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20.4℃
  • 구름많음강릉 22.8℃
  • 맑음서울 18.8℃
  • 구름많음대전 22.6℃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2.8℃
  • 구름조금광주 22.7℃
  • 구름조금부산 18.2℃
  • 구름조금고창 18.9℃
  • 구름많음제주 19.2℃
  • 맑음강화 14.5℃
  • 구름조금보은 20.7℃
  • 구름많음금산 22.3℃
  • 구름조금강진군 22.6℃
  • 구름많음경주시 25.3℃
  • 구름조금거제 19.5℃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상하수도

서울시, 올해 가장 많은 수돗물 생산한 날은 7월 21일로 331만 톤 생산

서울시 올해 일일 최대 331만 톤 물 생산, 1인당 2리터 병물 176개 상당
서울시뿐 아니라 인접 4개 도시 일부 지역에 아리수 공급해 ‘물 동행’ 실현
인구 줄어도 수전은 늘어, 물 수요 대응위해 7,425억 원 투자 정수시설 용량 증설
안정성 확보 위해 매년 수질검사 강화, 건강하고 맛있는 물 공급 관리 총력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올해 가장 많은 수돗물을 생산한 날은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7월 21일로 이날 최고기온은 34.3℃였으며, 생산량은 331만 톤이었다고 전했다.

 

이는 서울시민 1인당 약 352리터 정도를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2리터 병물 176개에 달한다. 최고기온 35.8℃를 기록해 올해 가장 더웠던 날인 8월 8일의 수돗물 생산량은 330만 톤으로 일일 최대 생산일보다 약 1만 톤 가량 적었다.

 

올해 8월 31일을 기준으로 서울시 하루 평균 수돗물 생산량은 305만 톤이다. 이는 지난 항저우 아시안게임 수영장에 물을 가득 채웠을 때 약 813개 가량의 양이다. 메가시티 서울시가 보유한 하루 고도정수처리시설 용량은 총 380만 톤이다.

 

서울시는 아리수 생산과 공급을 위해 6개의 정수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중 암사아리수정수센터가 일 평균 905천 톤을 생산해 가장 많은 수돗물을 생산하고 있고, 다음은 강북아리수정수센터 791천 톤, 뚝도아리수정수센터 439천 톤,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 394천 톤, 구의아리수정수센터 300천 톤, 광암아리수정수센터가 222천 톤 순이다.

 

서울시의 인구는 줄고 있지만, 수돗물을 사용하는 수전 수는 오히려 늘고 있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수돗물을 공급하는 총괄 수전 수는 올해 2,262,942개로, 이를 통해 수돗물이 서울시 4,469,158세대에 365일 24시간 끊임없이 공급된다.

 

수돗물을 공급하고 요금 부과 등 관리하는 상수도 단위인 수전 수는 2019년 2,185천전, 2020년 2,207천전, 2021년 2,230천전, 2022년 2,252천전, 2023년 2,262천전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민은 1인 1일 최대 330리터의 물을 공급받고 있으며, 평균은 301리터이다. 이중 288리터를 평균적으로 소비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는 생산한 물을 수도기반 시설이 부족한 인접한 도시에도 공급해 수돗물로 ‘물 동행’을 실현하고 있다. 서울시는 경기도 구리시, 남양주시, 하남시, 광명시 총 4개 시 일부 지역에 하루 128,228톤의 아리수를 약 656천 명에게 공급하고 있다.

 

서울시 이외의 아리수 급수 인구는 남양주시 금곡동 일대 334,000명, 하남시는 위례신도시, 미사․감일지구 등을 포함해 230,100명, 구리시 교문동 일대 91,000명, 광명시는 철산동 일대 1,330명이다.

 

서울시는 1990년 6월 광암아리수센터에서 생산한 물을 하남시에 공급한 것을 시작으로 인접 지역 중 수돗물 공급이 필요한 곳과 협약을 맺고 아리수를 공급하는 등 ‘물 동행’을 실천하고 있다.

 

특히, 하남시는 미사, 감일 지구와 위례신도시 등 새로운 도시 개발 지역은 서울시가 구축해 놓은 수도기반 시설을 활용하기 때문에 대규모 시설 투자가 필요 없어 저렴하게 고품질의 아리수를 공급받는다.

 

서울시는 늘어나는 수돗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부터 2043년까지 총 7,452억원을 투자해 고도정수처리 시설 용량을 현재 하루 최대 380만 톤에서 415만 톤까지 확충한다.

 

고도정수처리시설 용량 증설은 광암과 강북아리수정수센터에서 진행하고, 4개 정수센터 재정비·현대화도 순차적으로 추진한다. 광암아리수정수센터는 2028년까지, 다음으로 암사아리수정수센터는 2027년~2033년까지, 구의아리수정수센터는 2032년~2038년까지,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는 2037년~2043년까지 재정비·현대화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뿐 아니라 안정성 확보와 물맛 향상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서울시는 매년 수질검사 항목을 추가해 350개까지 강화했으며, 올해도 신규 감시 항목 추가 선정을 위한 연구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아리수의 수질검사 350항목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166항목 보다 2배가 많고 환경부가 정한 ‘먹는물 수질기준’ 의 60항목 보다 약 6배 정도 많아 국내 최고 수준이다.

 

시는 올 상반기 정수센터에서 생산되는 건강한 물의 핵심 지표인 미네랄과 조류 관련 맛․냄새 물질인 2-MIB, 지오스민 농도가 ‘건강하고 맛있는 물 가이드라인’ 관리 목표를 100% 달성했다고 밝혔다. 또한, 정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독부산물과 위생적인 물 관리의 지표인 잔류염소 농도도 관리 기준에 만족했다.

