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종합뉴스

"달이 뜨는 강" 김소현X지수 투샷 스틸컷 공개, 닿을 듯 말 듯 가까운 거리 '심쿵'

당황한 김소현X웃고 있는 지수, 극과 극 표정 대비 '눈길'
"김소현X지수, 두 청춘 배우가 만드는 놀라운 케미...관심 부탁"

 

[환경포커스] '달이 뜨는 강' 김소현과 지수, 두 청춘의 만남에 가슴이 설렌다.

지난 1월 22일 KBS 2TV 새 월화드라마 '달이 뜨는 강' 측이 평강(김소현 분)과 온달(지수 분)의 새로운 투샷을 공개했다. 함께 있는 것만으로 보는 이들을 심쿵하게 하는 두 사람의 만남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달이 뜨는 강'은 고구려가 삶의 전부였던 공주 평강(김소현 분)과 사랑을 역사로 만든 장군 온달(지수 분)의 운명에 굴하지 않은 순애보를 그린 퓨전 사극 로맨스. 고구려를 뒤흔든 두 청춘의 사랑이 어떻게 그려질지 뜨거운 관심을 받는 중이다.

이런 가운데 공개된 새로운 스틸컷에서는 평강과 온달의 사고 같은 만남이 담겨 있다. 먼저 당황한 듯한 표정의 평강이 눈길을 끈다. 반면 장난기 가득한 얼굴로 미소를 짓고 있는 온달의 표정이 대비를 이루며 두 사람의 만남에 어떤 일이 있었던 건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이어 무슨 일인지 평강이 온달 위로 넘어진 모습이 보인다. 순간 가까워진 평강과 온달의 거리, 그리고 그런 평강을 바라보는 온달의 눈빛이 보는 이들까지 심쿵하게 한다. 과연 개개인으로는 너무나 달라 보이는 두 사람은 어떻게 엮이게 되는 것일까. 어떤 일이 있었기에 평강이 온달 위로 넘어진 것일까. 또 이 사건은 두 사람의 앞으로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수많은 궁금증을 자아내는 스틸컷이 '달이 뜨는 강' 본 방송을 더욱 기다려지게 한다.

이와 관련 '달이 뜨는 강' 측은 "김소현과 지수가 고구려의 평강과 온달이 그대로 부활한 것 같은 모습으로 놀라운 케미를 선보이고 있다. 두 청춘 배우가 만들어내는 완벽한 어울림이 현장 스태프들의 마음까지 설레게 한다"며 "앞으로 두 배우가 수많은 사건들로 엮여갈 평강과 온달의 사랑을 어떻게 그려갈지 기대하며 지켜봐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김소현과 지수, 두 청춘 배우가 그려갈 평강과 온달의 뜨거운 사랑은 오는 2월 15일 월요일 밤 9시 30분 첫 방송되는 KBS 2TV 새 월화드라마 '달이 뜨는 강'에서 만나볼 수 있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및 업무보고 실시
[환경포커스=국회]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위원장 한정애)는 4월 30일(수)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열어 법률안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할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에 대한 업무보고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후위기 특별위원회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대응기금 등을 효율적으로 심사하기 위하여 2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심사하는 탄소중립기본법 심사 소위원회는 10인으로 구성하고,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하는 배출권거래법 및 기후예산 심사 소위원회는 11인으로 구성하고, 국민의힘 임이자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업무보고에서는 ▲ 정의로운 전환과 지역·노동자 보호, ▲ 배출권 거래제의 실효성 제고, ▲ 2030 NDC 이행전략과 국제감축의 한계, ▲ 에너지 전환 전략과 재생에너지 목표 이행, ▲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기후적응 정책 마련, ▲ 적극적인 기후재정의 역할, ▲ 탄소중립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