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서 운행하고 있는 차량의 공회전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수도권 도심도로에서 ‘공회전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행시간의 1/4이 공회전시간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가 ‘자동차10년타기시민연합’에 의뢰해 지난 5월 13일부터 9월 29일까지 조사했으며, 수도권 도심도로 24개구간(1구간 평균 30km)을 실제로 운행해 본 결과, 30km구간을 주행하는데 평균 1시간24분이 소요됐으며, 그 중 공회전 시간은 평균 22분으로서 주행시간의 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행 시간(1시간24분)중에 공회전을 평균 30회나 했고, 1회당 평균 46초를 공회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승용차에 공회전 제한장치를 부착하고 운행해 본 결과 평균연비가 장치 부착 전․후 8.29 Km/l에서 9.50 Km/l로 약 14.6% 향상됐다.
또한, 운전자 1,9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응답자의 90%가 보조금 지급시 공회전제한장치를 부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자동차의 공회전 방지 등 친환경운전문화 확산을 위해 금년 말까지 친환경운전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각종 인터넷 및 언론매체를 통해 집중 홍보를 실시하는 한편, 친환경운전 안내장치(EMS, 공회전제한 장치 등)에 대한 보조금지원 등 인센티브 제공방안을 예산당국과 적극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