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생물유전자원 분양 본격 실시

  • 등록 2010.11.24 12:45:16
크게보기

ABS의정서 발효대비, 국내생물 유전자원 R&D 활성화

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종천)은 지난 1029일 유전자원은행을 공식 개소하고 최신첨단시설 유전자원수장고에서 보존관리하고 있는 야생생물유전자원 3,815(28,000여점)을 생물자원관 분양홈페이지(www.nibr.go.kr/dnabank)를 통해 관련 생물산업 및 학계등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분양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분양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되는 야생생물 유전자원에는 국가 생물산업의 원천소재로 활용성이 높은 유전자원 뿐만 아니라 환경부에서 지정관리되고 있는 멸종위기종, 고유종등의 유전자원도 함께 공개됨으로써 생물산업 육성 및 멸종위기종, 휘귀종등의 복원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공개되는 유전자원 가운데에는 국내고유종으로 1급수에 사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급인 돌상어(Gobiobotia brevibarba)와 최근에는 생리활성분석을 통해 혈액순환, 자외선 차단등 다양한 효능이 소개되어 신약 및 자외선 차단 화장품연료로 널리 각광받는 국내 고유종 식물 황칠나무(Dendropanax trifidus)등 산업적으로 활용성이 높은 생물의 유전자원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분양되는 유전자원은 확증표본 즉 유전자원의 출처를 밝히는 증거표본도 함께 분양신청인이 원할 경우 공개함으로써 제공되는 유전자원의 동정(Identification, 同定)의 정확성과 함께 기관의 신뢰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최초로 제공한 유전자원을 활용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기관)는 유전자원 분양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후 해당되는 유전자원시료를 소정의 절차를 거쳐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무료로 분양받을 수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분양되는 야생생물 유전자원은 해외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신약 개발 등을 연구하고 있는 연구소 및 산업체에 한반도 자생생물소재를 이용한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생물소재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줄 일수 있는 발판으로 기대된다.

 

이는 유용한 유전자 발굴분석연구를 위해 개별연구자가 해당 유전자원 시료를 확보해야하는 발굴상의 어려움과 수장시설 및 장비 등이 구축되지 않아 국내 자생생물을 이용한 연구에 제약을 받아왔으나, 이번 국립생물자원관 분양홈페이지를 통해 국내 자생생물의 유전자원이 분양됨으로써 생물분류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자생생물 유전자원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 학계와 산업계의 전문가들의 관련 연구 및 의약, 식용 등의 소재개발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지난 10월 일본나고야에서 채택된 ‘ABS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되면 세계 각국은 자국의 유전자원확보 및 생물주권행사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국내 관련 생물산업의 해외유전자원 접근 및 이용이 더욱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자생생물의 유전자원은행 구축을 통해 국내자생생물 유전자원에 대한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다양한 활용연구를 촉진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더 많은 생물자원의 선제적인 확보를 위해 차세대 야생생물유전자원 발굴을 강화하고 발굴된 국내 자생생물 유전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강화할 수 있는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리자 기자 ecomrs@hanmail.net
Copyright @2009 ecofocus.co.kr Corp. All rights reserved.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라10845| 등록/발행일 : 2005년 11월 1일 | 발행처 : 환경포커스 | 발행・편집인 : 신미령 제 호 : 환경포커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5319 | 등록/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신미령 | 기사배열책임자 : 신미령 | 제보메일 : e-focus@naver.com. 주 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53길21,B-502호(서초동) | 대표전화 : 02-2058-2258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환경포커스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