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 대전현충원서 희귀 남조류 구슬말 발견

  • 등록 2021.04.27 11:12:59
크게보기

-구슬말 친환경 제거방법 연구 중 항염 및 항균 효능 밝혀내 특허 출원도 가능 예정

 

[환경포커스=수도권]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 여름 국립대전현충원 묘역에서 대량으로 발생한 생물체의 정체를 파악(동정)한 결과, 희귀 남조류인 ‘구슬말’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구슬말은 물속에 사는 일반적인 남조류와는 달리 땅 위에 서식하며, 끈적하게 보이는 황녹색의 군체(다당체)를 형성한다. 이 구슬말은 최근 몇 년간 대전현충원 일부 묘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다가 지난해 여름 크게 증가했으며, 유족들로부터 황녹색의 덩어리를 이루는 정체 불명의 생물체를 없애 달라는 민원이 제기됐었다.

 

이에 국립대전현충원은 민원이 제기된 생물체 정체 파악과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국립생물자원관에 의뢰했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지난해 9월부터 김승영 선문대 교수진과 공동으로 관련 연구를 진행하여 이 생물체의 정체가 국내에서 보기 힘든 구슬말이고, 인체에 특별한 해가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했다.

 

또한, 친환경 방제 방법을 찾기 위한 실험을 통해 국내 토양에서 찾은 저농도의 일부 방선균(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가 구슬말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구슬말의 성장 억제 균주를 찾기 위해 80여 균주를 실험했고, 최적의 친환경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총 300여 균주를 추가로 실험할 계획이다.

한편, 연구진은 친환경 방제 연구 과정에서 구슬말이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것도 확인했다.

구슬말 추출물을 실험쥐의 염증세포에 처리했을 때, 대표적인 염증 지표물질인 세포 내 신호전달물질의 하나로 과도하게 생성되면 급성 및 만성 염증의 매개체로 작용하는 산화질소*가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구슬말 추출물을 제주도 재래콩 간장에서 분리한 자생미생물을 이용(생물전환)하여 여드름균이나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 능력을 실험한 결과, 구슬말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항균 능력이 최소 65배 이상 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구슬말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 예방을 위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 이달 말에 관련 특허를 출원할 예정이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는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제기된 민원 생물의 정체를 파악하고 이를 친환경적으로 제거 하기 위한 방법을 찾다가 생물자원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한 보기 드문 사례”라고 말했다.

신미령 기자 ecofocus1@naver.com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옛14길 31-8(성내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