 

아리수의 미네랄 함량은 42.9 mg/L였으며, 2-MIB와 지오스민은 환경부 먹는물 수질기준 20 ng/L 보다 강화된 기준인 8.0 ng/L 이하로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다.

 

소독부산물도 환경부 먹는물 수질기준 0.1 mg/L 보다 강화된 0.04 mg/L 이하를 목표로 관리하고 있으며, 상반기 평균 0.017 mg/L으로 관리되고 있다.

 

잔류염소는 분산 투입을 통해 상반기 평균 0.22 mg/L로 적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환경부 먹는물 수질기준에 잔류염소는 4.0 mg/L로 정하고 있으나, 시는 수돗물의 안전성과 시민의 기호를 동시에 고려해 적정 농도인 0.1~0.3 mg/L로 관리 목표를 정하고 있다.

 

‘건강하고 맛있는 물 가이드라인’ 은 서울시가 2012년부터 국내 최초로 설정한 물맛에 대한 품질 기준으로 매년 강화해 관리하고 있다.

 

한편,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 6월 29일 아리수 물맛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공정 모델인 ‘서울형 초고도 정수 처리’를 연구·도입한다고 밝힌 바 있다. 아리수는 현재 표준 정수처리 공정인 혼화, 응집, 침전, 여과 이후 오존과 활성탄으로 두 번 더 거르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물맛과 안전성을 강화해 생산하고 있다.

 

유연식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아리수정수센터는 서울시민에게 365일 24시간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서울의 심장과 같은 곳”이라면서 “고도정수처리 강화를 통해 기후위기 시대에도 사계절 안전하고 맛있는 시민의 생명수인 아리수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다문화가정의 건강한 성장 지원 위해 <FC서울과 함께하는 다문화 축구교실> 운영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와 서울을 연고로 하는 프로축구단 FC서울은 다문화가정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FC서울과 함께하는 다문화 축구교실’을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2년간 2,500여 명의 다문화‧외국인가정 어린이들이 참여하며 축구를 통해 건강하게 성장하고, 서로 우정을 나누며 한국사회에도 빠르게 적응하고 있다. 축구교실 참여 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5세~12세 아동으로, 선정 시 사회적 형평성 및 성비 등을 고려하여 저소득가정, 여성 참여자 등을 우선 선정하는데, 올해에도 ‘FC서울과 함께하는 다문화 축구교실’에 참여할 서울시 거주 다문화‧외국인가정 자녀 76명을 공개 모집하여 선정하였다. ‘FC서울과 함께하는 다문화 축구교실’은 남촌재단과 GS칼텍스, GS리테일, GS글로벌, GS건설이 후원한다. 후원사들은 올해도 교육용품, 교육비와 다양한 특별활동을 지원한다. 올해는 4월 1일부터 11월 말까지 고척스카이돔, 월드컵보조구장, 보라매공원 등 10개 구장에서 주 1회(월 4회 기준, 9개월) 교육이 진행되며, 참여 어린이들은 무료로 축구교실을 다닐 수 있다. 수업은 FC서울의 유소년 코치들이 직접 맡고 있으며, F

정책

더보기
환경부 추가경정예산안 1,753억 편성, 산불·싱크홀 등 재난 대응에 집중 투자
[환경포커스=세종]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4월 18일 국무회의에서 산불, 싱크홀 등 대규모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2025년도 환경부 ‘필수 추가경정예산안’으로 1,753억 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신속한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재해대책비를 1,120억원 증액한다. 이는 2025년 본예산(350억원) 대비 3배 이상 추가 편성한 것이며, 영남지역 8개 시·군을 대상으로 산불 피해를 입은 주택·농업시설 및 공장의 재난폐기물 처리비용을 전액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피해지역 주민들의 빠른 일상 회복 지원 및 방치된 폐기물로 인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한다. 국립공원의 산불 초동 대응 강화를 위해 77억원을 추가 편성한다. 유사시 산불진화에 투입되는 노후 헬기(1대)를 적기 교체하고, 고성능 산불진화차량 2대를 추가 도입하여 기존 4대를 포함 총 6대를 권역별로 배치할 계획이다. 이번 장비 확충을 통해 국립공원공단이 산불 초기진화 및 확산 방지에 적기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싱크홀 피해 예방을 위해 노후 하수관로 정비 예산을 전년 대비 약 2배 확대한다. 전국 9개 광역시·도의 노후 하수관로 중 38개 계속사업에 505억 원을 증액하여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도보 30분에 여가·교육·돌봄 모두 <서울형 보행일상권> 시범사업 본격 착수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시민들이 도보 30분 내에서 생활편의,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다고 전했다. 앞으로 서울 곳곳이 도보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자족적인 생활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그 밑그림을 그리는 시범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보행일상권’은 미래공간전략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22년 3월 발표)에서 처음 제시된 것으로 팬데믹·디지털 대전환과 같은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주거지의 일상 중심공간 부상 등 생활양식을 반영한 도시공간 개념이다. 다시 말해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주거용도’ 위주로 형성되어 있는 서울의 일상생활 공간을 전면 개편함으로써, 서울 전역에 자립적 보행일상권을 조성하는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실현하여, 시민 삶의 질을 한층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난 9일, 시는 8개 시범대상지를 선정했다. 시범대상지는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 마련 및 시범사업 추진』 용역 자문에 참여한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를 통해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