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네이버블로그로 이동

전국

서울시, 노숙인·쪽방촌의 따듯한 겨울나기를 위한 <겨울철 취약계층 특별 보호 대책> 종료

15일(토), 4개월 간의 노숙인‧쪽방촌 겨울 보호대책 종료… 시민‧민간단체 등 협력
노숙인 현장상담 6만9천 건… 응급잠자리 이송‧시설 입소 등 도와, 129명 집중관리
민간단체, 거리상담‧핫팩 나눔 등 참여… 시민들 ‘위기대응콜’로 노숙인 보호 힘 보태
‘쪽방촌’ 화재안전 점검‧전기시설 보수‧동행목욕탕 등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나기 지원

 

[환경포커스=서울] 서울시가 지난해 11월 15일 금요일 시작된 ‘겨울철 취약계층 특별 보호 대책’을 15일 토요일 종료했다고 전했다.

 

4개월 동안 거리 상담 총 6만8천 건, 쪽방 1,155곳에 전기이상감지 IoT센터 설치, 고령․중증질환자 147명 관리가 이뤄졌으며 동행목욕탕은 5,189명이 이용했다.

 

먼저 특별 대책 기간 중 자치구․노숙인 시설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상담반 53개 조 108명이 거리에서 현장 상담을 제공했다. 총 6만 8,912건 중 ▴응급 잠자리 이송 보호(5,149건)가 가장 많았으며 ▴시설 입소(117건) ▴병원 입원(109건) ▴119 신고(38건) 등 응급조치를 진행했다.

 

특히 한파특보 시에는 인원을 보다 늘려(59개 조 124명) 노숙인이 자주 발견되는 지역을 돌며 안전한 시설로 안내하거나 방한 물품을 지급했으며, 현장점검반(1일 3개조 7명)을 구성해 거리 상담활동을 함께하며 대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노숙인 응급 잠자리는 하루 평균 389명이 이용했으며, 무료 급식은 1,560명이 이용했다. 시가 제공하는 응급잠자리 이용을 원치 않는 거리 노숙인에게는 침낭 268개, 의류 18,329벌, 핫팩 97,724개 등 총 20만6,041개의 방한용품을 지급했다.

 

그 밖에 고령자, 중증질환자 등 한파 피해 우려가 있는 거리 노숙인 129명은 ‘집중관리대상자’로 분류해 상담원이 노숙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 등 집중 관리를 펼쳤다. 또 어려움에 처한 노숙인 특성에 맞는 의료 및 주거․행정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왔다.

 

집중관리대상자에게도 병원 연계(46건), 응급 잠자리(623건), 귀가 조치(4건), 임시주거 지원(4건), 구호물품 지급(12,996건) 등을 지원했다.

 

특히 민간 단체도 거리 상담에 참여해 노숙인의 겨울을 보살폈다. 오래전부터 노숙인을 위해 활동해 온 봉사단체 ‘거리의천사들’과 ‘달팽이소원’은 매일 서울특별시립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강남권(송파구, 강동구, 강남구, 서초구) 거리 상담 활동에 함께했다.

 

서울에 사는 외국인으로 구성된 봉사단체 ‘플러’(PLUR-Peace, Love, Unity, Respect)는 매주 일요일 서울역 일대를 돌며 노숙인에게 회원 후원금으로 구입한 핫팩, 간식 등을 나눠주며 봉사활동을 펼쳤다.

 

플러는 2007년부터 서울역에서 노숙인 대상 봉사활동을 펼쳐왔으며, 회원 중 60~70%가 미국, 프랑스, 브라질, 케냐 등에서 온 외국인 직장인, 학생 등 다양한 이들이 모여 활동하고 있다.

 

일반시민 또한 서울시 노숙인 위기대응콜(☎1600-9582)를 통해 노숙인 보호에 힘을 보탰다. 대책 기간 동안 총 1,139건의 위기대응콜 신고가 접수됐고 ▴현장 출동 257건 ▴시설보호 225건을 조치하고 그밖의 신고에 대해서는 관련 정보제공 등 상담을 제공했다.

 

서울시 노숙인 위기대응콜은 위기 상황에 놓인 노숙인을 발견한 시민 또는 노숙인 당사자가 전화하면 시설 상담원이 현장에 나가 지원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긴급 전화다.

 

아울러 전국재해구호협회는 노숙인, 쪽방 주민을 위해 핫팩․방한 장갑․양말․겨울 이불․마스크 등 방한 및 방역물품으로 구성된 10만 원 상당 구호키트 1,840개를 제작해 배포했다.

 

쪽방 주민의 따뜻한 겨울을 위해서도 다양한 지원이 이뤄졌다. 시는 지난해 9~10월, 화재 위험이 높은 쪽방촌 648개소를 대상으로 선제적으로 안전점검을 진행했으며, 노후하거나 불량으로 확인된 전기․가스 시설물 176개는 겨울이 오기 전 개보수 완료했다.

 

또 돈의동 쪽방촌에는 스마트 전기화재 예방시스템 시범사업을 추진해 지난해 12월 쪽방별 분전반에 24시간 실시간 누설전류, 과전류, 과부하 등 전기 이상신호를 감지해 쪽방상담소와 주민에게 경고를 전달해 주는 ‘전기이상감지 IoT센터’ 1,155개를 설치했다.

