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맑음동두천 16.2℃
  • 맑음강릉 11.6℃
  • 구름많음서울 17.0℃
  • 맑음대전 18.9℃
  • 맑음대구 14.5℃
  • 맑음울산 17.8℃
  • 맑음광주 16.5℃
  • 박무부산 17.0℃
  • 맑음고창 16.8℃
  • 구름조금제주 23.3℃
  • 맑음강화 13.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8.3℃
  • 맑음강진군 16.0℃
  • 맑음경주시 14.1℃
  • 구름조금거제 16.6℃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저소득층 현실 반영하지 않는 국민연금공단 무분별 가입

  

[환경포커스=국회] 최근 국민연금 고갈 시점에 대한 논란으로 가입 및 탈퇴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은 가운데, 국민연금공단이 소득이나 근로환경에 대한 고려없이 무분별하게 국민연금 미가입자에 대한 직권가입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정숙 의원(비례대표)이 국민연금공단(이하 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단은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약 252,716명의 미가입자를 직권가입시켰다.  [1] 참조.

 

특히, 2013(1,371)과 비교하면 2017(112,717) 직권가입자는 무려 82배나 급증하였다.

 

[1] 연도별 사유별 직권가입 현황

(단위 : )

구 분

가입자 수

252,716

20131~ 12

1,371

20141~ 12

1,744

20151~ 12

32,397

20161~ 12

67,426

20171~ 12

112,717

20181~ 8

37,012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취득일 기준


문제는 직권가입 대상의 대부분이 소득이 낮거나 근로환경이 안정되지 못해 가입을 계속 유지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실제로 직권자입자의 절반 이상(전체 대비 60%, 143,005)은 가입 후 2개월 내 탈퇴 또는 자격을 상실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2] 참조  특히, 20%(48,426)은 가입 1개월 내 탈퇴하였고, 5년 이상 가입을 유지한 직권 가입자는 단 9명에 불과했다.

 

[2] 가입기간구간별 직권가입자 탈퇴 및 자격상실 현황

(단위 : )

구 분

상실자 수

1개월내

1개월~

2개월내

2개월~

3개월내

3개월~

6개월내

6개월~

1년내

1~

2년내

2~

3년내

3~

5년내

5

이상

236,458

48,426

94,579

15,512

34,933

25,645

13,789

3,293

292

9

2013

364

53

65

50

130

66

-

-

-

-

2014

451

92

82

49

155

93

-

-

-

-

2015

11,685

4,180

5,189

870

888

356

202

-

-

-

2016

60,767

14,440

26,923

4,952

7,943

5,201

1,209

99

-

-

2017

83,666

22,590

29,532

4,810

12,129

7,376

6,479

590

160

-

2018.8

79,525

7,071

32,788

4,781

13,688

12,553

5,899

2,604

132

9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상실일 기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탈퇴사유는 퇴직(사용관계 종료)이 전체의 98%(232,096)에 달했다. [3] 참조.

 

[3] 탈퇴사유별 직권가입자 탈퇴 및 자격상실 현황

(단위 : )

구 분

상실자 수

사용관계

종료

근로자제외(60시간 미만, 무보수대표 등)

60세도달 상실

다른 공적 연금 가입

사망상실

노령연금

수급자취득

국적상실, 국외이주

236,458

232,096

2,862

1,317

71

61

35

16

2013

364

339

4

17

2

-

2

-

2014

451

419

9

18

 

1

4

-

2015

11,685

11,445

170

57

2

5

6

-

2016

60,767

59,796

629

299

18

12

10

3

2017

83,666

82,171

914

514

21

29

12

5

2018

79,525

77,926

1,136

412

28

14

1

8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상실일 기준

 

소득수준의 경우, 월 소득 100만원 미만이 96,923명으로 가장 많았고, 200만원 미만이 96,747명 순으로 나타났다. [4] 참조.

 

[4] 소득분위별 직권가입 현황

(단위 : )

구 분

가입자 수

100만원 미만

100만원 ~ 200만원 미만

200만원 ~ 300만원 미만

300만원 ~ 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252,667

96,923

96,747

37,906

12,931

8,160

2013

1,371

480

600

177

114

-

2014

1,744

817

642

151

102

32

2015

32,397

11,268

14,495

4,818

1,115

701

2016

67,426

26,748

25,891

9,854

3,201

1,732

2017

112,717

41,445

41,871

18,107

6,719

4,575

2018

37,012

16,165

13,248

4,799

1,680

1,120

자료 : 국민연금공단(2018.9), 자격취득일 기준

 

이에 대해 공단은 미가입자를 최대한 연금 제도권 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입유지기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일단 직권으로 가입시키고 있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특히, 최근에는 일용직 근로자의 직권가입 기준을 기존 한달 내 20일 이상 근무에서 8일로 단축시키면서도, 가입자격 판별기준에 최저 소득기준은 마련하지 않았다.

