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포커스=국회]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 병원으로 지정된 10곳 중 7곳은 아직도 통합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 간병비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환자가족들의 간병비 부담이 커지고 가병파산이라는 신조어까지 나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의왕·과천)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의료기관으로 지정된 1,574개 중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은 495곳(31.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ㆍ간병 통합병상 수도 3만 7,288개로 전체 24만 8,455개 대비 15% 수준에 그쳤다.
.
<최근 5년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의료기관·병상 수>
(단위: 개소, %)
| 
			 구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
| 
			 의료기관  | 
			
			 제공  | 
			
			 28  | 
			
			 112  | 
			
			 300  | 
			
			 400  | 
			
			 495  | 
		
| 
			 참여대상  | 
			
			 -  | 
			
			 -  | 
			
			 -  | 
			
			 1,556  | 
			
			 1,574  | 
		|
| 
			 참여비율  | 
			
			 -  | 
			
			 -  | 
			
			 -  | 
			
			 25.7  | 
			
			 31.4  | 
		|
| 
			 병상  | 
			
			 확보  | 
			
			 2,363  | 
			
			 7,443  | 
			
			 18,646  | 
			
			 26,381  | 
			
			 37,288  | 
		
| 
			 참여대상  | 
			
			 -  | 
			
			 -  | 
			
			 -  | 
			
			 247,295  | 
			
			 248,455  | 
		|
| 
			 참여비율  | 
			
			 -  | 
			
			 -  | 
			
			 -  | 
			
			 10.7  | 
			
			 15.0  | 
		|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개인 간병비는 하루 10만원 정도 들어가는 데 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건강보험급여가 지급돼 본인부담금 2만원 수준에서 간병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제도가 본격 시행된 2015년부터 이용 환자 수는 매년 크게 늘어 2015년 8만 9,424명에서 지난해 67만 5,442명으로 7.5배 급증했다. 이에 따른 건강보험료 지급액도 386억 6,800만원에서 6,876억 9,200만원으로 17배가 늘어났다.
<최근 5년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입원환자수 및 건강보험료 지급 현황>
(건강보험 환자 연도내 중복제거, 단위: 명, 백만원)
| 
			 구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 
			 전체 의료기관 입원환자수  | 
			
			 6,466,370  | 
			
			 6,656,312  | 
			
			 7,430,940  | 
			
			 7,243,210  | 
			
			 7,342,943  |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입원환자수  | 
			
			 -  | 
			
			 89,424  | 
			
			 314,448  | 
			
			 520,049  | 
			
			 675,442  | 
		
| 
			 건강보험료 지급액 (공단부담금)  | 
			
			 -  | 
			
			 38,668  | 
			
			 212,055  | 
			
			 456,776  | 
			
			 687,692  |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그러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병원의 증가추세는 ▴2015년 112곳, ▴2016년 300곳, ▴2017년 400곳, ▴2018년 495곳으로 4.4배 늘었을 뿐이다. 2018년도 보건복지부 의료서비스경험조사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 환자는 전체 입원 환자의 10.4%에 그쳤다.
신 의원은 “종합병원들이 간호인력 부족을 이유로 서비스 제공을 기피하는 사이 장기입원 환자와 가족들은 매월 200~ 300만원의 간병비를 부담하고 있다”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도록 근로장려세제(EITC)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