 

시는 한파, 야간 화재 사고 등 예방을 위해 주간(918회)과 야간(1,010회)에 매일 순찰했으며 쪽방 주민 중 고령 또는 중증질환자 147명은 별도로 관리, 간호사가 총 13,631회 가정 방문해 건강 상태를 수시로 살피고, 치료가 필요한 주민 410명은 병원 연계했다.

 

난방시설이 열악한 쪽방 주민을 위해 동행목욕탕(총 8개소) 중 5곳에서 운영된 ‘야간 밤추위대피소(21시~익일 6시)’는 지난 4개월간 5,198명에게 따뜻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했다.

 

김미경 서울시 자활지원과장은 “올겨울 시민과 여러 단체, 유관 기관의 도움으로 노숙인․쪽방 주민이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었다”며 “올해도 노숙인의 자립과 쪽방 주민의 쾌적한 생활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 따뜻하고 매력 있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뉴스

더보기
부산시, <현수막 없는 청정 거리> 운영해 연중 쾌적한 도시경관 유지하고 아름다운 도시 이미지 조성
[환경포커스=부산] 부산시는 주요 관광지, 교차로, 관문 지역을 대상으로 '현수막 없는 청정 거리'를 운영해 연중 쾌적한 도시경관을 유지하고, 아름다운 도시 이미지를 조성한다고 전했다. 시는 광안리 해수욕장 해변도로 1.5킬로미터(km) 구간을 시범 구역으로 지정해 9월 1일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오는 9월 말까지 16개 구·군에도 자율적으로 청정 거리를 지정·운영하도록 요청했다. 지정 대상은 ▲해운대·송도·다대포 등 해수욕장 ▲부산역, 구서나들목(IC), 김해공항 입구 등 관문 지역 ▲서면·연산·수영·덕천·문현·미남 등 주요 교차로다. 청정거리로 지정된 구간에는 정당과 관련 기관의 협조를 얻어 공공기관 현수막을 포함해 모든 현수막의 설치를 금지하고, 하루 두 차례 이상 정기 순찰을 통해 상시 단속·정비·철거가 이뤄진다. 한편, 운영이 우수한 지방자치단체에는 ▲전자 현수막 게시대 우선 설치 ▲업무평가 가점 ▲포상 ▲시 지원사업 우선 선정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시는 이번 조치를 통해 연중 깨끗한 도시경관을 유지하고, 공공기관 현수막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공정한 원칙 확립과 건전한 옥외광고 문화 조성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고미진 시 미래디자인본

정책

더보기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제4차 국가 기후위기 대응대책 '
[환경포커스=국회] 환경부가 8일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보고한 '제4차 국가 기후위기 대응대책(2026~2030)'은 홍수·가뭄 등 기후재난에 ‘신속 대응·선제 대비’하는 물관리 체계 혁신에 방점을 찍었다. 기후위기가 일상화되면서 국민 안전과 물안보를 지키기 위한 국가 인프라 전환이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홍수 대응에서는 AI 기반 홍수 예보지점을 2030년까지 270개소로 확대하고, 지능형 CCTV·실시간 강우 예측을 활용해 돌발 홍수에 선제 대응한다. 아울러 댐 유역별 가능최대강수량(PMP) 재산정과 하천·하수도 설계기준 강화를 통해, “200년 빈도 이상 재해에도 견딜 수 있는” 방재 수준을 마련한다. 가뭄에는 지하수저류댐을 섬·내륙 8개소로 확대하고, 농업용 저수지·발전용 댐을 연계해 물부족 지역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한다. 특히 가뭄이 장기화될 경우 가장 먼저 위협받는 먹는물(수돗물) 확보를 위해, 정부는 다목적댐과 지방상수도 간 비상연계 체계를 강화하고 취수원 다변화·고도정수처리 시설 확충을 추진한다. 정부는 ‘국가 통합물관리 플랫폼(물모아)’을 통해 37개 다목적댐 수위 정보를 우선 공개하고, 향후 발전용댐·농업용저수지까지 확대해 국민과 지자

종합뉴스

더보기
서울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오송시험선 구간에서 위례선(트램) 초도 편성 <예비주행시험> 돌입
[환경포커스=서울] 58년 만에 서울을 다시 달리게 될 트램(노면전차) 위례선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낸다. 서울시는 내년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9월 초부터 약 한 달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오송시험선 구간에서 위례선(트램) 초도 편성에 대한 ‘예비주행시험’에 들어간다고 전했다. 위례선 트램은 전국 최초 무가선 노면전차로, 마천역(5호선)에서 출발해 복정역(8호선‧수인분당선)과 남위례역(8호선)을 연결한다. 총 연장 5.4㎞로 정거장 12개소, 차량기지 1개소를 만들고 전동차 10편성을 투입한다. 이번에 진행하는 ‘예비주행시험’은 위례신도시의 교통난 해소와 대중교통 편의성과 안전 확인을 위한 위례선 트램사업의 핵심 관문으로 시험기간 동안 총 5,000㎞ 이상을 주행하게 된다. 시험 중 ▴가속‧제동 ▴곡선 주행능력 ▴통신·신호시스템 연동 ▴승차감 ▴소음·진동 등을 종합 점검해 차량 성능과 안전성을 철저하게 검증, 시민들이 안심하고 트램을 이용하도록 한다는 목표다. 특히 노면전차는 도로를 공유해 운행하는 특성상, 위례선 전 구간에 13개 교차로와 35개소의 횡단보도가 설치되므로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한 정교한 시스템 점검이 필수적이다. 시는 예비주행시험 기간 동안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