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환경일반

중소기업을 위한 환경 분야 지원 제도를 한눈에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윤승준)은 중소기업이 지원 받을 수 있는 환경 관련 56개 제도의 정보를 모아 기업 지원제도 종합 안내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책은 환경산업기술원이 운영하고 있는 각종 기업지원 제도를 기업 운영의 전주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특히 각 제도별로 지원 시기, 지원 내용, 절차와 방법, 신청 노하우(Tip) 등 기업이 알고 싶은 정보를 상세하게 수록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자신의 필요에 맞는 환경 관련 제도를 손쉽게 선택하고 신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에는 환경기술 연구개발부터 창업, 사업화 및 해외진출, 전문 인력 교육과 친환경 경영 등 기업활동 전반에 걸친 각종 제도들이 망라되었다.

 

환경 R&D 파트에서는 환경오염 방지기술, 유해물질 관리기술 등 국민생활에 밀접한 기술을 개발하는 12가지 환경기술 개발사업에 대한 정보를 담았다.

 

창업·벤처, 금융·판로지원 파트에서는 연구개발 이후 창업 및 사업화 초·중기의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자금 융자, 투자유치, 컨설팅, 에코디자인 지원 등 12개 제도를 정리했다.

 

해외진출 및 수출지원 파트에서는 해외 현지와 기술에 대한 타당성 조사, 국제 공동 현지 사업화, 해외진출 종합컨설팅 등 9개의 해외 사업 관련 지원제도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제품과 기술·서비스·기업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환경마크 인증, 환경신기술(NET) ·검증, 우수환경산업체 지정 등 11개 인증 및 검증제도에 대한 소개는 물론, 국민·기업·국가의 친환경생활 확산을 위한 각종 지원제도에 대한 정보도 포함했다.

 

환경산업기술원 관계자는 이 책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필요한 시기에 알맞은 지원을 받고, 그리고 이로 인해 성공에 한 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책은 환경산업기술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eiti.re.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에게 다시 일할 기회 제공하는 <2025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 참여자 신청 시작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2025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 3차 참여자 신청을 8월 19일 화요일부터 9월 4일 목요일까지 받는다고 전했다.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은 경력단절 및 미취업여성의 경제활동 재진입을 지원하는 ‘서울우먼업 프로젝트’의 하나로, 오랜 경력단절로 떨어진 자신감을 회복하고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구직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 첫 시행 이후 지금까지 총 6,501명이 구직지원금을 받았으며, 이 중 2,213명(34%)이 취‧창업에 성공해 경제활동에 복귀했다. ‘서울우먼업 프로젝트’는 서울시 저출생 대책인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서울시의 대표 여성 일자리 지원사업이다. ▴경력단절 3040여성이 구직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구직지원금’(30만 원×3개월) ▴3개월간 기업에서 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인턴십’(생활임금×3개월) ▴인턴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기업에 지원하는 ‘고용장려금’(100만 원×3개월)으로 구성되어 있다. 3차 신청은 올해 마지막 신청으로, 550명을 모집한다. 앞서 1‧2차 신청에서는 2,489명이 선정되었다. 신청은 ‘서울우먼업프로젝트’ 누리집(swup.seo

정책

더보기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하는 도구로 착한 굿즈의 표준 만든다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민간기업과 손잡고 만들어낸 굿즈가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라면’ ‘서울짜장’ 같은 먹거리부터 의류·액세서리까지, 서울굿즈는 서울 홍보에만 그치지 않고 판매 수익의 일부를 사회공헌에 환원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지원으로 연결하는 ‘착한 굿즈’의 표준을 만들어 가고 있다. 대표 사례는 풀무원과의 협업으로 2024년 출시된 ‘서울라면’이다. “바쁜 일상을 보내는 서울 사람들이 먹는 건강하고 매력적인 라면”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출발한 이 제품은 1년 반 만에 국내외 누적 판매 500만 봉을 돌파하며 서울 브랜드의 대중성을 입증했다. 올해 6월에는 서울의 상징 캐릭터 ‘해치’를 전면에 내세운 패키지 리뉴얼과 ‘푸드 QR’ 기술을 도입, 원재료·영양성분·포장재질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성을 확보했다. 이 같은 신뢰성은 국내는 물론 미국, 멕시코, 싱가포르, 호주, 필리핀 등 해외 시장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라면’의 가치는 판매량으로만 측정되지 않는다. 풀무원은 ‘외로움 없는 서울’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인 ‘서울마음편의점’에 서울라면과 서울짜장 2만 2,048봉(3천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