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포커스=수도권] 한강유역환경청(청장 김동구)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오는 6월부터 1년간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 취약지역인 청미A 단위구역을 정밀원인분석한다.
청미A 단위구역은 한강 충주호 하류 수계구간 중 발원지인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부터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남한강 합류 전까지(경기도 안성시, 이천시, 여주시, 용인시, 충청북도 음성군)
연구의 목적은 단위유역의 수질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거나 목표수질을 초과한 오염총량관리 취약지역으로 선정된 청미A 단위유역에 대한 정밀원인분석을 통해 하천수질의 악화원인을 규명하고, 실질적인 수질개선을 위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 한강수계 수질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주요 내용은 현장조사를 통한 중점관리지역 선정과 수질영향 오염원인 분석에 기초한 맞춤형 오염물질 삭감대책 수립이다. 아울러 중점관리지역 말단지점에 대한 수질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관리대책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강청은 이번 오염총량관리 정밀원인분석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의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중대재해법에 따른 안전교육 및 작업장 안전 점검 등을 총괄 지휘할 예정이다.
김동구 한강유역환경청장은“오염총량관리 취역지역에 대한 정밀원인분석을 통해 한강수계 수질개선 및 먹는 물 안전에 도움이 되도록 향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