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역사 라돈 농도 세계보건기구 기준 초과

  • 등록 2018.10.13 16:26:56
크게보기

[국정감사=국회] 서울시 지하철 역사 라돈 농도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지난 6년간(2013년부터 2018) ‘지하역사 라돈 조사결과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지하역사 라돈농도가 WHO 기준인 100Bq/ 을 초과하는 곳이 매해 꾸준히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시 지하철 역사 중 일부는 라돈농도가 WHO 기준의 2배가 넘는 경우도 발견됐다.


신용현 의원은 라돈침대 사태 등 생활용품 라돈에 대한 국민 공포가 높아지는데, 시민들이 매일 이용하는 서울 지하철 라돈 농도까지 높은 수준이다, “지하역사는 라돈 가스를 환기시키기 어려운 시설이기 때문에 일반 다중이용시설보다 더욱 철저한 라돈 관리가 필요한데도 서울시가 라돈 농도 관리에 소홀한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신용현 의원이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받은 지하역사 라돈 조사결과에 따르면, WHO실내 라돈 농도 기준치(100Bq/ )을 넘는 역사가 20134, 20145, 20153, 20164, 20172, 20186곳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환경보호청(US EPA)의 라돈 농도 권고치인 74Bq/ 을 넘는 지하역사는 201313, 201414, 201512, 20169, 20174, 201811곳으로 서울 지하역사의 라돈 농도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이마저도 서울시내 300여개 지하역사를 전수조사하지 않은 결과로 알려졌다.

 

<WHO기준(100Bq/ ) 초과 서울 지하역사>

 

역명

2013 (4)

충무로(3), 안국, 남태령, 독바위

2014 (5)

남태령, 공항시장, 신방화, 구반포, 서울숲

2015 (3)

남태령, 공항시장, 서울숲

2016 (4)

남태령, 노원, 중계, 서울숲

2017 (2)

남태령, 서울숲

2018 (6)

남태령, 중계, 공릉, 삼양, 삼양사거리, 보문

* (괄호) 역사 호선표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자료 신용현 의원실 분류

 

 

<미국 환경보호청 US EPA 라돈저감 권고치(74Bq/ ) 초과 서울 지하역사>

 

역명

2013 (13)

충무로(3), 안국, 남태령, 독바위, 이화여대, 종로3(3), 경복궁, 독립문, 충무로(4), 종로3(5), 연신내(6), 노원, 중계

2014 (14)

남태령, 공항시장, 신방화, 구반포, 서울숲, 충무로(3), 안국, 경복궁, 충무로(4), 군자, 중계, 월곡, 마들, 하계, 공릉, 공항시장, 신방화, 구반포

2015 (12)

남태령, 공항시장, 서울숲, 충무로(3), 경복궁, 마들, 중계, 공릉, 신방화, 구반포, 압구정로데오, 강남구청

2016 (9)

남태령, 노원, 중계, 서울숲, 월곡, 마들, 하계, 공릉, 공항시장, 신방화, 구반포

2017 (4)

남태령, 서울숲, 노원, 중계

2018 (11)

남태령, 중계, 공릉, 삼양, 삼양사거리, 보문, 월곡, 마들, 노원, 하계, 정릉

* 서울시내 지하역사 300여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자료 신용현 의원실 분류

 

이에 신용현 의원은 서울시가 매해 지하역사 라돈 농도를 전수조사 하지 않는 것이 더 큰 문제다, “라돈 침대를 쓰지 않는 국민들도, 언제든 출퇴근길에 1급 발암물질인 라돈에 장기간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서울시는 지하역사에 대한 정밀한 라돈 농도 전수조사로, 라돈 공포에 시달리는 국민들에게 방사선 안전을 보장해야한다주장했다.

 

전문가들은 공기 중 방사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라돈 저감을 위해, 외부공기투입이나 교환 즉, ‘환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하지만, 지하역사의 경우 일상적인 환기가 어려워 실내 라돈 농도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이고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신용현 의원은 우리나라도 라돈 기준을 보다 강화하고, 지하역사처럼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지역은 실내 라돈 농도를 주기적으로 정밀 조사해 라돈 위해성으로부터 안전 점검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신 의원은 현재 라돈과 같은 생활방사선 관리에 있어, 실내 공기질 관리는 환경부, 건축시설의 라돈 관리는 국토교통부, 화장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 학교시설 등에 대해서는 교육부 그리고 생활방사선 전반에 대한 관리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담당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추후 물관리 일원화와 같은 범부처 생활방사선관리 일원화 대책 마련으로, 국민 안전을 위한 철저한 라돈 관리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환경부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라돈 농도 기준치(148Bq/ )를 권고하고 있지만, 미국 환경보호청(US EPA)74Bq/ 이상이면, 라돈 농도 저감을 위해 노력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옛14길 31-8(성내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