서 조작
- 양양군, 총비용은 분석방법 제시하지 않아 검증 불가능 - 감사원, 경제성 조작  감사해야


심상정 정의당 국회의원 (환경노동위원회)은 양양군이 2015년도 7월 환경부에 제출한 “설악산 국립공원 오색삭도 설치사업 경제성 검증”(이하 ‘2015년 경제성 보고서’)을 분석한 결과 양양군이 ’2015년 경제성분석 보고서‘를 조작했음을 확인하였다.

 

양양군은 ‘케이블카 탑승객 추정방법 B’ 의 ‘탑승률’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제시한 6.65%보다 2.03% 높은 8.68%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총수입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추정한 3,908억원 보다 400억 원 많은 4,308억 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총수입도 높은 탑승률 사용에 따른 높은 총수입을 감추기 위해서 조작한 것이다. 양양군이 제시한 탑승률과 ‘케이블카 탑승객 추정방법 B’에 따르면 총수입은 5,101억 원 이어야 하지만 ‘2015년 경제성 보고서’에는 792 억 원 적은 4,308억 원 만을 제시한 것이다.  (계산은 별첨 참고)

 

또한 양양군은 비용측면에서 총공사비만 구체적으로 밝혔을 뿐,  총비용분석방법 4가지가 어떤 기준에 의해서 작성되었는지 설명하고 있지 않아 검증이 불가능하다.


2012년 경제성 보고서보다 2015년 보고서 값을 높이고 낮춰 경제성 부풀려

설악산케이블카 경제성 분석이 어떻게 부풀려졌는지 알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2012년, 2015년 경제성 분석 보고서를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2012년 양양군이 작성하고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검증한 경제성보고서(“설악산 오색삭도 사업에 대한 경제성 검증보고서”)에서는 설악산 케이블카가 경제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2015년에는 경제성 있는 사업으로 바뀐다.

 

2012년에는 비용편익(B/C)비율이 0.9145로 으로 100원 투자하여 약 92원 수익을 내는 적자사업으로 분석되었다. 비용편익(B/C)비율이 ‘1’이상이면 흑자를 내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양양군이 작성한 ‘2015년 경제성보고서’에서는 비용편익(B/C)비율이 1.10~1.35으로 나와 흑자사업으로 바뀌었다.


케이블카 길이는 1.2Km 짧아졌는데, 탑승요금은 2,815원 상승

이렇게 경제성 없던 사업이 경제성사업 있는 사업으로 둔갑한 것은, 주요변수인 사회적 탑승요금은 높이고, 할인율은 낮추었기 때문이다. 

케이블카 탑승요금의 경우도 2012년에는 11,685원을 2015년에는 2012년에 비해 24% 상승한 탑승요금 14,500원을 사용하였다. 탑승요금을 무려 2,815원을 높였다. 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탑승요금 상승률을 적용하였을 뿐만아니라 2012년도 케이블카 길이는 4.66km 였고 2015년에는 3.4km로 길이가 짧아진 상태다.

 

다른 지역인 통영미륵산, 완주군 대둔산 등이 1000원 올린 것에 비해 설악산 케이블카의 탑승요금은 너무 높게 상정한 것이다. 이것은 분석방법을 2012년에는 선형함수만을 사용하여 탑승요금을 추정하였지만, 2015년에는 선형함수, 지수함수, 로그함수의 평균값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사회적 할인율의 경우 2012년 보고서에는  4.5%, 5.5%, 6.5%를 사용하였으나 2015년에는 사회적 할인율 대신에 최근 3년 회사채 금리평균인 3.31%를 사용하였다. 이로 인해서 경제성분석이 유리하게 나오도록 하였다. 


검증할 수 없도록 작성된 비용분석과 민감도분석

그리고 2012년에는 총비용에 대한 년도별 명목가격을 제시하였으나, 2015년에는 이를 제시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서 2015년 보고서에서는 어떤 기준에 의해서 비용이 분석되었는지 알 수 없다.

