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속 등 전국 평균 토양오염도 낮은 수준

  • 등록 2010.12.02 13:39:15
크게보기

토양측정망 운영결과 중금속 등 토양오염도가 기준치 25%이하

환경부는 전국 1,521개 토양측정망 지점에 대한 2009년도 토양오염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결과 우리나라 토양의 중금속 오염물질의 평균 오염도는 토양오염우려기준의 25%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카드뮴 등 유해중금속은 기준치 대비 10%미만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우리나라 자연토양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를 보이는 아연, 니켈 등은 기준치의 21~25%로 나타났다.

 

또한, 농약, 유기용제 및 유해화학물질 등의 오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인 유기인, PCBs, 페놀, TCE PCE는 모든 지점에서 불검출 되었다.

 

초과지점은 전체 1,521개 지점 중 제주 4개 지점, 전남 및 전북 각각 1개 지점 등 총 6개 지점으로 나타났다. 6개 지점 모두 니켈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초과원인은 자연적인 영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는 15개 토지용도별(지목)로 구분하여 실시되었으며, 도로, 공장용지 등 오염원 영향지역이 농경지, 임야 등 오염원이 없는 지역보다 오염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도로에서 아연, 유류(BTEX, TPH), 공장용지에서 카드뮴, 구리, 수은, , 불소가 최고 농도를 보였다.

 

환경부는 전국의 토양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해 1987년부터 토양측정망을 설치운영해 왔으며, 2010년 현재 15개 지목 1,521개 지점으로 확대 운영하고 있다.

 

토양측정망 조사결과(매년 1회 조사)는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http://sgis.nier.go.kr)에 게재하여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조사결과는 전국 평균농도 뿐만 아니라 개별 지점별 오염현황도 볼 수 있다.

 

외국의 경우도 50여 개국에서 토양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다.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토양 중 토양오염물질에 대한 오염도 조사 외에 토양의 지화학적 특성을 연차적으로 조사하여, 토양질 전반에 대한 변화를 관측하고 있다.

 

또한, 네덜란드, 독일 등에서는 전국의 토양오염도를 지도로 작성하여, 국민들이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지역의 토양오염도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환경부는 토양측정망 자료를 정책수립 또는 연구목적 등으로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목별로만 분류된 토양측정망 지점을 자연 배경농도지점, 교통 및 산업 영향지점, 사람활동지점 등 활용목적에 따라 재분류할 예정이다.

 

특히, 자연 배경농도 지점을 현재 70개 지점에서 200여개 지점으로 확대하여 배경농도 측정을 강화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토양측정망 지점에 대해 재분류 및 재선정 작업을 2010년 중으로 완료하여, 2011년부터 변경된 분류체계에 따라 운영할 예정이다.

관리자 기자 ecomrs@hanmail.net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