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지 찬 철새봐도 놀라지 마세요!

  • 등록 2011.04.07 12:36:39
크게보기

이동경로 등 습성 파악 위해 가락지 활용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엄홍우)은 철새의 이동경로 파악을 위해 홍도 철새연구센터에서 연간 27025만 마리의 철새를 관찰하고 각종 정보를 담은 가락지를 8천여 마리에 부착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 철새연구센터는 2005년 홍도에 문을 열고 지금까지 총 351351만여 마리의 철새를 관찰했으며, 20223만 마리에 가락지를 부착해서 날려 보냈다. 작년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철새가 총 8,331마리였는데 철새연구센터가 93%를 담당했다.

 

홍도 철새연구센터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철새가 외국에서 발견된 사례는 일본 1, 대만 1건이었으며, 외국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철새가 홍도에서 관찰된 것은 일본 5, 몽골 1건이었다.

 

이를 통해 일부 철새들의 이동경로가 밝혀졌는데 제비는 1,250여 킬로미터 떨어진 일본 톳토리현에서 20077월에 가락지를 부착한 것이 3년이 지난 20104월에 홍도에서 발견되었으며, 반대로 검은지빠귀는 20104월 홍도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것이 29일 만인 20105월에 약 1,240km 떨어진 일본 시즈오카현에서 발견된 바 있다.

 

또한 홍도와 흑산도는 철새들이 한반도로 드나드는 관문에 해당하므로 조류 전염병 예찰에도 중요한 지역이다. 작년에는 모두 2656개체를 대상으로 인수 공통전염병인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하였으나 모두 음성으로 판명된 바 있다.

 

최근에는 기상청 레이더센터와 업무협력을 통해 기상레이더를 이용하여 철새 이동을 추적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미 공단은 기상청과 함께 지난 20095월과 10월에 홍도 상공을 통과하는 붉은배새매와 벌매로 추정되는 레이더 영상을 분석한 바 있다.

 

철새에 가락지를 부착하는 것은 이동경로와 조류생태, 질병, 보전연구를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인데 미국은 매년 120만 마리, 중국 32만 마리, 일본 20만 마리에 가락지를 부착하고 있다.

 

공단 채희영 철새연구센터장은 효과적인 철새연구를 위해서는 가락지를 부착하고 관찰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데, 우리나라는 홍도-흑산도 지역에서 거의 대부분이 이루어진다면서, “보다 다양한 지역에서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 ecomrs@hanmail.net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