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 우리나라 자생생물 5만 827종 정보 확인

  • 등록 2019.02.28 17:06:45
크게보기

- 동물 2만 9,678종, 식물 5,477종, 조류(藻類) 6,013종, 균류 및 지의류 5,226종, 세균 2,449종 등으로 구성
- 10만 종으로 추정되는 우리나라 생물 종 수 절반 이상 밝혀내 쾌거

[환경포커스=수도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 생물자원 종합 목록(인벤토리) 구축’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자생생물 종 수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5만 827종임을 확인했다.

우리나라 자생생물 목록은 1996년 환경부에서 ‘국내 생물종 문헌 조사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2만 8,462종을 집계한 이래, 22년 만에 2배 가까이 증가하여 5만 종을 넘어섰다.

 

신종인 봉화현호색, 선갯장대 등을 비롯해 미기록종 혹다섯돌기갯가재, 부푼도롱이갯민숭이, 나무곰팡이혹파리 등 곤충 및 무척추동물 1,122종, 미생물 633종, 식물 34종, 척추동물 11종 등 총 1,800종의 생물이 새로 목록에 올랐다.

 

현재 우리나라 자생생물의 종수를 각 분류군별로 살펴보면, 척추동물 1,995종, 무척추동물 2만 7,683종, 식물 5,477종, 균류 및 지의류 5,226종, 조류(藻類) 6,013종, 원생동물 1,984종, 세균 2,449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7년 개관 이래 매년 발굴한 자생생물 신종, 미기록종 뿐만 아니라 국내외 문헌 정보를 조사, 분석하여 국가생물종 목록 구축 현황과 통계를 제시하고 있다.

 

최근 12년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등 국가의 집중적인 연구사업 지원과 학계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연평균 1,600~2,000종의 자생생물 신종, 미기록종 등이 국가생물종목록에 새로 추가되고 있다.

 

최신 국가생물종목록은 ‘국가생물다양성 정보 공유체계(kbr.go.kr)’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누리집에서 파일 형태로 내려 받을 수 있다.

 

올해 3월에는 5만 종의 생물종목록을 현재 사용하는 최신 학명과 국명으로 요약하여 한국균학회, 한국미생물학회, 한국동물분류학회, 한국패류학회,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등과 공동으로 ‘국가생물종목록집 I~III’을 발간할 계획이다.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나고야의정서 협약 등으로 세계 각국의 생물자원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라며, “국가생물종목록 구축은 우리나라의 생물주권 확보를 위한 기초이자 향후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 구축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옛14길 31-8(성내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