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행정․공공기관의 저공해자동차 구매비율 저조

  • 등록 2011.05.17 16:26:48
크게보기

수도권대기환경청(청장 이희철)‘10년에 자동차를 새로 구입한 수도권 내 185개 행정공공기관의 저공해자동차 평균 구매비율은 약 16%로서, 이 중 저공해자동차를 20% 이상 구매하여 의무비율을 달성한 곳은 59개 기관이라고 밝혔다.

 

구매 실적이 우수한 기관 중 지식경제부는 신규로 구입한 168대 중 140대를 저공해자동차로 구매하여 67%의 구매비율을 나타냈으며, 선거관리위원회는 신규 11대 중 10대를 저공해자동차로 구매했다. 또한, 서울시는 제1종 저공해자동차인 전기자동차를 18대 구매했다.

 

반면, 검찰청, 안양시청, 서울시시설관리공단 등 24개 기관은 자동차를 5대 이상 구입하면서도 단 1대의 저공해자동차도 구입하지 않아 저공해자동차 구매의무 준수 의지와 대기질 개선 노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대기환경청은 행정공공기관의 저공해자동차 구매비율이 상승 추세에 있긴 하지만, 출시 차종 부족, 차량 성능(엔진출력, 연비 등) 부족, 제반관리비용 등을 이유로 저공해자동차 구매를 꺼리는 점이 구매비율 저조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되었다고 밝혔다.

 

수도권대기환경청과 환경부는 금년 중 전기차 보급, 가솔린 하이브리드카 출시 등을 통해 차종을 다양화하고, 임차 시에도 저공해자동차 사용을 의무화하여 저공해차 보급을 확대하는 한편, 구매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관련 제도를 계속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행정공공기관의 저공해자동차 구매의무비율을 20%30%로 상향 조정하고, 자동차제작사의 저공해자동차 의무보급비율도 6.5%7.5%로 상향 조정(’11.3.31 시행)하였으며, 앞으로 행정공공기관에서는 매년 저공해자동차 구매 계획과 실적을 환경부장관에게 제출, 환경부장관은 이를 공표(‘11.4.28 수도권 특별법개정시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차량 구매 시 뿐만 아니라 임차 시에도 저공해자동차 이용의무비율을 적용하도록 관련 법령의 연내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대기오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그린카 보급 확산에 행정공공기관이 앞장설 것을 당부하는 한편, 조달청과 협의하여 전자구매시스템을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하고, 저공해자동차 구매 실적 부진 기관 순회 방문 및 구매의무기관에 대한 홍보교육 강화를 통해 구매를 독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리자 기자 ecomrs@hanmail.net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