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종합뉴스

해충막는 미기록 곰팡이 2종…독도?울릉도에서 발견

- 친환경 미생물 살충제 원료 가능성 높은 곰팡이 2종 발견
- 해외 생물자원 대체하는 국내 자생 생물자원 연구 활발 기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상배)이 독도와 울릉도에서 친환경 살충제의 원료로 활용이 가능한 국내 미기록 곰팡이 2종을 각각 발견했다.

 

독도에서 발견한 곰팡이는 메타리지움 규하우엔스(Metarhizium guizhouense) 종이다. 메타리지움 속(genus) 곰팡이는 해충방제의 원료로 사용되며 화학 농약을 대체하는 친환경 미생물 농약으로 미국, 독일, 오스트리아 등 여러 나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만과 인도에서는 ‘곰팡이 살충제(Metarhizium anisopliae)’로 개발돼 판매되고 있다.

 

메타리지움 속 곰팡이는 흰개미, 총채벌레, 바구미, 모기 등 여러 해충에 대해 살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곰팡이의 포자가 곤충 표피에서 발아하여 퍼진 후 균사가 곤충내부로 침투하여 수일 내에 곤충을 죽게 만든다.

 

울릉도에서 발견한 곰팡이는 베르티실리움 렙토박트럼(Verticillium leptobactrum)으로 양파, 참외 등 다양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의 살충 효과가 높다. 베르티실리움 속(genus) 곰팡이는 뿌리혹선충을 비롯해 진딧물 등의 살충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베르티실리움 속의 곰팡이는 선충의 알무리에 있다가 부화한 유충에 기생하여 선충의 성장을 억제하게 된다.

 

이번에 발견된 2종의 곰팡이는 오는 10월 12일 발효 예정인 나고야 의정서를 앞두고 해외 생물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국내 자생 생물자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 소속 김창무 박사는 “이번 2종의 곰팡이는 인체나 가축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해충을 막을 수 있는 미생물 농약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 박사는 “올해부터는 곰팡이류처럼 새롭게 발견한 자생 생물을 이용해 생물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나고야 의정서 대응을 위한 우리나라 생물의 가치 연구를 병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립생물자원관은 2006년부터 우리나라 자생 생물자원을 찾기 위한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곰팡이(균류, 菌類)의 경우에는 전남대학교 이향범 교수팀을 주축으로 총 10명의 대학 교수들과 대학원생 25명, 국립생물자원관 균류 연구팀이 공동 연구를 수행 중이다.

 

모든 연구진이 특정 지역에 모여 새로운 균류 종을 발굴하기 위해 공동 조사를 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독도?울릉도에서만 메타리지움 규하우엔스(Metarhizium guizhouense), 코르디셉스 브론니알티(Cordyceps brongniartii), 등 새로운 균류 8종을 발견하는 성과를 낸 바 있다.
 ※ 균류 8종: 메타리지움 규하우엔스(Metarhizium guizhouense), 베르티실리움 렙토박트럼(Verticillium leptobactrum), 코르디셉스 브론니알티(Cordyceps brongniartii), 모르티렐라 올리고스포라(Mortierella cf. oligospora), 크로노스타치스 로세아(Clonostachys cf. rosea), 패시로마이세스 카네우스(Paecilomyces carneus), 퓨퓨레오실리움 리라시넘(Purpureocillium lilacinum), 페니실리움 라피애(Penicillium raphiae).
 

