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호지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국립공원관리공단은 유엔환경계획(UNEP) WCMC와 공동으로 세계 각지의 보호지역 및 생물다양성에 관한 정보를 구축·분석하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양 기관은 공동으로 세계보호지역 데이터베이스를 확장·강화하고 정보 분석기법을 공유하기로 했다. 또한, 우리나라 비무장지대(DMZ) 일원의 보호지역 지정과 소속 직원의 역량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활동을 추진하게 된다. 특히 2012년 제주에서 개최되는 세계자연보전총회(WCC)와 관련해 ‘DMZ 보전전략’ 등 우리나라 보호지역에 관한 발의안을 공동 검토함으로써 발의안 채택에 힘을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공단은 UNEP-WCMC와 함께 전 세계 보호지역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자료의 질적 향상과 국제회의 개최 협력 등
“환경 실무교육 이제 인터넷으로 공부한다” 국립환경인력개발원(원장 심무경)은 배출업소 지도점검 및 인허가 실무 등 콘텐츠를 개발해 11월부터 온라인(http://eed.coti.go.kr, http://ehrd.ecoedu.go.kr)으로 서비스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콘텐츠는 배출업소 환경관리 공무원의 전문성을 강화를 위해 환경기초시설 운영관리, 배출업소 지도·점검 및 인·허가 실무, 자연 및 생물보호 국제협약 등 3가지로 구성됐다. 이 3가지 콘텐츠는 그동안 공무원 및 기존 수강생들의 희망 분야 설문 결과 등을 반영해 결정했다. 이 온라인 서비스 개설로 인해 그동안 참여공무원과 강사들이 교육 출장 등으로 인한 업무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됐다. 국립환경인력개발원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구축해 중
우리나라에서 철새 이동경로에 대해 세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환경부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사무국’과 함께 세계에서 처음으로 10월 17∼20일간 서산시 한서대학교에서 ‘세계 철새이동경로 워크숍(Global Waterbird Flyways Workshop)’을 개최한다고 밝혔다.‘EAAFP’는 2006년 대한민국 환경부와 인천광역시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 상의 철새 및 그 서식지 보전을 위해 설립된 파트너십으로 한국과 중국, 일본, 호주 등 동아시아-대양주에 위치한 14개국 정부, 람사르 협약(Ramsar Convention) 등과 같은 국제기구 3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 비정부기구 12개가 참여하고 있다.이번 워크숍은 작년 2월 열린 제4차 EAAFP 파트너십 총회의 제안으로 열리게 됐으며, 9개 철새이동경로상 정부 대표, 람사르 협약
상수도관로연구회(회장 이현동)가 지난 9월 8일 한국상하수도협회 회의실에서 제121회 모임을 가졌다. 9월 모임에서는 인천대학교 임베디드시스템공학과 이영섭 교수의 '탄성파 기술을 이요한 지하매설상수도배관 누수탐지 시스템의 원리 및 기술 동향' 주제발표가 있었다. 월간 환경포커스 10월호
환경부는 상수원지역과 오염우심지역 내에 있는 가축분뇨 배출사업장 및 해양배출농가 등 가축분뇨배출시설에 대해 지난 9월 22일부터 오는 11월 21일까지 2달간 특별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월간 환경포커스 10월호
환경부는 멸종 위기종의 서식지를 위협하고 산림을 훼손하면서 건설되는 골프장을 사전에 차단하고 '친환경골프장'의 건설과 운영을 유도하기 위해 '골프장 난개발 방지 및 친환경 골프장 조성대책'을 발표했다. 월간 환경포커스 10월호
지난 9월 26일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권센터에서는 신응배 한양대학교 교수와 남궁 은 명지대 교수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하수관거 변형률 기준 마련'에 대한 공청회가 열렸다. 월간 환경포커스 10월호
환경부는 수돗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소비자가 다양한 먹는 물을 선택할 수 잇도록 먹는 물 수질기준을 개선한다고 밝혔다. 월간 환경포커스 10월호
환경부가 2010년에 지질특성상 자연방사성 함량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국의 화강암계통 지역을 우선 조사대상으로, 전국 104개 시군구 314개 마을상수도 원수 등에 대해 자연방사성물질(우라늄, 라돈 등)의 함유실태를 조사했다. 월간 환경포커스 9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