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종합뉴스

"달이 뜨는 강" 최유화, 고구려를 가지고 노는 미스터리 여인 변신 '신비한 분위기'

최유화 첫 스틸 공개, 묵직한 존재감 예고
최유화, 드라마 전개에 중요한 인물...강렬한 임팩트 기대

 

[환경포커스] '달이 뜨는 강' 최유화의 비밀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오는 2월 15일 첫 방송되는 KBS 2TV 새 월화드라마 '달이 뜨는 강'은 고구려가 삶의 전부였던 공주 평강(김소현 분)과 사랑을 역사로 만든 장군 온달(지수 분)의 운명에 굴하지 않은 순애보를 그린 퓨전 사극 로맨스다.

'달이 뜨는 강'은 다양한 연령과 신분의 인물이 등장하는 사극이다. 고구려의 공주인 평강부터 귀족, 평민까지 그 시대를 살아간 인간 군상의 이야기를 다루는 것. 그중에서도 베일에 꽁꽁 싸인 인물 해모용(최유화 분)의 이야기가 예비 시청자의 관심을 자극한다.

이런 가운데 오늘인 1월 27일 '달이 뜨는 강' 제작진이 해모용의 캐릭터를 엿볼 수 있는 스틸컷을 공개했다. 해모용이 풍기는 신비한 분위기가 사진을 가득 채우며 이목을 집중시킨다.

극중 해모용은 '고구려를 가지고 놀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사람들을 장기판 위의 말처럼 조종하는 여인이다. 그러나 그가 어떻게 사람들을 조종하는지, 또 고구려를 가지고 노는 이유는 무엇인지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공개된 사진 속 해모용의 모든 걸 꿰뚫어보는 듯한 강렬한 눈빛과 의중을 알 수 없는 표정이 이러한 그의 미스터리함을 완벽하게 담아내며 궁금증을 수직 상승시킨다.

또한 해모용의 의상이 시선을 강탈한다. 해모용은 고구려 최고 권력자 중 한 명인 해지월(정인겸 분)의 양녀로, 화려하고 고풍스러운 의복이 해씨 가문의 위엄을 보여준다. 이에 자신의 특별한 능력에 더해 양아버지의 권력까지 뒤에 업고 있는 해모용이 고구려를 어떻게 쥐락펴락할 것인지 기대를 더한다.

아직까지 해모용과 관련해서는 밝혀진 것이 많이 없다. 이와 관련 '달이 뜨는 강' 제작진은 "해모용이 간직한 비밀이 드라마 전개에 큰 영향을 미칠 예정이다. 이토록 중요한 역할인 만큼 제작진도, 최유화 배우 본인도 남다른 열정을 가지고 해모용 캐릭터를 만들어가고 있다. 해모용이 안방극장에 남길 강렬한 임팩트를 기대하며 '달이 뜨는 강' 본 방송을 기다려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KBS 2TV '달이 뜨는 강'은 오는 2월 15일 월요일 밤 9시 30분 첫 방송될 예정이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및 업무보고 실시
[환경포커스=국회]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위원장 한정애)는 4월 30일(수)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열어 법률안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할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에 대한 업무보고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후위기 특별위원회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대응기금 등을 효율적으로 심사하기 위하여 2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심사하는 탄소중립기본법 심사 소위원회는 10인으로 구성하고,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하는 배출권거래법 및 기후예산 심사 소위원회는 11인으로 구성하고, 국민의힘 임이자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업무보고에서는 ▲ 정의로운 전환과 지역·노동자 보호, ▲ 배출권 거래제의 실효성 제고, ▲ 2030 NDC 이행전략과 국제감축의 한계, ▲ 에너지 전환 전략과 재생에너지 목표 이행, ▲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기후적응 정책 마련, ▲ 적극적인 기후재정의 역할, ▲ 탄소중립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