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폐기물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

  • 등록 2011.03.02 15:02:19
크게보기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사장 조춘구)는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에너지 생산보급을 위한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추진의 일환으로 건설폐기물을 폐목재 등 가연물로 분리/선별하여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하여 최근 특허등록까지 완료 하였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건설폐기물의 가연성폐기물 분리/선별기술은 단순 매립되던 건설폐기물에서 폐목재 등 신재생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부에서 주관하고 있는 에코스타(Eco-STAR) 프로젝트의 수행 결과다.

 

환경부와 매립지관리공사는 콘크리트와 분리되지 않고 반입되는 건설폐기물에서 폐목재 등 에너지로 사용이 가능한 가연물(폐목재, 폐비닐 등)을 효율적으로 분리/선별할 수 있는 공정(Process) 개발을 위하여 실증실험시설(50/)을 설치·운영하는 등 관련기술 개발에 연구역량을 집중해 왔다.

 

이번에 취득한 특허기술인 건설폐기물의 가연성폐기물 분리/선별방법은 기존의 순환골재 생산에만 집중되었던 국내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술과 차별화되는 것이다.

 

그간 분리가 어려워 단순 매립처리 되던 건설폐기물에서 폐목재 및 기타 가연물을 가연성 고형연료(WCF, RDF)로 에너지화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번에 개발한 건설폐기물의 가연성폐기물 선별방법을 이용할 경우 반입되는 건설폐기물(7,000/)에서 2,520/일의 가연성폐기물(반입량의 40%, 선별효율 90%)을 분리/선별할 수 있으며, 분리/선별된 가연성폐기물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경우 연간 약 18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6.38×108kWh)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무려 400억원(1kWh 125원 기준) 이르는 막대한 금액이다.

 

매립지관리공사 녹색기술연구센터장(천승규)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공사는 폐자원 에너지화 분야 전문연구기관으로서의 기술력을 대외에 다시한번 알릴 수 있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폐기물을 고부가가치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리자 기자 ecomrs@hanmail.net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