 

또한 경제성분석을 할 때 수요예측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서 기준 값에서 변화폭의 변화 즉 민감도 분석을 한다. 케이블카 경제성 분석을 할 때 주요한 민감도 기준은 탑승률의 변화이다. 2012년에는 탑승률을 기준값에서 10%감소, 10% 증가를 제시하였으나 2015년에는 이를 적용하지 않았다.

 

심상정 국회의원은 “국책연구기관의 연구내용은 조작하고, 그것도 모자라 수치를 조작한 것은 중대한 범죄행위”라며 “누구에 의해서 어떻게 경제성분석이 조작되었는지 감사원 감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설악산은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으로 환경보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별첨 1> 설악산케이블카 수입 비교

 

 

탑승률

(a)

탑승객

(b)

입장수입

(c=a*b)

부대수입

(d=c*0.1)

총수입

(e=c+d)

공식에 의 한 계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

6.65%

24,503,158

355,295,788,912

35,529,578,891

390,825,367,803

수정되어야할 양양군보고서(B)

8.68%

31,983,067

463,754,471,500

46,375,447,150

510,129,918,650

  양양군이 임의로 작성한 보고서(C)

 

 

391,664,621,000

39,166,462,100

430,831,083,100

 차이 (D=B-A)

2.03%

7,479,909

108,458,682,588

10,845,868,259

119,304,550,847

 차이 (E=B-C)

 

 

72,089,850,500

7,208,985,050

79,298,835,550


케이블카 총수입은 입장객수입과 부대수입(입장객 수입의 10%)으로 구성된다. 설악산 케이블카 입장객 총수입 (총탑승객수 × 케이블카 입장료)은 약 4,638억원이어야 하지만, ‘2015년 경제성 보고서’에서는 약 3,917억원만 제시하여 약 721억 원 낮게 작성한다. 그리고 부대수입은 72억 1000만원 낮게 작성한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및 기부금 전달식 개최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28일 오전 11시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및 기부금 전달식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박형준 시장, 김경환 한국주택금융공사장, 이헌승 국회의원 등이 참석해 세대이음 친환경 노인일자리를 창출하는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를 조성하고, 부산 어르신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날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기부금 2억 2천만 원을 전달했다. 기부금은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 ▲부산형 해비타트 챌린지 ▲저소득 조손가정 생활지원금 지원사업 ▲노인 인식개선 프로젝트 등 4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쓰일 예정이다. 기부금 중 1억 8천만 원은 부산진구에 문을 열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10호점 조성에 사용될 예정이다. 시는 지난 6월, 올해(2025년)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 센터」 조성사업 대상지로 5곳을 선정했다. ▲6호점 강서구 ▲7호점 동구 ▲8호점 북구 ▲9호점 기장군 ▲10호점 부산진구로, 연말까지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대상지 선정은 폐원 노인요양센터·어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여름방학 맞아 도시생활지도 내 <도심 속 피서지> 테마 지도 운영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7월 26일 토요일부터 ‘도시생활지도’ 내 ‘도심 속 피서지’ 테마 지도를 운영한다고 전했다. 이 지도에는 7.26.(토) 현재 기준으로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운영하는 총 239개소의 물놀이 시설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 이 중 ▲수영장 26개소 ▲물놀이장 106개소 ▲바닥분수 62개소 ▲수경시설 45개소로, 시설별 특성과 위치, 운영시간, 편의시설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정보를 제공하며, 8월 말까지 운영된다. 향후 추가 운영되는 물놀이 시설이 있을 경우 지속 반영할 예정이다. 그간 물놀이 시설 정보는 구청 누리집이나 블로그 등으로 흩어져 있어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 이에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스마트서울맵을 통해 통합 정보 제공을 시작,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정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 구청 사업 담당자가 직접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해 시민에게 더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심 속 피서지 지도는 단순한 위치 안내에 그치지 않는다. 운영시간, 요금, 휴장일, 매점 유무 등 실제 방문객이 궁금해할 실용 정보를 상세히 제공한다. 또한 ‘한강공원 즐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