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6℃
  • 맑음강릉 9.6℃
  • 맑음서울 5.9℃
  • 박무대전 3.7℃
  • 박무대구 5.8℃
  • 맑음울산 9.8℃
  • 맑음광주 8.1℃
  • 맑음부산 11.9℃
  • 맑음고창 4.4℃
  • 구름조금제주 13.6℃
  • 맑음강화 5.1℃
  • 맑음보은 1.1℃
  • 맑음금산 2.1℃
  • 맑음강진군 10.0℃
  • 맑음경주시 4.5℃
  • 맑음거제 7.4℃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올 해 국내 입국한 탈북민 전년 동기 대비 9.7% 감소

 

[환경포커스=국회] 한 때 연간 3천명선에 달하던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은 올 들어 김정은 체제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다음 해인 2012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해 올 해 8월말 기준에는 전년 동기(779) 대비 9.7%가 줄어든 703명이 입국한 것이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박병석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서갑·5)30일 통일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탈북민 감소 추세는 국경지역의 통제 강화, 중국 당국의 강제 북송, 그리고 브로커 비용이 전년 대비 약 40% 정도 오른 탓으로 보인다.

 

한편, 1996년 이후 올 8월까지 한국에 입국한 전체 32,042명의 탈북민 출신지역을 보면 함북 (19145, 60.7%), 양강도 (5061, 16%), 함남 (2775, 8.8%)으로 중국 접경지역 출신이 85% (26981)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박병석 의원은중국 체포 시 강제 북송, 접경지역 단속 강화, 브로커 비용 상승 등의 이유로 탈북민 수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인다며 이는 중국 접경지역 북한 주민들이 타 지역 주민보다 월등히 많은 것은 탈북하기가 쉽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북한이탈주민 연도 및 성별 입국현황]

(단위 : )

 

~’98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8

(잠정)

831

565

510

474

626

424

515

573

608

662

591

795

404

369

305

251

302

188

96

9,089

116

478

632

811

1,272

960

1,513

1,981

2,195

2,252

1,811

1,911

1,098

1,145

1,092

1,024

1,116

939

607

22,953

947

1,043

1,142

1,285

1,898

1,384

2,028

2,554

2,803

2,914

2,402

2,706

1,502

1,514

1,397

1,275

1,418

1,127

703

32,042

(자료출처 : 통일부)

 

 

[재북 출신지역별]

(’18.8월말 기준)

구분

강원

남 포

양강

자강

평남

평북

평양

함남

함북

황남

황북

개성

기타

(재외 등)

219

68

1,334

67

441

365

412

763

4,787

265

177

45

85

9,028

374

81

3,727

153

622

478

317

2,012

14,358

189

268

30

93

22,702

합계

593

149

5,061

220

1,063

843

729

2,775

19,145

454

445

75

178

31,730

비율

1.9%

0.5%

16.0%

0.7%

3.4%

2.7%

2.3%

8.8%

60.7%

1.4%

1.4%

0.2%

0.5%

100.5%

*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에 수용중인 일부인원은 제외된 수치 (자료출처 : 통일부)

 

[재북 직업별]

(’18.8월말 기준)

구 분

관리직

군인

노동자

무직

부양

봉사

분야

예술

체육

전문직

아동, 학생 등

402

673

3,952

3,158

82

79

209

473

9,028

132

118

8,357

11,587

1,262

199

492

555

22,702

합계

534

791

12,309

14,745

1,344

278

701

1,028

31,730

비율

1.7%

2.5%

38.8%

46.5%

4.2%

0.9%

2.2%

3.2%

100%

*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에 수용중인 일부인원 제외 (자료출처 : 통일부)

 


환경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자연자본공시 이행기반 마련과 역량 제고를 위한 논의 본격화
[환경포커스=수도권] 기후에너지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11월 10일 오후 2시부터 대한상공회의소(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국내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역량 강화를 위한 ‘제1차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연자본공시’는 기업이 자연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평가 분석하여 투자자, 시민사회 등에 공개하는 제도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생태계서비스 손실이 경제와 금융 안정성은 물론 인류의 삶 전반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아래 기업이 자연자본의 가치와 의존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1년 6월 설립된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NFD)’는 국제사회의 자연자본공시 체계를 주도하고 있으며, 기후공시에 이어 자연자본공시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체계에 새로운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업의 자연자본공시 확산과 참여 확대, 이해관계자 대상 전문성 강화, 국제사회와의 연대강화를 위해 지난 3월 한국 자연자본공시 지원연합을 결성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운영을 맡고 있으며, 현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 위해 <수도계량기 동파대책> 본격 시행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는 겨울철 한파로 인한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을 위해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수도계량기 동파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전했다. 지난 겨울, 동파 발생을 전년 대비 33% 줄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보온 강화’와 ‘시민 참여’ 두 축으로 이중 예방체계를 구축해 동파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시는 지난 겨울 발생한 수도계량기 동파 2,046건 중 97%가 보온 미비나 장기 부재 가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올해 △동파 취약지역 8,300곳의 계량기함 보온덮개 두께를 8mm로 두껍게 보강하고, △동파에 강한 디지털계량기 1만개를 확보하는 등 맞춤형 보온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보온성능이 우수하나 분리배출이 불가한 발포형(PE) 보온덮개를 대체하기 위해 분리배출이 가능하며 가격 경쟁력이 높은 에어캡형(8mm) 보온덮개 8,300개를 시험 설치하여 보온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디지털계량기는 계량기 지시부에 물이 차지 않아 일반 계량기에 비해 동파발생률이 낮은 계량기로 동파가 발생하였거나 취약지역에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 등 수도계량기 동파 취약지역에는 수도계량기함 보온재와 보온덮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