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정책

무분별한 탐방으로 훼손되어 가는 국립공원

탐방객 복구비 5년 간 691억, 탐방예약제 확대해야

[환경포커스=국회] 최근 5년간 훼손된 국립공원 탐방로를 복구하기 위한 비용이 약 69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심각한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국립공원을 찾은 탐방객 수가 4천 7백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이를 해결하는데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의왕·과천)이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립공원 훼손 탐방로 복구비(복구연장)는 2014년 106억 원(47.43km), 2015년 154억 원(47.84km), 2016년 143억 원(46.54km), 2017년 138억 원(43.69km), 2018년 148억 원(46.65km)으로 총 232.15km 구간에 691억 원이 투입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공원별로 살펴보면 가장 많은 복구비가 사용된 곳은 지리산으로 89억 원(29.92km)가 쓰였고, 북한산 86억 원(25.93km), 소백산 62억 원(15.55km), 무등산 54억 원(22.11km), 속리산 45억 원(14.55km) 순이었다.

 

이러한 훼손 탐방로 복구비의 증가는 늘어나는 탐방객 수와 비례하는데 실제 지난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를 폐지하자 평균 2천 5백만 명 수준이던 국립공원 탐방객 수가 그해 3천 8백만 명으로 급증했고, 50억 원 수준(2006년 기준)이던 복구비 또한 이듬해 65억 원으로 크게 늘어난 바 있다.

 

이에 신창현 의원은 “현재 전체 국립공원 가운데 탐방예약제가 시행 중인 곳은 15개 구간(11개 공원, 67.4㎞)에 불과하지만”이라며 “적정 수용력을 초과하는 곳에 대해서는 탐방예약제를 확대 시행하여 무분별한 자연 훼손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인천시, 5월부터 올해 출산한 취약계층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용품 지원
[환경포커스=인천] 인천광역시는 5월부터 올해 출산한 취약계층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용품을 지원한다고 전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2월, 하나금융그룹이 저출생 극복과 지역사회 상생을 위해 인천시에 기부금을 전달한 데 따른 것으로, 인천시와 인천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세이브더칠드런 경인지역본부가 협력해 추진한다. 지원 대상은 인천시에 거주하면서 올해 자녀를 출산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해산급여를 지급받은 가정이다. 지원 물품은 영유아 양육에 필요한 다양한 용품으로 구성된 ‘출산 축하 꾸러미’이며, 해당 물품은 대상자 주소지로 배송될 예정이다. 신청은 거주지 관할 읍·면사무소,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출생신고 및 해산급여 신청 시 함께 접수하면 된다. 용품은 해산급여를 받은 달의 다음 달에 지원되며, 올해 1월부터 4월 사이에 출산해 해산급여를 이미 지급받은 경우에도 소급 지원이 가능하다. 해당 가정은 지금 신청하면 5월 중 물품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사업은 2025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연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나 사업비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시현정 시 여성가족국장은 “상대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시민들의 출산과 육아에 작으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