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행사/동정

로맨스 웹소설 작가를 위한 문피아 아카데미 로맨스 클래스 2기 모집

현직 로맨스 작가 강사진과 수강료 무료 혜택 관심

[환경포커스] 웹소설 연재 플랫폼 문피아가 로맨스 웹소설 작가를 꿈꾸는 예비 작가들을 위해 지난 1월 20일부터 오는 2월 2일까지 문피아 아카데미 로맨스 클래스 2기 수강생을 모집한다.

지난해 개강한 로맨스 클래스 1기의 높은 관심에 힘입어 올해 2기를 모집하게 된 것. 1기 모집 당시 많은 수강 신청자들이 몰리면서 치열한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최근 웹소설 시장이 성장하면서 관련 웹소설 아카데미가 늘어나는 가운데 이름있는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아카데미라는 점과 차별화된 강사진과 커리큘럼, 프로 작가 데뷔 시스템이 장점으로 꼽히며 문피아 아카데미의 클래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에 모집하는 로맨스 클래스 2기는 프로 작가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클래스로 처음 웹소설을 접하는 예비 작가부터 이미 연재 및 출간 경험이 있는 신인 작가들을 위한 클래스다.

특히 로맨스 클래스 2기는 현직 로맨스 웹소설 작가들이 강사진으로 나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금강 작가, 박수정 작가, 양효진 작가, 정연주 작가, 제리안 작가 등 내로라하는 웹소설 작가들이 강의하면서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생한 집필 노하우를 전한다. 강의뿐 만 아니라 현직 작가에게 직접 웹소설에 대한 궁금증을 물어볼 수 있는 Q&A 시간도 구성된다.

또한 문피아 아카데미만의 장점인 1:1 피드백 시스템도 눈길을 끈다. 로맨스 전문 PD가 수강생의 시놉시스부터 작품까지 1:1로 피드백해 줌으로써 혼자서 글쓰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예비 작가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여기에 로맨스 클래스를 성실하게 이행하는 수강생일 경우 계약, 작가 데뷔까지 지원하는 프로 작가 데뷔 시스템을 마련, 프로 작가 데뷔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커리큘럼은 총 8주로 구성되며 로맨스 웹소설 장르 개론부터 장르별 구성법, 시놉시스 작성법, 작법, 프로 작가가 갖춰야 할 요소 등 예비 작가라면 꼭 알아야 하는 차별화된 강의 내용을 구성했다.

로맨스 클래스 2기 모집 기간은 지난 1월 20일부터 오는 2월 2일까지며 문피아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 가능하다. 수강 신청은 문피아 아카데미 수강신청 양식과 창작한 웹소설 1만 자, 시놉시스를 첨부하면 되며 내부 심사를 거쳐 최종 수강생을 발표한다. 2기 개강은 오는 2월 15일이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우원식 의장, 몽골 후렐수흐 대통령·아마르바야스갈랑 국회의장 연쇄 면담
[환경포커스=국회] 우원식 국회의장은 28일(현지시각)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오흐나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 다쉬젝베 아마르바야스갈랑 국회의장을 연달아 만나 양국 간 경제·인프라 협력을 도모하고 기후위기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대한민국 국회의장의 몽골 공식방문은 2013년 이후 12년 만이다. 이날 오전 수흐바타르 광장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을 마친 우 의장은 정부청사에서 후렐수흐 대통령을 만나 공급망, 교통·인프라 등 경제 분야와 인적교류 분야 등에서의 양국 간 실질적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양국은 1990년 수교 이래 지난 35년간 언어문화적 유사성 등 깊은 유대의 역사뿐만 아니라 민주주의, 인권, 시장경제 등 가치를 공유하면서 우호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며 양국 관계를 평가하고, "앞으로도 한-몽간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한 경제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2024년 양국 교역량이 역대 최고치인 6억2천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수교 당시 271만불에 비해 약 230배가 성장했다"며 양국 교역량의 꾸준한 증가를 평가하고,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글로벌 경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