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행사/동정

극단 돌파구, ‘XXL레오타드 안나수이 손거울’ 오는 2월 6일~9일 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서 개최

‘부모의 세계에 갇힌 아이들’
과도한 경쟁에 내몰린 아이들이 끝자락에서 마주하는 ‘우정’

[환경포커스] 극단 돌파구는 2020년 첫 작품으로 그동안 많은 관심을 받아온 작품 ‘XXL레오타드 안나수이 손거울’을 선보인다.

이 작품은 2015년 ASAC B성년 페스티벌에서 초연작으로 선보이며 10대들의 삶에 위로를 던져주며, 과도한 경쟁에 내몰린 청소년들이 끝자락에서 마주하는 우정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창신동’, ‘날숨의 시간’ 등을 쓴 박찬규 작가와 ‘목란언니’, ‘나는 살인자입니다’, ‘날아가 버린 새’ 등의 전인철 연출이 만나 특별한 청소년이야기를 보여주며 어떤 상황에서든 불평 없이 어른들을 따라야 하는 청소년들의 일상과 고민을 깊이 있게 다룬 작품으로 오는 2월 6일부터 9일까지 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에서 만날 수 있다.

극단 돌파구는 청소년 시기는 성인이 되는 누구나 거친 과도기적 시기가 아닌 그들의 삶 자체로 가치가 있으며 중요한 시기, 이 시기에 맺힌 무언가는 평생을 따라다니는 것으로 지나며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런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청소년기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이 사회에서 살아내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미성년과 비성년 그 사이에 존재하는 한 대등한 인간으로 존재하는 청소년의 이야기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XXL레오타드 안나수이 손거울’은 부모의 계급의 차이, 취향의 차이, 성적의 차이 등을 작품 속 청소년들의 취향과 성향과 엮어 차별과 배제의 시선이 또래집단에게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보여지는 청소년들의 대립과 결핍의 모습을 통해 세상과 만나는 인간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이 작품은 ‘고민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연극’, ‘무대 위에서 전하는 실제 성장드라마’, ‘어른들이 꼭 봐야 할 청소년 이야기’ 등의 평가를 받으며 서울, 안산에 이어 대전 등의 무대에 올라 관객 공감형 작품으로 평단과 관객들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청소년 세대/기성 세대 구분하는 이분법적인 이야기가 아닌 애벌레가 성충이 되듯, 나이가 아닌 변화 자체가 중요하고 가치 있는 시기로써의 청소년의 삶을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극단 돌파구만의 청소년극의 정의를 내려보고자 한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및 업무보고 실시
[환경포커스=국회]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위원장 한정애)는 4월 30일(수)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열어 법률안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할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에 대한 업무보고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후위기 특별위원회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대응기금 등을 효율적으로 심사하기 위하여 2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심사하는 탄소중립기본법 심사 소위원회는 10인으로 구성하고,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하는 배출권거래법 및 기후예산 심사 소위원회는 11인으로 구성하고, 국민의힘 임이자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업무보고에서는 ▲ 정의로운 전환과 지역·노동자 보호, ▲ 배출권 거래제의 실효성 제고, ▲ 2030 NDC 이행전략과 국제감축의 한계, ▲ 에너지 전환 전략과 재생에너지 목표 이행, ▲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기후적응 정책 마련, ▲ 적극적인 기후재정의 역할, ▲ 탄소중립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