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행사/동정

호텔 서울드래곤시티, 입맛·취향 따라 먹캉스 즐길 수 있는 ‘유어 테이스트’ 패키지 출시

객실부터 F&B까지… 내 취향대로 선택해 즐길 수 있는 패키지 선보여
오는 6월 30일까지 서울드래곤시티의 4개 호텔과 뷔페부터 정통 프렌치 레스토랑까지 총 7개 레스토랑에서 사용 가능한 3만원권 바우처 제공

[환경포커스] 신개념 라이프스타일 호텔플렉스 서울드래곤시티가 신년 첫 프로모션으로 여유로운 호캉스에 맛있는 음식이 더해진 ‘먹캉스’를 취향대로 골라 즐길 수 있는 ‘유어 테이스트’ 패키지를 선보인다.

‘유어 테이스트’ 패키지는 자신을 위해 가치 있는 소비를 추구하는 미코노미 트렌드에 발맞춰 호텔에서 고품격 휴식을 나만의 스타일대로 즐기려는 고객들을 위해 객실 1박과 식음료 바우처, 아메리카노 교환권, 부대시설 이용 혜택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식음료 바우처는 서울드래곤시티 내 식음료 매장 푸드 익스체인지, 인 스타일, 알라메종 와인&다인, 알라메종 델리, 메가 바이트, THE 26, 더 리본에서 고객의 입맛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메가 바이트에서 아메리카노 2잔을 즐길 수 있는 음료 교환권을 제공하며 호텔 및 객실 타입에 따라 피트니스, 사우나, 수영장 등의 부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오는 6월 30일까지 진행하는 ‘유어 테이스트’ 패키지는 럭셔리부터 스타일리시까지 본인의 취향에 맞춰 서울드래곤시티의 4개 호텔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호텔 앤 레지던스 서울 용산 20만5000원부터 노보텔 스위트 앰배서더 서울 용산 19만5000원부터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용산 16만원부터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용산 11만5000원부터 이용 가능하다.

호텔 서울드래곤시티는 하이엔드 브랜드인 그랜드 머큐어부터 합리적인 가격에 모던한 인테리어가 돋보이는 이비스 스타일까지 서울드래곤시티가 보유한 4개 브랜드 호텔과 7개 식음료 매장을 기반으로 다양한 취향의 고객들이 호캉스부터 먹캉스까지 두루 즐길 수 있도록 이번 패키지를 준비했다며 새해 나를 위한 특별한 선물로 내 취향에 딱 맞춘 호캉스와 먹캉스로 행복하고 맛있는 휴식을 즐기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유어 테이스트’ 패키지 예약 및 더욱 자세한 사항은 호텔 서울드래곤시티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및 업무보고 실시
[환경포커스=국회]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위원장 한정애)는 4월 30일(수)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열어 법률안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할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에 대한 업무보고를 실시하였다. 먼저, 기후위기 특별위원회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대응기금 등을 효율적으로 심사하기 위하여 2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심사하는 탄소중립기본법 심사 소위원회는 10인으로 구성하고,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후예산 등을 심사하는 배출권거래법 및 기후예산 심사 소위원회는 11인으로 구성하고, 국민의힘 임이자 간사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업무보고에서는 ▲ 정의로운 전환과 지역·노동자 보호, ▲ 배출권 거래제의 실효성 제고, ▲ 2030 NDC 이행전략과 국제감축의 한계, ▲ 에너지 전환 전략과 재생에너지 목표 이행, ▲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기후적응 정책 마련, ▲ 적극적인 기후재정의 역할, ▲ 탄소중립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