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물/토양

한국수자원공사, 스타트업 기업 지원해 매출 증가 이어져

- ‘물산업 혁신창업 지원 스타트업 전담 멘토단 성과발표회’ 우수사례 공유
- 총 92개 스타트업 기업 지원해 평균 매출 61%, 투자유치금 240% 증가 등

[환경포커스=대전]  한국수자원공사는 국내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는 멘토들의 활동성과와 우수사례 등을 공유하기 위해, 11월 26일 오후 2시 대전시 유성구 K-water연구원에서 ‘물산업 혁신창업 지원 스타트업 전담 멘토단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한국수자원공사의 ‘스타트업 전담 멘토단’은 올해 초 사내 공모를 통해 업무경험과 전문성을 고려하여 36개 부서 70명으로 구성됐다.

발표회를 통해, 멘토단은 물 분야 혁신기술을 보유한 57개의 스타트업 기업과 매칭하여 이들 기업이 보유한 아이디어와 서비스가 실제 사업화에 이를 수 있도록 한국수자원공사의 주요사업과 연계한 성능시험(테스트베드), 기술컨설팅 제공 등 올해 주요 활동내역을 공유했다.

 

또한, 3D 측량기술과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을 진행하는 초기 스타트업인 기업인 ‘무브먼츠’가 전담 멘토단 매칭 이후, 2년 만에 매출 155% 상승과 기업가치 약 50억 원의 기업으로 성장한 사례 등을 멘토링 우수사례로 공유했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전담 멘토단 운영 외에도 유망 스타트업의 고속성장(Scale-up) 지원을 위해 △정수장 등 실제 물관리 시설물을 통한 ‘기술성능 검증(테스트베드) 제공’, △스타트업 기업과 한국수자원공사의 사업 부서를 매칭해 진행하는 ‘협업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이 밖에도 △한국수자원공사 시설물을 활용한 스타트업 기업의 창업공간 제공과 △투자유치 연계, △국내외 포럼과 엑스포(EXPO), 세미나 공동 참여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92개의 스타트업 기업이 한국수자원공사와 협력 이후 평균적으로 매출 61%와 수출액 350% 증가를 이뤘다. 또, 고용인원은 평균 60%, 투자유치금액은 약 240% 상승하는 등 매출과 일자리, 투자유치 등 주요 지표에서 모두 향상되는 성과를 얻었다.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스타트업 기업과의 지속적인 아이디어 및 기술개발 교류를 통해 물관리 분야에 혁신기술을 융복합하는 과정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며, “물관리 전문기관으로서 물산업 육성과 혁신 창업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환경뉴스

더보기
인천시, 5월부터 올해 출산한 취약계층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용품 지원
[환경포커스=인천] 인천광역시는 5월부터 올해 출산한 취약계층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용품을 지원한다고 전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2월, 하나금융그룹이 저출생 극복과 지역사회 상생을 위해 인천시에 기부금을 전달한 데 따른 것으로, 인천시와 인천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세이브더칠드런 경인지역본부가 협력해 추진한다. 지원 대상은 인천시에 거주하면서 올해 자녀를 출산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해산급여를 지급받은 가정이다. 지원 물품은 영유아 양육에 필요한 다양한 용품으로 구성된 ‘출산 축하 꾸러미’이며, 해당 물품은 대상자 주소지로 배송될 예정이다. 신청은 거주지 관할 읍·면사무소,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출생신고 및 해산급여 신청 시 함께 접수하면 된다. 용품은 해산급여를 받은 달의 다음 달에 지원되며, 올해 1월부터 4월 사이에 출산해 해산급여를 이미 지급받은 경우에도 소급 지원이 가능하다. 해당 가정은 지금 신청하면 5월 중 물품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사업은 2025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연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나 사업비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시현정 시 여성가족국장은 “상대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시민들의 출산과 육아에 작으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