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4개 검사 제품 중 123개(99%) 제품에서 중금속 검출
- 11.3%는 환경호르몬(프탈레이트) 법정 기준치 초과, 기준의 최대 348배까지 검출
민주통합당 홍영표(인천 부평을, 환경노동위원회)의원은 2011년 국립환경과학원이 실시한 「어린이용품 함유 환경유해인자 노출 실태조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 용품(완구류, 의류/가방류, 문구/도서류 등) 124개 제품 중 123개(99%)에서 납, 니켈, 카드뮴 등 인체 전이가 가능한 중금속이 검출되었으며, 14개(11,3%)제품에서는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고 주장했다.
또 124개 제품 중 14개 제품(전체 대비 11.3%)에서는 남자아이들의 여성화, 여자아이들의 성조숙증을 유발하는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 프탈레이트가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 관리법」상의 기준치(총 함유량 0.1%이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산 유아용 신발에서는 기준치의 348배인 34.8%까지 검출되었다.
아울러 제품군 별 검출된 유해물질(중금속, 환경호르몬) 중에서 각 물질이 얼마나 많은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기여도)를 보면 장난감, 목걸이, 놀이용 매트, 유아용 신발의 경우 아연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으며, 반지의 경우는 니켈이, 지우개와 스티커북의 경우 프탈레이트가, 그림책의 경우 바륨의 기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국립환경과학원은 2007년 이후 매년 어린이 용품의 유해물질을 조사해왔으며, 중금속의 검출 또한 계속 보고되어 왔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어린이 용품에서 중금속 및 환경호르몬이 검출되고 있다.
이에 홍영표 의원은 “최근 절반이 넘는 어린이 놀이터 시설에서 중금속 함유량이 기준을 초과하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고, 어린이 용품에서는 인체 전이가 가능한 중금속과 환경호르몬까지 검출되고 있어 어린이들의 건강이 우려되고 있다.” 며 “어린이들은 소량의 유해물질에도 민감한 만큼 환경부를 비롯한 관계 기관에서는 어린이 실외놀이터, 어린이 용품 등 어린이 주변 환경과 제품에 대해 좀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