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벌어지는 기후변화가 동해안 마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동해 해류의 변동성을 설명하기 위해 인공위성 고도계자료로부터 생산한 지난 18년간(1993~2010년)간 동해의 주별 해류도를 분석한 결과, 동한난류의 주요 경로 및 세기가 2001년부터 약 6년 주기로 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분석결과에 따르면 동한난류는 1993년~2000년에는 평균보다 느린 속도로 비교적 일정한 이동 경로를 보였지만, 2001년부터는 6년 주기로 강해졌다 약해졌다를 반복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001년 이전까지는 동한난류의 일부가 동해안을 따라 속초 부근까지 북상하고 나머지 대부분은 후포 부근에서 동쪽으로 흘러 울릉도를 끼고 돌았지만 2001년부터는 6년 주기의 큰 변동성을 보였다.
동한난류가 강한 시기(2001~2003년, 2007~2009년)에는 폭 약 100km를 갖는 흐름이 0.7노트(knot) 이상의 속도로 동해 연안 경도 129.5°를 따라 북쪽으로 강하게 흐르면서 따뜻한 바닷물이 함흥 이북까지 도달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동한난류가 이렇게 북상함에 따라 기온상승, 적설량 증가, 해무발생 감소 등의 변화와 어족자원 등 동해생태계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계속하기로 했다.
국립해양조사원 관계자는 “이번 분석결과는 동해안 해류변화 및 기후 및 생태계 변화를 조사하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며 “이 외에도 쿠로시오 해류 등 주변 해역의 해류도 제작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