특히 독도 · 울릉도는 균류의 생장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균류 연구에 매우 적합한 지역이다. 울릉도는 해양성 기후로 연간 강수량은 1.384.4mm로 전국 평균 1,283mm에 대비 108% 수준이지만 강수일은 155일, 강수 계속시간은 1,284시간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공공시설 활용한 <더 아름다운 결혼식장> 61개소로 대폭 확충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예비부부가 결혼식을 하고싶을 정도로 좋은 곳이지만, 공공시설이라서 결혼식을 올리기 어려웠던 공간들을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서울시 대표 '더 아름다운 결혼식장’으로 지원한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지난 6월 공공시설을 활용한 「더 아름다운 결혼식」 확대 지원 계획을 발표하고, 당초 25개소였던 서울시 공공예식장을 61개소로 대폭 늘려 7월부터 확대 시행하고 있다. ‘공공시설을 활용한 「더 아름다운 결혼식」 확대 지원’ 사업은 그동안 운영 성과를 토대로 인기가 높은 한옥뷰, 공원뷰, 정원뷰, 고풍스러운 분위기의 공간을 대폭 확대하고, 새로이 한강뷰, 남산뷰 등을 추가하여 매력적인 서울의 공공시설을 예식장으로 개방하고 결혼식을 종합 지원하는 사업이다. '23년부터 지금까지 총 239쌍('23년 29쌍, '24년 106쌍, '25년 상반기 104쌍)이 결혼식을 올렸고, 올 하반기에는 120쌍, 내년 예식도 272쌍이 예약을 마친 상태이다. 특히 7월 1일 신규 오픈한 곳은 99쌍이 예약한 상태이다. 인기 장소로는 실내웨딩홀 1호점 ‘피움서울’, 더힐스 남산 웨딩홀, 한강루프탑 순이다. 예비부부들의 ‘더 아름다운 결혼식장’을 찾는 가장

정책

더보기
김성환 환경부 장관, “세종보 상시개방은 개인 의견…철거 여부는 공론화 필요”
[환경포커스=세종]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8월 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비공식 티타임 형식으로 간담회를 갖고, 4대강 재자연화, 국립공원 케이블카,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탈탄소 산업정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세종보 상시개방 논란에 대해 “환경부 장관으로서 상시개방이 바람직하다는 개인 의견을 밝힌 것”이라며, “철거 여부는 공론화를 거쳐 결정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동시에 “세종보 농성 중인 시민과 약속한 것도 ‘상시개방’이며, 철거 결정은 내가 단독으로 할 수 없다고 충분히 설명했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대해 “이는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고, 문재인 정부에서 약속했던 내용을 이행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금강과 영산강의 5개 보 현장을 모두 둘러본 상태”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당시 세종보·공주보 철거, 백제보 상시개방 방침에 대해 “환경부 장관이 개방 여부도 말 못하면 뭘 말하라는 것이냐”며 직설적인 언급도 덧붙였다. 다만 철거 등 추가 조치는 “절차와 공론화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국무회의 중 산불 대응을 위한 임도(산불진화도로) 설치 발언과 관련해 “해당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집중호우로 큰 피해 입은 경기도 가평군 상면 봉수리 일대에바로봉사단 80여 명 파견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8월 1일 금요일, 지난 7월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경기도 가평군 상면 봉수리 일대에 80여 명 규모의 서울시 바로봉사단을 파견해 농작물 피해 복구를 위한 자원봉사 활동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서울시 바로봉사단은 서울시자원봉사센터를 비롯하여, 외국인주민봉사단 21명(서울외국인주민센터 협조),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 소속 구호 전문요원 37명 등 총 80여명으로 구성되었으며, 7.25.(금) 1차 충남 예산 수해지역 봉사단 파견(116명)에 이은 2차 파견이다. 외국인주민봉사단은서울외국인주민센터의 협조를 통해 총 9개국 21명(통역 인력 포함)의 서울 거주 외국인주민을 자원 받아 구성됐다.(베트남 5명, 우즈베키스탄 3명, 방글라데시 2명, 필리핀 2명, 독일·멕시코·미얀마·인도·중국 각 1명) 외국인주민봉사단은 1차 충남 예산 수해지역에도 25명 참여하였으며, 지난 4월 경북 산불 피해복구 봉사에도 70여 명이 참여한 바 있다. 봉사단은 경기 가평군 상면 봉수리 일대에서 침수 농경지 토사 제거 및 폐기물 정리 등에 힘을 쏟으며 무더운 날씨 속에서도 구슬땀을 흘렸다. 집중호우로 토사물이 덮인 농경지에서 삽으로 토사물을 마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