 

문제는 연금 수령이 가능한 최소가입기준이 10년에 달하는 점을 고려했을 때, 근로환경이 안정되지 않은 저소득층의 생활여건을 감안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강제 가입시켜 보험료 납부를 강요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장정숙 의원은 가입자의 여건에 대한 심도있는 고민없이 단순 근무일수만으로 대상을 선정해 직권가입시키는 것은 탁상행정의 전형이라고 지적하며, “직권가입 대상의 판별기준에 최저 소득기준과 가입유지 가능성 등이 고려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밝힘. 아울러 가입실적을 성과에 반영하여 무분별한 가입을 유도하는 공단의 잘못된 관행에 대해서도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서울시, 프리랜서와 의뢰인 간 안전한 거래 환경 조성 위해 <프리랜서 안심결제> 서비스 도입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프리랜서와 의뢰인 간 안전한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해 ‘프리랜서 안심결제’ 서비스를 공공기관 최초 도입, 4월 11일 금요일부터 본격 서비스한다고 전했다. 안심결제 서비스는 서울시 노동 종합 정보 플랫폼인 서울노동포털(seoullabor.or.kr)에서 회원가입 후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에 따른 수수료는 무료며, 의뢰인이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카드결제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이 프리랜서에게 지급된다. ‘프리랜서 안심결제’는 의뢰인이 결제한 작업 대금을 은행 등 결제 대금 예치 기관에 예치하고, 작업이 끝나면 프리랜서에게 대금을 지급하는 안전 결제 서비스다. 시는 이를 통해 대금 미지급, 작업 불이행 등 기존 프리랜서 거래에서 자주 발생하던 문제를 막고 공정하고 투명한 계약 문화를 확산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10월, 신한은행과 ‘프리랜서 에스크로 서비스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시스템을 공동 개발해 왔다. 이어 지난 2월에는 프리랜서와 의뢰인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열고 운영방식과 이용 방법을 안내했으며, 시범운영을 통해 시스템 안정성과 사용자 편의성도 검증했다. ‘프리랜서 안심결제’는 프리랜서뿐 아니라 발

정책

더보기
인니 녹색전환 지원사업을 발판으로 물관리‧보건위생 분야우리 기업 진출 확대 모색
[환경포커스=세종] 인도네시아에서 진행한 사업을 바탕으로 협력관계를 공고화하여 국내 녹색산업의 현지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드디어 현실로 다가왔다.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4월 9일부터 11일까지 인니는 환경보호, 물관리‧보건위생, 교통, 공공행정 분야 우리나라 중점협력국*인 인도네시아 현지에 녹색전환지원단(단장 이병화 차관)을 파견했다고 밝혔다. 지원단 파견은 그간 인도네시아에서 진행한 사업을 바탕으로 협력관계를 공고화하여 국내 녹색산업의 현지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병화 차관은 4월9일 자카르타에서 페브리안 알피얀토 루디야르(Febrian Alphyanto Ruddyard) 인니 국가개발기획부 차관과 만나, 인니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녹색전환을 위해 향후에도 다양한 기후․환경분야의 협력과 우리 녹색기업의 진출방안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인니 행정수도 예정지인 누산따라에 하루 1만톤을 4만 명에게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의 정수장을 건설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정수 수질인 탁도 0.5NTU 수준의 깨끗한 물을 공급할 예정으로 현지의 기대가 높은 상황이다. 아울러, 현지 진출 기업들은 4월 9일 자카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기념일> 맞아 올 한해 개최되는 다양한 광복 80주년 기념행사 일정 공개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4월 11 금요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기념일’을 맞아 올 한해 서울 곳곳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광복 80주년 기념행사 일정을 공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올해는 광복절 주간에 집중된 기념식 중심의 예년 행사에서 벗어나 광복을 기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1년 내내 개최하여 더 많은 시민과 함께 광복의 기쁨과 의미를 나누고자 한다. 시는 올해 총 22건의 특별행사를 기획·추진하여 순국선열의 희생과 애국정신을 되새기고 이를 미래 세대에 전한다. ▴국제문화교류 ▴문화유산 답사 ▴시민 참여 체험프로그램 ▴대규모 광복절 특별행사 등 문화예술 전 분야를 아우르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각 문화시설에서는 광복 80주년을 주제로 한 다양한 전시도 개최한다. 특히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한 해외문화교류 사업을 새롭게 추진하여, 대한민국의 자주독립 정신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지난 3월, 카자흐스탄 국립 아카데미 고려극장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린 <2025 서울시향 특별공연>에 이어 오는 8월에는 서울문화재단의 한국-카자흐스탄 합작 뮤지컬 ‘열차 37호’(8.14.~8.15.)를 대학로극장 쿼드에서 선보인다. 카자흐스탄은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